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734Y1 - 기저부 위에 많은 기둥이 있는 고무자석 - Google Patents

기저부 위에 많은 기둥이 있는 고무자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734Y1
KR200355734Y1 KR20-2004-0010629U KR20040010629U KR200355734Y1 KR 200355734 Y1 KR200355734 Y1 KR 200355734Y1 KR 20040010629 U KR20040010629 U KR 20040010629U KR 200355734 Y1 KR200355734 Y1 KR 200355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agnet
base
rubber
pillar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이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현 filed Critical 이상현
Priority to KR20-2004-0010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3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 H01F1/3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in the form of particles
    • H01F1/37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in the form of particles in a bonding agent
    • H01F1/375Flexible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4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organic or organo-metallic materials, e.g. graph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05Magnetic circuits with PM in general
    • H01F7/021Construction of P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7Orientating, locating, transpor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자석이 부착 대상물의 곡면이나 곡선 상태에 잘 대응되도록 유연성을 향상시키려는 것으로서, 고무자석은 두께가 두꺼울수록 유연성이 저하되므로, 유연성이 향상되도록 얇고 평평한 평면형 기저(20)나 와이어를 사용한 선형 기저(30) 또는 격자 모양의 망사형 기저(40)를 만들고; 상기한 기저부에 자력을 갖는 많은 고무자석 기둥(10)을 임의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저부 위에 많은 기둥이 있는 고무자석{A rubber magnet with many pillars on a base}
본 고안은 냉장고의 문 주변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일반적으로는 각종 광고용 스티커 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고무자석 분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고무자석은 냉장고에 사용되는 경우처럼 연속되는 긴 몸체로 만들어지거나 각종 업소용 광고물로 제작될 때에는 평면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일반적인 고무자석은 자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두껍게 제작되어야 하고 이로 인하여 유연성은 저하되며, 평면적인 부착 대상체에는 무난하지만 곡선이나 곡면인 부착 대상체의 경우에는 접촉면이 줄어들어 충분한 부착력을 기대하기 어렵다. 기존의 재료는 유연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실리콘 등을 재료로 하여 제작하거나 엠보싱 처리를 하는 형태이다. 이런 방식이 어느 정도 유연성의 증대는 가져다 주지만 변화가 심한 곡면이나 곡선 등에 대응하여 부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평면 기저에 고무자석 기둥을 만들거나 또는 선형이나 망사 형태의 기저에 접착제로 고무자석 조각을 부착하여, 기존의 고무자석에서 나타나는 부족한 유연성을 확보하면서도 자력에 의한 고무자석 고유의 부착력은 최대한 유지시키고자 하며, 방충망사와 같은 제3의 물체를 부착 대상체에 고정시킬 때 방충망사의 많은 구멍 사이로 고무자석이 삽입되어 금속 표면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부착력을 최대한 유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1은 얇은 평면 기저부에 일체를 이루는 고무자석 기둥이 임의 간격으로 배치된 예시도.
도 2는 고무자석 기둥을 더 세분화할 때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고무자석 기둥을 선형 기저부에 접착시킨 예시도.
도 4은 고무자석 기둥을 망사형 기저부에 접착시킨 예시도.
< 도면에 나타나는 부호의 설명 >
10 : 고무자석 기둥 20 : 평면형 기저부
30 : 선형 기저부 40 : 망사형 기저부
A-A', B-B' : 뒤틀림이 발생되는 부분
바람직한 실시예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부착 대상물은 언급이 없어도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 물체를 전제로 하며 고무자석의 등방성과 이방성은 고무자석 재료에 부여되는 특성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1은 유연하고 얇은 평면 기저부(20)에 일체를 이루는 고무자석 기둥(10)이 임의 간격으로 배치된 예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재질에서는 두께가 얇을수록 유연성이 증대된다. 이 점을 활용하여 가능한 한 얇게 평면 부분을 만들어 기저로 삼고, 이 평면 기저(20)에 충분한 자력이 확보되는 두께의 고무자석 기둥(10)을 일정간격으로 배치시킨다.
