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002Y1 -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002Y1
KR200356002Y1 KR20-2004-0009538U KR20040009538U KR200356002Y1 KR 200356002 Y1 KR200356002 Y1 KR 200356002Y1 KR 20040009538 U KR20040009538 U KR 20040009538U KR 200356002 Y1 KR200356002 Y1 KR 200356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rotating plate
direction key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20-2004-0009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0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0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에 있어서, 작은 면적으로도 클릭의 정확성과 좋은 터치감을 갖도록 구성하여 상대적으로 LCD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단말기의 크기를 감축할 수 있게 구성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케이스(104) 외표면에 노출된 회전판(121)과, 회전판(121)의 중심에서 케이스(104)의 안쪽으로 연장된 축(123)과,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인쇄회로기판(110)에 장착되어 회전판(121)의 회전을 감지하며 회전판(121)의 회전각도에 따라 전기적신호를 발생하는 회전감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회전식 방향키는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복수 개의 다른 전기적신호를 발생함으로써, 2개의 다른 전기적신호가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여 정보입력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정보입력의 정확성이 커짐에 따라 회전판의 면적이 작아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이동통신단말기 크기의 축소 및 큰 면적의 LCD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A Rotary Type of Navigation Ke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은 면적으로도 클릭의 정확성과 좋은 터치감을 갖도록 구성하여 상대적으로 LCD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단말기의 크기를 감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에는 키패드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정보를 입력한다. 이런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하고 다니기에 편리하도록 그 크기가 작을수록 바람직하며, 반대로 메시지를 출력하는 LCD는 사용자가 보기 편하도록 면적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반되는 단말기의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 면적은 작으면서도 정확한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에 대응하는 키패드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에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키(3G, 3N)와, LCD(2)에 출력된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향키(3N)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복수의 키(3G)와 방향키(3N)를 상세히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키(3G, 3N)가 형성된 패드(3)와, 상기 패드(3)의 저면에 위치하여 키(3G, 3N)와 대응하여 위치하는 돔스위치(5S)가 부착된 돔스위치 패드(5)와, 상기 돔스위치(5S)와 대응하여 키단자(11G, 11N)가 각각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0)을 포함한다. 그리고 패드(3)의 키(3G, 3N)와 돔스위치(5S) 및 키단자(11G, 11N)가 각각 일렬로 대응하며, 키(3G, 3N)를 클릭하면 돔스위치(5S)가 눌려 탄성변형되면서 키단자(11G, 11N)에 접속되고, 키단자(11G, 11N)는 통전되어 상기 키(3G, 3N)에 해당하는 전기적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키(3G, 3N)에 있어서, 방향키(3N)는 그 저면에 5개의 돔스위치(5S)가 상하좌우 그리고 중심에 각각 위치하며, 인쇄회로기판(10)에는 상기 5개의 돔스위치(5S)에 대응하는 5개의 키단자(11N)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향키(3N)의 상부, 하부, 좌측, 우측을 누르면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방향키(3N)가 기울어지며, 방향키(3N)의 중심을 누르면 방향키(3N)의 전체가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방향키(3N) 저면의 상부, 하부, 좌측, 우측 및 중심에 위치한 돔스위치(5S)가 가압되어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탄성변형된 돔스위치(5S)에 의해 해당하는 키단자(11N)가 접속되면서 해당하는 전기적신호가 발생하고, 이런 전기적신호에 의해 LCD(2)에 출력된 커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페이지 전환을 하게 된다.
