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860B1 -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860B1
KR101285860B1 KR1020060112750A KR20060112750A KR101285860B1 KR 101285860 B1 KR101285860 B1 KR 101285860B1 KR 1020060112750 A KR1020060112750 A KR 1020060112750A KR 20060112750 A KR20060112750 A KR 20060112750A KR 101285860 B1 KR101285860 B1 KR 101285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terminal
key
mobile termina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4001A (ko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860B1/ko
Publication of KR20080044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키와; 상기 로터리키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좌측단이 상기 로터리키의 우측단과 끼움 연결되며, 좌우측단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축을 갖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축의 관통공을 경유하여 좌측단이 상기 로터리키의 우측단에 고정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우측단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로터리키의 회전을 감지하여 스크롤 신호를 발생하는 로터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입력장치, 스크롤, 센싱부, 로터리모듈, 스위치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ROTATING INPUT DEVICE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도1은 실시예1의 분해사시도.
도2는 실시예1의 로터리모듈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3은 실시예1의 조립 사시도.
도4는 실시예1의 로터리모듈의 구성도.
도5는 실시예1의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로터리키 12:나사 체결홈
20:지지대 22:지지축
24:관통공 30:회전축
32:고정 삽입홈 40:로터리모듈
42:회전몸체 42-1:돌부
44:회전스위치 46:제1단자
48:제2단자 50:연성회로기판
62,64:부시링 66:체결나사
68,69:데코레이션 기구물 100:단말기 케이스
본 발명은 로터리키를 갖는 회전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뉴 이동이나 목록 검색 또는 음량 조절 등의 단말기 상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동단말기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로터리키를 갖는 회전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단말기는, 메뉴의 이동이나 목록의 검색 또는 음량 조절 등의 조작에 사용되는 메뉴키를 누름식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동단말기의 기능 향상으로 메뉴의 증가와 저장 용량의 증가로 검색 자료의 양이 방대해짐에 따라 누름식으로 구비된 메뉴키를 빈번하게 누름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로터리키의 회전에 의해 메뉴 이동이나 목록 검색 또는 음량 조절 등의 단말기 상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한 회전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로터리키 클릭시 클릭감을 느낄 수 있는 회전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로터리키와; 상기 로터리키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좌측단이 상기 로터리키의 우측단과 끼움 연결되며, 좌우측단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축을 갖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축의 관통공을 경유하여 좌측단이 상기 로터리키의 우측단에 고정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우측단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로터리키의 회전을 감지하여 스크롤 신호를 발생하는 로터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모듈은; 상기 회전축의 우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몸체와,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몸체에 접촉하는 제1단자 및 제2단자와, 상기 회전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와 서로 다른 시점에 단락(short) 및 개방(open)되도록 상기 회전몸체에 구현되는 회전스위치와, 일측이 상기 회전스위치에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부에 연결되는 접지단자와,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의 전압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메인보드의 센싱부로부터 상기 제1단자 및 제3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제1센싱라인 및 제2센싱라인을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모듈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상기 로터리모듈의 회전몸체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상기 로터리모듈의 회전스위치는 상기 회전몸체의 외주부에 일점 쇄선 형식으로 일정한 거리를 이루며 복수 개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에는 하나의 전압라인이 병렬로 분기되어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전압라인, 제1센싱라인 및 제2센싱라인은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키의 좌측단에는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며, 우측단에는 상기 나사 체결홈에 연통하는 회전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좌측단에 고정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의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회전 삽입홈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나사 체결홈을 통하여 상기 고정 삽입홈에 고정 체결되는 체결나사를 통해 상기 로터리키에 고정 연결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키의 일측단은 이동단말기의 측면부에 노출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실시예1의 분해사시도를, 도2는 실시예1의 로터리모듈의 주요부의 사시도를, 도3은 실시예1의 조립 사시도를, 도4는 실시예1의 로터리모듈의 구성도를, 도5는 실시예1의 작동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로터리키(10), 지지대(20), 회전축(30), 로터리모듈(40) 및 연성회로기판(50)을 갖는다.
