KR20190100618A - 고난연 고단열 스티로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스티로폼 - Google Patents

고난연 고단열 스티로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스티로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618A
KR20190100618A KR1020180020395A KR20180020395A KR20190100618A KR 20190100618 A KR20190100618 A KR 20190100618A KR 1020180020395 A KR1020180020395 A KR 1020180020395A KR 20180020395 A KR20180020395 A KR 20180020395A KR 20190100618 A KR20190100618 A KR 20190100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ofoam
flame retardant
flame
lay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390B1 (ko
Inventor
황선담
Original Assignee
황선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담 filed Critical 황선담
Priority to KR1020180020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39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27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by mechanical deformation, e.g. crushing, emboss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26Flame proofing or flame retard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불연성 스티로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스티로폼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준불연성 효과가 큰 난연액을 사용하고 고단열 및 고난열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스티로폼 진공단열재 판재가 포함되는 준불연성 스티로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스티로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과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의 외면에 피복되어 형성된 난연성 스티로폼층(200)으로 구성된 난연성 스티로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은 발포 스티로폼층(110), 알루미늄박스부(120), 접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스티로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의 발포 스티로폼층(110)은 난연성 발포 스티로폼층(11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스티로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난연 고단열 스티로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스티로폼{a production method of a highly flame resisting and heat insulating styrofoam and the styrofoam thereof}
본 발명은 고난연 고단열의 준불연성 스티로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스티로폼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준불연성 효과가 큰 난연액을 사용하고 고단열 및 고난열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스티로폼 진공단열재 판재가 포함되는 준불연성 스티로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스티로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전동차의 내장재로 사용되는 스티로폼은 내화성을 갖고 있지 않아서 건축물 또는 전동차에 화재가 발생하면 쉽게 전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기술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스티로폼(EPS, Expandable Polystyrene)은 다공성 재료로 단열 효과가 우수하며 가볍고 성형이 쉽기 때문에 단열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티로폼을 심재로 하고 그 양면에 철판을 덧댄, 일명 샌드위치 패널은 가볍고 단열효과가 우수하며, 빠른 시공이 가능한데다 저렴하기 때문에 건축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건물의 외벽에 스티로폼 단열재를 덧대어 마감하는 외단열미장마감공법(EIFS, Exterior Insulating and FinishingSystem), 일명 드라이비트(drivit) 공법은 시공이 쉽고 간편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저렴하여 다가구주택이나 주상복합건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티로폼은 가연성 물질로서, 열에 매우 약하여 70℃가 넘으면 변형되며, 화재 발생시 많은 유독 가스를 발생시키고 구조가 붕괴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특히 수직으로 설치된 스티로폼은 불쏘시개 역할을 하여 화염을 확산시킨다.
이에, 원료수지에 첨가되어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는 난연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난연제로는 할로겐계가 가장 많고, 비할로겐계로는 인계와 질소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할로겐계 난연제에서는 저렴하고 난연 효과가 높은 브롬화 난연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스티로폼에 적용되는 브롬화 난연제로는HBCD(hexabromocyclododecane)가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41745호의 스티로폼을 이용한 단열재에는 스티로폼의 양면에 알루미늄 시트와 염화비닐 사이에 유리섬유실사 또는 폴리에스터실사를 직조하여 접합시킨 불연소재를 부착시킨 스티로폼 단열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96790호의 불연성 스치로폼 패널의 구조에는 스치로폼 패널의 정, 배, 좌, 우측 단면에 불연성층을 형성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은 난연성을 더하기 위하여 스티로폼의 표면에 난연제를 코팅하거나, 불연소재를 양면 또는 육면에 부착하는 것은 단지 스티로폼의 표면에 난연제를 코팅하거나 부착하는 것이므로, 스티로폼 내부까지 난연도료가 침투하지 못하여, 패널을 재단하거나 표면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화재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88786호의 조립식 패널 구조체용 폴리에스테르 난연심재 및 그 제조방법에는 난연제액을 폴리에스테르 견면에 침투시키고 롤러에 의하여 견면을 압축하여 침투시키고 타공롤러를 통하여 잉여난연제액을 빨아들인 후 마이크로웨이브장치로 건조시킨 후 히터를 이용하여 발포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난연제액이 침투된 후 발포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난연제가 소실되거나 화재시 난연도료 내부의 발포 알갱이가 녹아내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79868호의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재에는 각각의 발포 알갱이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분사노즐에 의하여 통상의 난연도료를 분사 도포시키고 스티로폼 단열재 외부면 상에 통상의 단연도료를 도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있다. 이는 스티로폼 내부에 직접 난연제를 주입시키는 것이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분사노즐이 스티로폼 단열재를 관통하여 일정시간 일정압력으로 난연제액이 분사되므로 다수의 구멍이 생기게 되어 단열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 10-2016-0143137호(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스티로폼 및 그 제조방법)는 "세라믹 중공체; 및 20℃에서 점도가 5000 CP 이상 100000 CP 미만인 무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난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연성 스티로폼"을 제공한 바 있다.