이 구조에서 부착력은 고무자석 기둥에 의하여 확보되고, 부착 대상체의 곡면이나 곡선 상태에 따라 휘어질 수 있는 능력은 각 고무자석 기둥(10) 사이에 있는 평면 기저(20)의 유연성에서 확보되게 된다. 각 고무자석 기둥 사이있는 평면 기저부(20)는 쉽게 임의의 각도로 접히거나 뒤틀림으로써 각 고무자석 기둥이 부착 대상체의 적절한 위치마다 부착이 원활히 이루어지며, 시간이 경과하면서 평면으로 복원되려는 힘은 평평한 상태인 기존의 제조품에 비하여 적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A부분이 펼쳐질 때 A'부분이 조밀해지면서 ∩자 모양의 곡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속하여 변형시키면 S자 모양등 다양한 곡선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기저부(20)가 평평한 상태로 복원하려는 힘이 약하므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사방으로 움직임이 가능하여 도 1의 예시보다 움직임과 변형이 더 자유로운 형태를 예시하며, 망사와 같은 격자형 구멍에 고무자석 기둥(10)을 삽입하여 부착 대상물에 부착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상기 설명한 도 1의 실시예는 곡면이면서 곡선이 있는 U자형 파이프나 반지름이 작은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시키기에는 불충분하다. 예를 들어 고무자석을 강제적인 힘에 의하여 부착 대상물의 표면 상태에 맞추어 부착시켰더라도 평면으로 복원되려는 성질에 의하여 고무자석 기둥(10)면과 부착 대상체 간의 접촉 면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게 되고 결국 부착력 약화로 나타난다. 금속성 자석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가 불가능하거나 표면이 변형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와 같이 고무자석 기둥(10)을 더 작은 단면적의 기둥으로 만들고 상호간 간격을 두면서 병렬로 배치하면, 도 1의 A-A' 방향 뿐 아니라 B-B' 방향으로도 쉽게 움직일 수 있어서 도 1의 예시에서 적용하기 어려웠던 반지름이 작은 파이프나 스프링 구조, U자형 파이프와 같은 부착 대상물의 표면에도 접촉 가능한 고무자석의 기둥 수가 늘어나고, 따라서 작용하는 자력이 증가하여 고무자석을 더 원활하게 부착시킬 수가 있다.
도 2의 또 다른 작용으로,
도 2의 예시와 같이 고무자석 기둥(10)의 단면적과 기둥 간격을 조정하면 그 간격 사이로 제3의 망사를 끼울 수 있게 되고, 그 상태로 부착 대상물에 부착하면 방충망과 같은 제3의 물체를 고정시키면서도 고무자석이 직접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어 고무자석에 주어진 자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고무자석 기둥(10)은 원형, 세모형, 별모양 등 다양한 모양을 생각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예시하여, 본 고안물을 제작함에 있어 기저부(30, 40)가 고무자석 기둥(10)과 반드시 동일한 재질이고 평면일 필요가 없음을 설명하고자 한다.
얇고 유연성이 좋은 섬유나 비닐계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고무자석과 다른재질의 소재를 활용하여 평면형(20), 선형(30), 망사형(40)과 같은 기저부를 만들고, 고무자석을 여러 개의 원하는 크기나 모양으로 분할한 후 여러 형태의 기저부(20, 30, 40)에 접착제로 접착시킴으로써 상기 각 도면에서 설명된 예시와 동일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저부가 고무자석 기둥처럼 자성을 가지고 있는 지 여부는 중요한 요소가 아니다.
도 3은 와이어에 조각으로 나뉜 고무자석을 접착시킨 예시도이다. 도 3의 선형 기저부(30)에 사용되는 와이어의 수는 하나 또는 다수를 병렬로 배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망사형 기저부(40)와 같은 격자 형태를 사용하면 도 2와 같이 여러 개의 고무자석 기둥을 부착할 수 있고 그 효과는 도 2의 예시와 유사하다. 망사형 기저부는 도 1의 A-A' 평면 기저부 중 일부에 구멍 뚫은 것과 동일한 형상을 이룬다. 이 때는 고무자석 기둥과 기저부가 일체를 이루게 된다.
고무자석과 일체형이 아닌 평면형 기저부는, 선형, 망사형 기저부에 사용 가능한 재료를 평면형으로 제작하여 도 1, 도 2의 평면 기저(20)와 대체한 후 고무자석과 접착시켜 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표면처리 기술의 일종인 엠보싱과는 구분된다. 엠보싱 기술이 주로 표면상의 기능을 중시하는 반면, 본 고안물은 평면 기저부와 고무자석 기둥과의 구조가 다르게 제작되어야 하고, 평면 기저부는 유연성이 중시되며 고무자석 기둥은 자성에 의하여 부착되는 기능이 각각 부여되어 상호 연쇄적인 작용에 의하여 소기의 목적이 달성이 된다는 점에서 다르다는 점을 언급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변형이 쉬운 고무자석은,
평면형의 부착 대상물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곡선과 곡면, U자관과 같은 곡선과 곡면이 동시에 나타나는 부착 대상물에도 자력이 발휘되는 고무자석 기둥을 다수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작용하는 자력이 최대화되어 많은 자력의 힘으로 부착이 가능해 진다.