도1을 참조하면 로터리키(10)는 길이방향으로 회전하기에 적합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로터리키(10)의 좌측단에는 나사 체결홈(12)이 형성되며, 우측단에는 회전 삽입홈(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나사 체결홈(12)은 암나사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 삽입홈(도면 미도시)은 후술하는 지지축(22)이 헐걸게 내삽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나사 체결홈(12) 및 회전 삽입홈(도면 미도시)은 상호 연통된다.
도1을 참조하면 지지대(20)에는 지지축(22)이 형성된다. 지지축(22)의 좌측말단은 로터리키(10)의 우측말단이 헐겁게 외삽됨으로써, 로터리키(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회전 삽입홈(도면 미도시)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지지축(22)의 좌측단의 외측지름은 로터리키(10)의 회전 삽입홈(도면 미도시)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편, 지지축(22)에는 좌우측단을 관통하는 관통공(24)이 형성된다. 관통공(24)은 원기둥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회전축(30)의 좌측단은 지지축(22)의 관통공(24)에 내삽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회전축(30)의 우측단은 후술하는 로터리모듈(40)의 회전몸체(42)에 삽입 연결되어 회전몸체(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6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30)의 좌측단에는 고정 삽입홈(32)이 형성된다. 고정 삽입홈(32)은 암나사 형태로 형성된다.
도2를 참조하면 로터리모듈(40)은 로터리모듈 몸체(41), 회전몸체(42), 회전스위치(44), 제1단자(46), 제2단자(48), 접지단자(도면 미도시), 제1센싱라인(도면미도시) 및 제2센싱라인(도면 미도시)을 갖는다.
도2를 참조하면 로터리모듈 몸체(41)에는 회전몸체(42)가 회전 가능하도록 실장된다. 회전몸체(42)는 중앙부에 6각 기둥형상의 삽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6각 기둥형상의 삽입공은, 회전축(30)의 우측단이 삽입 연결됨으로써 회전축(30) 회전시 회전몸체(42)가 회전축(3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2를 참조하면 회전몸체(42)의 일측면에는 돌부(42-1)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돌부(42-1)는 로터리모듈 몸체(41)로부터 회전몸체(42)의 일측면에 대향하도록 세워지는 구조물에 형성되는 클릭돌기(도면 미도시)와 접촉함으로써, 사용자가 로터리키(10)의 클림감을 느끼는 동시에 로터리키(10)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클릭돌기(도면 미도시)의 단부는 둥근 원형으로 형성되어, 클릭돌기(도면 미도시)가 돌부(42-1)와 돌부(42-1)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이웃하는 돌부(42-1)의 양측면의 상단 모서리와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2를 참조하면 회전스위치(44)는 회전몸체(42)의 외주면에 일점 쇄선 형식으로 일정한 거리를 이루며 복수 개 형성된다.
도2를 참조하면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의 일측단은 회전몸체(42)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타측단은 로터리모듈 몸체(41)에 고정된다. 한편,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의 일측단은 회전몸체(42)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스위치(44)와 서로 다른 시점에 단락(short) 및 개방(open)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의 접촉길이는,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몸체(42)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항상 특정한 단자가 먼저 회전스위치(44)와 단락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4를 참조하면 제1단자(46) 및 제2단 자(48)의 타측단은 전원에 연결되는데, 동일한 전압라인(도면부호 미부여)에 병렬로 연결됨으로써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도4를 참조하면 제1단자(46) 및 제2단자(46)는 각각 제1센싱라인(도면부호 미부여) 및 제2센싱라인(도면부호 미부여)에 의하여 메인보드의 센싱부(도면 미도시)에 연결된다. 메인보드의 센싱부(도면 미도시)는 제1센싱라인(도면부호 미부여) 및 제2센싱라인(도면부호 미부여)을 통해 각각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에 나타나는 전압을 측정하게 된다.