또한 공개특허 10-2005-0090628호(건축용 불연 단열보드)는 "공기층이 형성되고, 그 상·하 각각에 알루미늄 포일 및 알루미늄 펄이 피복되며, 알루미늄 펄의 밑에는 발포 폴리스티렌이 부착된 종래의 단열보드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을 카본섬유(131)와 실리카섬유(132)가 혼합되어 니들펀칭으로 결합된 부직포로 된 불연 단열층(130)과, 상기 불연 단열층(130) 상·하면 각각에 피복되어 불연 단열층(130)을 보호하며 방습작용을 하는 알루미늄 포일층(140)및 알루미늄 펄층(120)과, 상기 알루미늄 펄(120)층의 하단에 부착되어 미세기공으로 단열·방진·방음작용을 하는 단열층(1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불연 단열보드"를 제공한 바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은 난연성 및 단열성의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고, 제조가 복잡하며 그에 따라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에 비하여 낮고, 또한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에서 획득하지 못한 난연성 및 단열성의 효과가 현저한 준불연성을 구비하는 준불연성 스티로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스티로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과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의 외면에 피복되어 형성된 난연성 스티로폼층(200)으로 구성된 난연성 스티로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은 발포 스티로폼층(110), 알루미늄박스부(120), 접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스티로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의 발포 스티로폼층(110)은 난연성 발포 스티로폼층(11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스티로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스티로폼은 제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에 비하여 낮은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스티로폼은 난연성 및 단열성의 효과가 높아서 준불연성을 구비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스티로폼은 열방출률 시험 및 가스유해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준불연성 재료로서 적합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스티로폼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스티로폼의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스티로폼의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의 실시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스티로폼의 완성 사진(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이 내부에 포함되어 있음)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과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의 외면에 피복되어 형성된 난연성 스티로폼층(200)으로 구성된 난연성 스티로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은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과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의 외면에 피복되어 형성된 난연성 스티로폼층(200)으로 구성된 난연성 스티로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의 심재로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을 위와 아래로 포함하는 난연성 스티로폼층(200)으로 구성된 난연성 스티로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은 발포 스티로폼층(110), 알루미늄박스부(120), 접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발포 스티로폼층(110)은 발포폴리스티렌 분말(EPS, expandable polystyrene)이 발포되어 스티로폼으로 형성된 층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발포폴리스티렌 분말(EPS, expandable polystyrene)은 시중에 다양하게 공급되고 있는 원료이다.
폴리스티렌(Polystyrene)은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틱으로, 스티렌의 중합체이다. 무색 투명한 열가소성 물질로, 100℃ 이상에서 부드러워지고 185℃ 정도가 되면 점성의 액체가 되며, 산·알칼리·기름·알코올 등에 강한 성질이 있다. 발포폴리스티렌은 이 폴리스티렌 수지에 펜테인이나 뷰테인 등 탄화수소가스를 주입시킨 뒤 이를 증기로 부풀린 발포 제품으로, 체적의 98%가 공기이고 나머지 2%가 수지인 자원 절약형 소재이다.
발포폴리스티렌의 제조 공정은 스티렌에 펜테인 또는 뷰테인가스 등의 발포제를 주입해 물로 중합한 뒤, 소정의 분자량이 될 때까지 가열한다. 이어 얻어진 발포폴리스타이렌의 구상 입자인 비드(bead)를 세척 건조하고 폐수를 처리한 후 선별하면 완제품의 발포폴리스티렌 분말이 된다.
원료인 발포폴리스티렌 분말을 100 ~110℃ 및 0.2 ~ 0.3 기압하에서 1차 발포시킨다.