하지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의 크기는 축소되고 반대로 LCD(2)는 확대되는 추세에 있어서, 방향키(3N)의 면적이 점차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방향키(3N)가 작아지게 되면, 돔스위치(5S)들 간의 간격 및 키단자(11N)들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돔스위치(5S)들 간의 간격 및 키단자(11N)들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사용자가 한 손가락으로 방향키(3N)를 클릭하였을 때의 클릭정확성은 떨어지게 된다. 즉 사용자가 방향키(3N)의 한 쪽을 가압하여 눌렸을 때에, 돔스위치(5S)들 및 키단자(11N)들의 간격이 좁아 두 개의 돔스위치(5S)가 탄성 변형하고, 이에 따라 두 개의 키단자(11N)가 동시에 접속되어 전기적신호를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발 추세에 따라 작은 면적의 방향키를 구비하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게 구성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에 대응하는 키패드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방향키가 설치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식 방향키와 키패드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식 방향키와 키패드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0 : 이동통신단말기 2 : LCD
3 : 패드 3G : 키
3N, 120 : 방향키 5 : 돔스위치부
5S, 133 : 돔스위치 10, 110 : 인쇄회로기판
11G, 11N, 111 : 키단자 104 : 케이스
121 : 회전판 123 : 회전축
125 : 지지대 127 : 코일스프링
130 : 마그네틱 센서 131 : 마그네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케이스 외표면에 노출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서 상기 케이스의 안쪽으로 연장된 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감지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각도에 따라 전기적신호를 발생하는 회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회전감지부는 상기 회전판과 대응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복수 개의 마그네틱 센서이며, 상기 마그네틱 센서는 상기 회전판의저면에 고정된 마그네틱의 자기장 세기를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회전축의 단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에는 돔스위치가 위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돔스위치와 대응하는 키단자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회전축의 단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된 지지대의 중공을 관통해 위치하며, 코일스프링이 상기 회전축을 감싼 상태로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은 상기 지지대의 상면과 상기 회전판의 하면에 접하여 위치한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방향키를 제외한 다른 키는 그 구성이 종래의 키패드 구성과 동일함으로, 회전식 방향키를 제외한 다른 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아래에서는 방향키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방향키가 설치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식 방향키와 키패드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식 방향키와 키패드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방향키(이하에서는 '방향키'라 함)(120)에는 4개의 마그네틱 센서(130)가 방향키(120)의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상하좌우에 각각 위치한 상태로 키패드 인쇄회로기판(110)에 장착된다. 그리고 방향키(120)의 회전축(123) 하단에는 돔스위치(133)가 위치하며, 이런 돔스위치(133)에 대응하여 키패드 인쇄회로기판(110)에는 키단자(111)가 형성된다. 따라서 방향키(120)는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또한 방향키(120)의 중심을 누르면 방향키(120) 및 회전축(123)이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축(123)의 하단에 위치한 돔스위치(133)를 탄성변형시킨다.
이와 같이, 방향키(120)는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4개의 마그네틱 센서(130)를 통해 4개의 다른 전기적신호를 발생하며,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1개의 또 다른 전기적신호를 발생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보이듯이, 방향키(12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케이스(104) 외표면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121)과, 상기 회전판(121)의 저면에 수직하게 고정된 회전축(123)과,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키패드 인쇄회로기판(110)에 고정되며 회전축(123)의 하단이 관통하는 지지대(125)와, 회전판(121)의 저면과 지지대(125)의 상면에 양단이 접하면서 상기 회전축(123)을 감싸는 압축 코일스프링(127)과, 회전판(121)의 저면 일측에 고정된 마그네틱(131)을 포함하며, 키패드 인쇄회로기판(110)에는 회전판(121)을 따라 회전하는 마그네틱(131)의 회전궤도에 있어 상하좌우에 고정되는 4개의 마그네틱 센서(130)와, 회전축(123)에 대응하여 형성된 키단자(111) 및, 회전축(123)과 키단자(111) 사이에 위치하는 돔스위치(133)를 구비한다.