도4를 참조하면 회전스위치(44)에는 접지단자(도면부호 미부여)가 연결된다. 접지단자(도면부호 미부여)는 접지부(도면부호 미부여)에 접지되어 있다.
도1 및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전압라인(도면부호 미부여), 제1센싱라인(도면부호 미부여) 및 제2센싱라인(도면부호 미부여)은 연성회로기판(40)을 통해 상기 메인보드(도면 미도시)에 연결된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1의 조립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로터리기(10)는 지지축(22)에 회전 가능하도록 외삽된다. 이때, 로터리키(10)의 회전 삽입홈(도면 미도시)에는 부시링(62)이 삽입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지지축(22)의 관통공(24)에는 회전축(30)의 좌측단이 내삽된다. 이때, 부시링(64)이 삽입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체결나사(66)가 나사 체결홈(12), 회전 삽입홈(도면 미도시), 관통공(24)을 통해 회전축(30)의 고정 삽입홈(32)에 체결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회전축(30)의 우측단은 로터리모듈(40)의 회전몸체(42)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도면부호 미부여)에 내삽 연결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로터리모듈(40)의 우측에는 연성회로기판(50)이 세워진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로터리키(10)의 좌측단에는 데코레이션 구조물(68,69)이 장착된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로터리키(10)의 일측단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단말기 케이스(100)에 실장된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4를 참조하면 회전스위치(44)가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에 대해 개방된 상태에서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에는 최대 전압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메인보드의 센싱부(도면 미도시)는 제1센싱라인(도면부호 미부여) 및 제2센싱라인(도면부호 미부여)을 통해 최대 전압을 인식하게 된다.
도4를 참조하면 회전스위치(44)가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에 대해 단락된 상태에서는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가 접지단자(도면부호 미부여)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에는 "0"에 가까운 최소 전압이 걸리게 된다.
도4 및 도2를 참조하면 로터리키(10)가 회전함에 따라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는 회전스위치(44)와 서로 다른 시점에 단락 및 개방된다. 따라서, 로터리키(10)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서 제1단자(46) 또는 제2단자(48) 중 어느 하나가 먼저 단락되고, 나머지 하나는 그 후에 단락된다. 따라서, 메인보드의 센싱부(도면 미도시)는 제1센싱라인(도면부호 미부여) 및 제2센싱라인(도면부호 미부여)을 통하여 전압값을 측정함으로써, 어느 단자가 먼저 단락되었는지를 확인하여 회전방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5를 참조하여 메인보드의 센싱부(도면 미도시)에서 감지하는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의 출력파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 모두가 회전스위치(44)와 개방된 상태에서 로터리키(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단자(46)가 먼저 단락되고, 이어서 제2단자(48)가 단락되고, 로터리키(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그 반대라고 전제한다.
도5에는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가 모두 단락된 상태에서 전압이 인가된 상태의 출력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로터리키(10)가 회전하기 전에는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의 전압값이 모두 최소치를 나타낸다.
도5를 참조하면 로터리키(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단자(46)가 먼저 개방되고 따라서 제1단자(46)의 전압값이 최대치를 나타낸다. 이어서, 제2단자(48)가 개방되고 제2단자(48)의 전압값도 제1단자(46)와 같이 최대치를 나타낸다. 즉,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는 모두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로터리키(10)가조금 더 회전하면 제1단자(46)가 먼저 단락되어 제1단자(46)의 값이 최소치를 나타낸다. 이어서, 제2단자(48)가 단락되어 제2단자의 전압값이 제1단자(46)와 같이 최소치를 나타낸다. 이어서, 동일한 출력파형이 계속하여 반복된다. 로터리키(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와 반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메인보드의 센싱부(도면 미도시)는 제1단자(46) 및 제2단자(48)에 걸리는 전압파형을 출력하여 로터리키(10)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한 파형이 반복 출력되므로 동일한 파형을 한 클릭으로 인식하여 한 클릭당 일정한 양을 스크롤시킬 수 있다.