이와 같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서 상기 온도로 가열하게 되면 원료인 발포폴리스티렌 입자가 팽창하여 발포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발포 스티로폼층(110)은 난연성 발포 스티로폼층(110)으로 형성된 것이 기술적 특징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난연성 발포 스티로폼층(110)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먼저 발포된 폴리스티렌을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1과정)
상기한 바처럼, 발포된 폴리스티렌은 발포폴리스티렌 분말(EPS, expandable polystyrene, "비드"라고도 함)을 이용하여 80~90배로 발포하여 준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준비된 발포된 폴리스티렌을 난연액으로 코팅하는 과정을 수행한다.(2과정)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난연액이 난연성 및 단열성이 현저히 높은 점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액은 초산비닐수지(PVAC), 비할로겐 난연제, 염화파라핀, 나트륨, 멜라민, 카본, 산화철, 팽창 흑연, 분산제를 혼합하여 조성된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난연액은 초산비닐수지(PVAC) 100중량부에 비할로겐 난연제 30~50중량부, 염화파라핀 5~10중량부, 나트륨 10~30 중량부, 멜라민(melamine) 10~50 중량부, 카본 1~5중량부, 산화철 1~5 중량부, 팽창 흑연 20~100 중량부, 분산제 0.01~0.5 중량부, 용제 5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조성물이 난연성의 효율을 증진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비할로겐 난연제는 통상의 비할로겐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잇으며, 바람직하게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CA, melamine cyanurate)를 사용하는 것이 난연성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분산제로는 통상의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피로포스페이트 등의 무기 분산제와 폴리비닐 알코올,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의 유기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용제는 통상의 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물 또는 알코올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제로는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난연성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발포된 폴리스티렌 100중량부를 교반기에 넣고 상기한 난연액 100~300중량부를 분사하여 코팅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난연코팅된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를 형성하게 된다.(2과정-2)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난연액으로 코팅된 발포된 폴리스티렌을 팽창흑연을 더 분사하여 별도로 코팅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난연성이 향상된 난연코팅된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를 형성될 수 있다.(2과정-3)
상기의 교반 및 코팅시간은 100~300초 정도가 좋다.
상기의 과정에서 난연액으로 코팅된 발포된 폴리스티렌 100중량부에 팽창흑연 10~100중량부를 더 분사하여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코팅 과정 후에 건조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2과정-4)
상기한 코팅 후의 건조시간은 50~120초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의 난연코팅된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를 성형기에 넣어 난연 스티로폼 블록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
난연 스티로폼 블록을 형성하는 과정은 난연코팅된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를 성형기에 넣고 약 110정도의 스팀을 1차로 6.5초 정도로 유입시키고, 다시 2차의 스팀을 3.5조 정도로 유입시킨 후 진공냉각 90~120초 정도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난연 스티로폼 블록이 발포 스티로폼층(110)으로 형성되게 되어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을 형성하게 한 점이다.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은 난연 스티로폼 블록이 난연성 발포 스티로폼층(110)으로 형성되게 되어 난연성 및 단열성의 효과가 현저히 증진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조한 난연 스티로폼 블록을 알루미늄판으로 감싸는 과정(래핑, wrapping)을 한 후 진공처리하는 과정으로 수행되어 알루미늄박스부(120)를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4과정)
난연 스티로폼 블록을 알루미늄판으로 감싸는 과정을 하고 공기흡착기 등으로 감싼 알루미늄판이 서로 접해지는 부분(A)을 흡착하여 진공 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한후 서로 접해지는 부분(A)을 붙여서 알루미늄박스부(120) 내부의 진공을 유지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알루미늄박스부(120)의 외부에 접착제를 발라서 접착부(130)를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5과정)
본 발명은 상기한 알루미늄박스부(120)의 외부에 접착제를 발라서 접착부(130)를 형성하게 한다.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의 접착부(130)는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을 난연성 스티로폼층(200)과 완전히 결합하게 하여 난연성 및 단열성을 현저히 높이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한 접착부(130)는 PE(poly ethylene), PP(poly 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고분자 물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은 두께(W1)가 10~50mm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은 두께가 15~20mm 정도로 하는 것이 난연성, 단열성, 경제성이 현저히 높게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을 내부에 심재로 하여, 이러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을 위와 아래로 포함하는 난연성 스티로폼층(20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을 내부에 심재로 하여, 이러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을 위와 아래로 포함하는 난연성 스티로폼층(200)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6과정)
본 발명의 난연성 스티로폼층(200)은 난연성 발포 스티로폼층으로 형성된 것이 기술적 특징이다.
