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387Y1 -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 - Google Patents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387Y1
KR200354387Y1 KR20-2004-0009244U KR20040009244U KR200354387Y1 KR 200354387 Y1 KR200354387 Y1 KR 200354387Y1 KR 20040009244 U KR20040009244 U KR 20040009244U KR 200354387 Y1 KR200354387 Y1 KR 200354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head
construction material
floor construction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김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환 filed Critical 김경환
Priority to KR20-2004-0009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3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27Means for spacing the flooring from an adjoining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3/00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03/02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particular shapes, other than square or rectangular, e.g. triangular, hexagonal, circular, irreg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에 관한 것으로, 사무실, 전산실, 교육장 및, 연구실 등의 바닥시공을 위해 사용되는 바닥 시공재(1)를 지지하기 위한 헤드(2)가 구비되되, 상기 헤드(2)는 바닥 시공재(1)의 모서리부가 올려져 고정되는 사각판형의 헤드 몸체(3)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 몸체(3)의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장식재 몸체(4a)로 이루어진 바닥 장식재(4)가 일체로 부착고정되어 상기 바닥 시공재(1)의 모서리부 일측에 접촉됨으로써 바닥에 표출되는 구조로서, 상기 헤드를 통해 다양한 색상과 모양을 갖는 바닥 장식재가 시공된 바닥에 표출됨으로써 바닥의 외적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바닥 시공후 바닥에 표현되는 무늬나 칼라의 정형화를 탈피하여 상기 바닥 장식재를 통해 보다 다양한 바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헤드에 바닥 장식재가 일체로 부착되어 제작됨으로 써 바닥 시공시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A head for supporting a carrying out device of the ground}
본 고안은 건물의 바닥을 시공하기 위한 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 시공재를 지지하는 헤드 상부에 바닥 장식재가 일체로 부착설치되어 바닥시공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함과 더불어 시공된 바닥의 외적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학교, 병원 등과 같은 건물을 시공할 경우에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이 바닥 시공인 바, 이 바닥 시공은 생활의 편의를 위하여 보다 면밀하게 시공되어야 하며, 특히 사무실이나 공공건물의 경우에는 많은 사람들이 직접 바닥과 접촉하게 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시공시 이를 반영하여 보다 쾌적한 상태로 시공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무실이나 공공건물의 바닥을 시공할 경우 그 상면에 무늬마감재가 부착된 바닥 시공재와, 이 바닥 시공재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바닥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결합부재 및, 상기 바닥 시공재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된 프레임과 헤드 등이 사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 바닥 시공재의 각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헤드의 종래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판형으로 이루어진 헤드 몸체(101)가 바닥 기초면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상기 헤드 몸체(101)의 상부면에 지지판(102)이 조립설치되어 바닥 시공재(103)의 각 모서리부와 접촉됨으로써 하부에서 바닥 시공재(103)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헤드(104)에 지지되는 바닥 시공재(103)의 상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의 기초면에 설치된 헤드(104)의 상부면에 결합부재(105)가 설치된 바닥 시공재(103)의 모서리부가 올려져 고정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헤드(104)가 다수의 바닥 시공재(103) 하부에서 바닥 시공재(103)를 지지하는 가스켓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헤드(104)는 헤드 몸체(101)와 지지판(102)을 서로 조립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그 과정이 불편할 뿐만아니라 바닥 시공시 그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상기 바닥 시공재(103)를 지지하는 헤드(104)의 경우 별다른 기능이 없기 때문에 그 제품성 및 시공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여러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닥 시공재의 각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헤드 몸체의 상부면에 다양한 색상의 바닥 장식재가 부착되어 시공된 바닥을 아름답게 할 뿐만아니라 바닥의 정밀시공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 시공재의 모서리부가 올려져 고정되는 사각판형의 헤드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 몸체의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장식재 몸체로 이루어진 바닥 장식재가 일체로 부착고정되어 상기 바닥 시공재의 모서리부 일측에 접촉됨으로써 바닥에 