실시예2
실시예2는 실시예1이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3를 참조하여 실시예2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을 참조하면 실시예2는 실시예1의 회전입력장치(도면부호 미부여)를 갖는다. 회전입력장치(도면부호 미부여)는 단말기 케이스(100)의 측면부에 설치되는데, 로터리키(10)의 일측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회전입력장치(도면부호 미부여)는 실시예1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지지대를 통하여 로터리키와 회전축을 장착하면 되므로 조립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몸체에 돌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로터리키 클릭시 클릭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각종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로터리키의 회전에 의해 손쉽게 입력신호를 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입력 신호를 스크롤 신 호나 인터넷 검색신호로 사용하는 경우 버튼타입에 비하여 연속적으로 손쉽게 입력신호를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삭제
  2. 로터리키와;
    상기 로터리키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좌측단이 상기 로터리키의 우측단과 끼움 연결되며, 좌우측단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축을 갖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축의 관통공을 경유하여 좌측단이 상기 로터리키의 우측단에 고정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우측단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로터리키의 회전을 감지하여 스크롤 신호를 발생하는 로터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모듈은;
    상기 회전축의 우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몸체와,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몸체에 접촉하는 제1단자 및 제2단자와, 상기 회전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와 서로 다른 시점에 단락(short) 및 개방(open)되도록 상기 회전몸체에 구현되는 회전스위치와, 일측이 상기 회전스위치에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부에 연결되는 접지단자와,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의 전압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메인보드의 센싱부로부터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제1센싱라인 및 제2센싱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모듈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상기 로터리모듈의 회전몸체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상기 로터리모듈의 회전스위치는 상기 회전몸체의 외주부에 일점 쇄선 형식으로 일정한 거리를 이루며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에는 하나의 전압라인이 병렬로 분기되어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전압라인, 제1센싱라인 및 제2센싱라인은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키의 좌측단에는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며, 우측단에는 상기 나사 체결홈에 연통하는 회전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좌측단에 고정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의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회전 삽입홈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나사 체결홈을 통하여 상기 고정 삽입홈에 고정 체결되는 체결나사를 통해 상기 로터리키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키의 일측단은 이동단말기의 측면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KR1020060112750A 2006-11-15 2006-11-15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KR101285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750A KR101285860B1 (ko) 2006-11-15 2006-11-15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750A KR101285860B1 (ko) 2006-11-15 2006-11-15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001A KR20080044001A (ko) 2008-05-20
KR101285860B1 true KR101285860B1 (ko) 2013-07-12

Family

ID=3966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750A KR101285860B1 (ko) 2006-11-15 2006-11-15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8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002Y1 (ko) * 2004-04-07 2004-07-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002Y1 (ko) * 2004-04-07 2004-07-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001A (ko)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3509B2 (en) Switch
KR100739210B1 (ko) 회전식 입력장치
EP1487104A3 (en) Object detection sensor
JP6243421B2 (ja) 回転操作形スイッチ
CN111679748B (zh) 滚轮装置及使用该滚轮装置的移动式电子设备
ITUB20154066A1 (it) Encoder assoluto capacitivo.
KR101285860B1 (ko) 이동단말기의 회전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JP4608385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7287400A (ja) ダイアル式入力装置
US7381911B2 (en) Multi-instruction switch
CN110737303B (zh) 旋钮装置
JP2006012701A (ja) 回転型電気部品
EP1478001B1 (en) Navigation switch device
KR101027124B1 (ko) 회전식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제어신호 발생방법
KR200236188Y1 (ko) 이동 단말기의 볼타입 입력조작장치
KR100782781B1 (ko) 회전형 멀티키
CN207963907U (zh) 信号检测装置
CN221327007U (zh) 一种旋钮结构及开关
KR100724433B1 (ko)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4577517B2 (ja) 入力デバイス
KR101224052B1 (ko) 신호 발생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전자기기
JP2005285600A (ja) 回転型電子部品
KR100575785B1 (ko) 거리센서를 이용한 회전량 감지장치
KR10052473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다기능 측면 버튼 조립체
JP2005093208A (ja) 回転式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