상기한 난연성 스티로폼층(200)은 통상의 난연성 발포 스티로폼층으로 형성된 것이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한 난연성 스티로폼층(200)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처럼 본 발명은 먼저 발포된 폴리스티렌을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6과정-1)
상기한 바처럼, 발포된 폴리스티렌은 발포폴리스티렌 분말(EPS, expandable polystyrene, "비드"라고도 함)을 이용하여 80~90배로 발포하여 준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준비된 발포된 폴리스티렌을 난연액으로 코팅하는 과정을 수행한다.(6과정-2)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난연액이 난연성 및 단열성이 현저히 높은 점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액은 초산비닐수지(PVAC), 비할로겐 난연제, 염화파라핀, 나트륨, 멜라민, 카본, 산화철, 팽창 흑연, 분산제를 혼합하여 조성된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난연액은 초산비닐수지(PVAC) 100중량부에 비할로겐 난연제 30~50중량부, 염화파라핀 5~10중량부, 나트륨 10~30 중량부, 멜라민(melamine) 10~50 중량부, 카본 1~5중량부, 산화철 1~5 중량부, 팽창 흑연 30~50 중량부, 분산제 0.01~0.5 중량부, 용제 5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조성물이 난연성의 효율을 증진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비할로겐 난연제는 통상의 비할로겐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잇으며, 바람직하게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CA, melamine cyanurate)를 사용하는 것이 난연성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분산제로는 통상의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피로포스페이트 등의 무기 분산제와 폴리비닐 알코올,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의 유기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용제는 통상의 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물 또는 알코올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제로는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난연성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발포된 폴리스티렌 100중량부를 교반기에 넣고 상기한 난연액 100~300중량부를 분사하여 코팅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난연코팅된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를 형성하게 된다.(6과정-3)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난연액으로 코팅된 발포된 폴리스티렌을 팽창흑연을 더 분사하여 별도로 코팅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난연성이 향상된 난연코팅된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를 형성될 수 있다.(6과정-4)
상기의 교반 및 코팅시간은 100~300초 정도가 좋다.
상기의 과정에서 난연액으로 코팅된 발포된 폴리스티렌 100중량부에 팽창흑연 10~100중량부를 혼합하여 분사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코팅 과정 후에 건조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6과정-5)
상기한 코팅 후의 건조시간은 50~120초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을 먼저 성형기에 넣은 과정을 수행한다.(6과정-6)
본 발명은 상기한 난연코팅된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를 성형기에 넣어 난연성 스티로폼층(200)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6과정-7)
난연성 스티로폼층(200)을 형성하는 과정은 난연코팅된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를 성형기에 넣고 약 110정도의 스팀을 1차로 6.5초 정도로 유입시키고, 다시 2차의 스팀을 3.5조 정도로 유입시킨 후 진공냉각 90~120초 정도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수행하게 된다.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난연성 스티로폼층(200)은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의 상부에 있는 것을 상부 난연성 스티로폼층(210)이라 하고,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의 하부에 있는 것을 하부 난연성 스티로폼층(220)이라 한다.
상기한 상부 난연성 스티로폼층(210)의 두께(W2)는 10~50mm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상부 난연성 스티로폼층(210)의 두께를 15~20mm 정도로 하는 것이 난연성, 단열성, 경제성이 현저히 높게 나타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하부 난연성 스티로폼층(220)의 두께(W3)는 10~50mm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하부 난연성 스티로폼층(220)의 두께를 15~20mm 정도로 하는 것이 난연성, 단열성, 경제성이 현저히 높게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정으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과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의 외면에 피복되어 형성된 난연성 스티로폼층(200)으로 구성된 난연성 스티로폼을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난연성 스티로폼을 제조하여 (재)한국조선해양가자제연구원에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44호의 준불연재료로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열방출률 시험을 실시한 결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44호[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확상방지구조 기준], KS F ISO 5660-1: 2008 연소성능시험, 연기발생, 질량감소율-제1부(콘칼로리미터법)에 의하여 준불연재료 적합 판정을 받았다.
또한, 가스유해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44호[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확상방지구조 기준], KS F 2271: 2016 건축물 마감재료의 가스유해성 시험 방법에 의하여 준불연재료 적합 판정을 받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진 난연성 스티로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티로폼을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은 난연성 스티로폼을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
발포 스티로폼층(110), 알루미늄박스부(120), 접착부(130),
난연성 스티로폼층(200),

Claims (3)

  1.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과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의 외면에 피복되어 형성된 난연성 스티로폼층(200)으로 구성된 난연성 스티로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은 발포 스티로폼층(110), 알루미늄박스부(120), 접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스티로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난연성 스티로폼 단열층(100)의 발포 스티로폼층(110)은 난연성 발포 스티로폼층(11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스티로폼.