한편 지지대(125)는 중공(125H)이 형성된 원판으로 그 저면에는돔스위치(133)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 받침대(125S)가 3개 이상 형성되며, 이런 받침대(125S)가 키패드 인쇄회로기판(110) 상면에 고정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회전판(121)에 손가락을 올리고 원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 회전판(121)을 회전시키면, 회전판(121)은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회전판(12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판(121)의 저면에 고정된 마그네틱(131)도 하부에 위치한 4개의 마그네틱 센서(130)를 연결하는 궤적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데, 마그네틱(131)이 어느 한 마그네틱 센서(130)에 근접하게 되면, 그 마그네틱 센서(130)가 감지하던 자기장 세기는 커지게 되고, 일정한 세기 이상이 감지되면 전기적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회전판(121)이 1회전하면서 4개의 전기적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회전판(121)의 중심을 가압하게 되면, 회전판(121)은 가압하는 힘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 코일스프링(127)을 탄성변형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축(123)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 코일스프링(127)은 수축되고, 하부에 있는 돔스위치(133)는 탄성 변형되면서, 키패드 인쇄회로기판(110)에 형성된 키단자(111)를 접속하여 다른 1개의 전기적신호를 발생한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판(121)을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압축된 코일스프링(12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판(121)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원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방향키(120)는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4개의 전기적신호와 하부방향으로 가압되면서 1개의 전기적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는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4개의 다른 전기적신호를 발생함으로서, 2개의 다른 전기적신호가 동시에 발생하는 것 차단하여 정보입력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정보입력의 정확성이 커짐에 따라 회전판의 면적이 작아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이동통신단말기 크기의 축소 및 큰 면적의 LCD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1.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케이스 외표면에 노출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서 상기 케이스의 안쪽으로 연장된 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감지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각도에 따라 전기적신호를 발생하는 회전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감지부는 상기 회전판과 대응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복수 개의 마그네틱 센서이며, 상기 마그네틱 센서는 상기 회전판의 저면에 고정된 마그네틱의 자기장 세기를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단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에는 돔스위치가 위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돔스위치와 대응하는 키단자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단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된 지지대의 중공을 관통해 위치하며, 코일스프링이 상기 회전축을 감싼 상태로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은 상기 지지대의 상면과 상기 회전판의 하면에 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
KR20-2004-0009538U 2004-04-07 2004-04-07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 KR200356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538U KR200356002Y1 (ko) 2004-04-07 2004-04-07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538U KR200356002Y1 (ko) 2004-04-07 2004-04-07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002Y1 true KR200356002Y1 (ko) 2004-07-12

Family

ID=4943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538U KR200356002Y1 (ko) 2004-04-07 2004-04-07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00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860B1 (ko) * 2006-11-15 201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KR101339942B1 (ko) * 2007-02-27 2013-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US20210349568A1 (en) * 2018-08-17 2021-11-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pressure sensor including a protrusion inserted in a waterproof memb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860B1 (ko) * 2006-11-15 201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KR101339942B1 (ko) * 2007-02-27 2013-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US20210349568A1 (en) * 2018-08-17 2021-11-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pressure sensor including a protrusion inserted in a waterproof member
US11989363B2 (en) * 2018-08-17 2024-05-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pressure sensor including a protrusion inserted in a waterproof mem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871B1 (ko) 회전자 휠
US7321361B2 (en) Coordinate input device having non-flat operation surfa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769236B1 (ko) 디지털 다방면 제어 스위치
KR100484992B1 (ko) 입력장치
CN102163966B (zh) 开关机构以及输入装置
KR20110128724A (ko)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CN105049570A (zh) 一种多功能手机旋转按钮结构
JP2000047811A (ja) 入力装置
JP3386296B2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101154752B1 (ko) 입력장치
KR200356002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
US20100259495A1 (en) Input device
JP2011210078A (ja) 入力装置
JP2003331681A (ja) 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70041094A (ko) 방향 감지용 버튼 구조
CN201060778Y (zh) 具有开关的旋转型编码器
JP3923789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1256863A (ja) 入力装置ならびに検出装置
JP2006073249A (ja) 携帯機器
JP3954776B2 (ja) 入力装置
JP4050066B2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100749117B1 (ko) 슬라이드형 조이스틱
JP3842016B2 (ja) 入力装置
JP4179909B2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4305014B2 (ja) 携帯電話機および移動方向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