제품의 제작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여 보면, 넓은 기저부에 고무자석 기둥을 원형, 사각형 등 여러 모양으로 만들고, 고무자석 기둥 사이의 간격을 다양화시켜 제작한 후, 다양한 너비를 갖는 테이프 모양으로 기저부를 잘라주면 부착 대상물의 다양한 평면적과 길이에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물의 고무자석 기둥 사이의 간격에 망사 형태로 된 제3의 물건을 조화롭게 삽입하여 결합시키면 부착 대상물과 고무자석 사이에 종이를 끼우는 것 보다 고무자석이 직접 부착 대상체에 접촉되므로 더 강력히 다른 물체를 고정하고 지지시킬 수 있으며, 기저부가 평면형인 제품을 사용하면 생활 주변에서 발생하는 간단한 정도의 틈새를 본 고안물 자체 만으로도 밀폐시킬 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얇은 평면으로 이루어진 기저부를 가지며;
    자력이 작용하는 부분은 다수의 기둥 형상으로서 상기 기저부와 일체를 이루며, 각 기둥 사이에는 임의의 간격이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자석.
  2. 제 1항에 있어서,
    각 기둥 간격 사이에 존재하는 평면 기저부에 구멍이 있는 고무자석.
  3. 제 1 항에 있어서,
    천과 같이 유연성이 재료있는 재료로 고무자석과 비일체형인 얇은 평면 기저부를 만들며;
    고무자석을 임의의 모양과 크기로 분할한 후 분할된 조각 상호간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하여 상기 기저부에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자석.
  4. 제 2 항에 있어서,
    섬유처럼 유연성이 있는 선형 재료를, 하나 또는 병렬로 배치한 와이어형태를 기저부로 하며;
    고무자석을 임의의 모양과 크기로 분할한 후 분할된 조각 상호간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하여 상기 와이어형태 기저부에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자석.
  5. 제 2 항에 있어서,
    섬유와 같이 유연성이 있고 망사형태인 재료를 기저부로 하며;
    고무자석을 임의의 모양과 크기로 분할한 후 분할된 조각 상호간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하여 상기 망사형태 기저부에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자석.
KR20-2004-0010629U 2004-04-17 2004-04-17 기저부 위에 많은 기둥이 있는 고무자석 KR200355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629U KR200355734Y1 (ko) 2004-04-17 2004-04-17 기저부 위에 많은 기둥이 있는 고무자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629U KR200355734Y1 (ko) 2004-04-17 2004-04-17 기저부 위에 많은 기둥이 있는 고무자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734Y1 true KR200355734Y1 (ko) 2004-07-07

Family

ID=4934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629U KR200355734Y1 (ko) 2004-04-17 2004-04-17 기저부 위에 많은 기둥이 있는 고무자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7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06959A1 (en) Mounting device
US7101065B2 (en)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mounting decorative ornaments and fixtures having decorative ornaments
JP5864440B2 (ja) 集合体及び集合体を提供する方法
WO2003019988A1 (fr) Dispositif de masque de formation a plusieurs faces pour depot sous vide
WO2006102579A3 (en) Substrate incorporating non-woven elements
US8590246B2 (en) Masonry spacer
TW200703152A (en) Marker for mechanically resonant article surveillance system
KR970066154A (ko) 코일 웨이브 스프링 및 그 제조방법
KR200355734Y1 (ko) 기저부 위에 많은 기둥이 있는 고무자석
JP5904798B2 (ja) Rfidタグ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US5501912A (en) Strip material
JP2007325357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保護シート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保護構造
WO2017126325A1 (ja) 伸縮性配線シート及び伸縮性タッチセンサシート
KR101869859B1 (ko)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
JP2006331935A (ja) シート
CN214042887U (zh) 柔性支撑板和柔性显示装置
KR20150040992A (ko) 입체 팝
US9243745B1 (en) Magnetic slat device and kit containing the same
JP6048953B2 (ja) 化粧パネル
JP4095973B2 (ja) 伸縮構造体、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筒体
JP6372999B2 (ja) 固定材、シート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7119942A (ja) 金属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187234A1 (en) Ferro fluid for inducing linear stress
JP3692070B2 (ja) 装身具
US3135381A (en) Mobile type 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