KR1020180020395A 2018-02-21 2018-02-21 난연 및 단열성이 개선된 스티로폼 KR102118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395A KR102118390B1 (ko) 2018-02-21 2018-02-21 난연 및 단열성이 개선된 스티로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395A KR102118390B1 (ko) 2018-02-21 2018-02-21 난연 및 단열성이 개선된 스티로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618A true KR20190100618A (ko) 2019-08-29
KR102118390B1 KR102118390B1 (ko) 2020-06-04

Family

ID=6777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395A KR102118390B1 (ko) 2018-02-21 2018-02-21 난연 및 단열성이 개선된 스티로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4946A (zh) * 2022-09-09 2022-12-13 江苏建发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高性能防火复合板及其制备工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896Y1 (ko) * 2004-03-04 2004-05-22 김완수 샌드위치 패널
JP2006083505A (ja) * 2004-09-17 2006-03-30 Nagoya Oil Chem Co Ltd 難燃性材料
KR20130016162A (ko) * 2012-12-24 2013-02-14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난연성을 구비한 반사형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4301A (ko) * 2013-11-11 2015-05-20 오종찬 불연성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JP2017172724A (ja) * 2016-03-24 2017-09-28 旭硝子株式会社 断熱パネルおよび断熱構造
KR101805370B1 (ko) * 2017-09-13 2017-12-06 장세훈 은 분말이 코팅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단열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896Y1 (ko) * 2004-03-04 2004-05-22 김완수 샌드위치 패널
JP2006083505A (ja) * 2004-09-17 2006-03-30 Nagoya Oil Chem Co Ltd 難燃性材料
KR20130016162A (ko) * 2012-12-24 2013-02-14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난연성을 구비한 반사형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4301A (ko) * 2013-11-11 2015-05-20 오종찬 불연성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JP2017172724A (ja) * 2016-03-24 2017-09-28 旭硝子株式会社 断熱パネルおよび断熱構造
KR101805370B1 (ko) * 2017-09-13 2017-12-06 장세훈 은 분말이 코팅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단열재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4946A (zh) * 2022-09-09 2022-12-13 江苏建发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高性能防火复合板及其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390B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282B1 (ko) 난연 발포폴리스티렌 블록 및 형물의 제조방법
JP5587202B2 (ja) 発泡可能な反応性樹脂を含む支持材の成形体
CN102127269A (zh) 一种阻燃聚合物泡沫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10126484A (ko) 다중코팅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고성능 발포폴리스티렌 성형물
KR101825115B1 (ko) 화재방지 및 발포 폴리에스터의 물성변경 방법
KR20180117511A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82887B1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친환경 발포 폴리스티렌 폼 제조방법
KR102118390B1 (ko) 난연 및 단열성이 개선된 스티로폼
EP2423249B1 (en) Protected expanded polyalkylidene terephthalates
KR20080094134A (ko) 다단계 경화 메카니즘을 이용한 난연성 및 내화성이 우수한발포플라스틱 성형체
KR101489583B1 (ko)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93995B1 (ko)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KR101809115B1 (ko) 스티로폼 및 에프알피 복합판넬
KR101356568B1 (ko) 형상변형이 방지되는 불연성 스티로폼 및 그 제조방법
KR101407925B1 (ko)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을 이용한 폼재의 제조 방법
KR101555612B1 (ko) 건축 외장재용 드라이비트 준불연 발포폴리스티렌 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84133B1 (ko) 이종 발포입자를 이용한 복합발포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8815A (ko) 천공된 피막구조를 가지는 준불연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CN102821941A (zh) 由包含可发泡的反应性树脂的基材制成的泡沫和模制品
KR101716234B1 (ko) 고단열 및 난연성 발포 스티로폼재의 제조장치
KR101795750B1 (ko) 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스티로폼 및 그 제조방법
KR101902821B1 (ko) 난연성 스티로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스티로폼
KR102556207B1 (ko)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성 eps 비드 및 상기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
KR100577495B1 (ko) 샌드위치 패널용 내부심재 및 이를 내장한 샌드위치 패널
KR200330933Y1 (ko) 내부마감재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