표출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 장식재의 장식재 몸체가 사각, 팔각, 원형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식재 몸체를 중심으로 다수의 보조 장식재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 장식재가 십자형을 이루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는 그 상부면에 고정된 바닥 장식재를 통해 시공되는 바닥을 장식할 수 있고, 상기 헤드를 이루는 헤드 몸체와 바닥 장식재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바닥 시공시 사용되는 부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헤드를 통해 다양한 색상과 모양을 갖는 바닥 장식재가 시공된 바닥에 표출됨으로써 바닥의 외적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바닥 시공후 바닥에 표현되는 무늬나 칼라의 정형화를 탈피하여 상기 바닥 장식재를 통해 보다 다양한 바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헤드에 바닥 장식재가 일체로 부착되어 제작됨으로 써 바닥 시공시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헤드가 바닥 시공재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가 바닥 시공재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로 시공된 사무실 바닥을 나타낸 상태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헤드가 바닥 시공재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c는 도 4a의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로 시공된 사무실 바닥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바닥 시공재 2 : 헤드
3 : 헤드 몸체 4 : 바닥 장식재
4a : 장식재 몸체 4b : 보조 장식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가 바닥 시공재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로 시공된 사무실 바닥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헤드가 바닥 시공재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c는 도 4a의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로 시공된 사무실 바닥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사무실, 전산실, 교육장 및, 연구실 등의 바닥시공을 위해 사용되는 바닥 시공재(1)를 지지하기 위한 헤드(2)가 구비되되, 상기 헤드(2)는 바닥 시공재(1)의 모서리부가 올려져 고정되는 사각판형의 헤드 몸체(3)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 몸체(3)의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장식재 몸체(4a)로 이루어진 바닥 장식재(4)가 일체로 부착고정되어 상기 바닥 시공재(1)의 모서리부 일측에 접촉됨으로써 바닥에 표출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바닥 시공재(1) 지지용 헤드(2)의 특징은 헤드(2) 상부에 상기 바닥 장식재(4)가 부착고정되어 바닥 시공후 바닥에 표출되는 것에 있는 바, 상기 헤드(2)를 통해 바닥 시공재(1)의 모서리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헤드(2) 상부에 부착된 바닥 장식재(4)를 외부로 나타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상기 헤드(2)는 그 상부면에 고정된 바닥 장식재(4)를 통해 시공되는 바닥을 장식할 수 있고, 상기 헤드(2)를 이루는 헤드 몸체(3)와 바닥 장식재(4)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바닥 시공시 사용되는 부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헤드(2)의 구조는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의 기초면에 수직된 상태로 설치되는 사각판형의 헤드 몸체(3) 상부에 다양한 무늬와 칼라 및 소정형상의 장식재 몸체(4a)로 이루어진 바닥 장식재(4)가 부착설치되고, 상기 헤드 몸체(3)와 바닥 장식재(4)를 중심으로 상기 바닥 시공재(1)의 모서리부 네 개가 헤드(2)에 올려져 고정설치되며, 바닥 시공후 상기 헤드(2)의 바닥 장식재(4)가 바닥에 표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헤드(2)를 이용하여 시공된 바닥의 상태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 시공재(1)의 모서리부가 올려져 고정되는 상기 헤드(2) 상부에 사각, 팔각, 원형 등과 같은 다각형상의 바닥 장식재(4)가 부착설치되고, 상기 바닥 장식재(4)가 바닥에 표현됨으로써 기존의 정형화된 바닥을 탈피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헤드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2)에 부착되는 바닥 장식재(4)의 장식재 몸체(4a)가 사각, 팔각, 원형 등의 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장식재 몸체(4a)를 중심으로 다수의 보조 장식재(4b)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 장식재(4)가 십자형을 이루도록 된 것으로, 이를 통해 시공된 바닥을 보다 독특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헤드(2)가 단지 바닥의 하부에서 바닥 시공재(1)를 지지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바닥 장식재(4)를 외부로 표출시켜 바닥을 꾸며줌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의 바닥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에 의하면, 다양한 색상과 모양을 갖는 바닥 장식재가 시공된 바닥에 표출됨으로써 바닥의 외적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바닥 시공후 바닥에 표현되는 무늬나 칼라의 정형화를 탈피하여 상기 바닥 장식재를 통해 보다 다양한 바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헤드에 바닥 장식재가 일체로 부착되어 제작됨으로 써 바닥 시공시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바닥 시공재(1)의 모서리부가 올려져 고정되는 사각판형의 헤드 몸체(3)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 몸체(3)의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장식재 몸체(4a)로 이루어진 바닥 장식재(4)가 일체로 부착고정되어 상기 바닥 시공재(1)의 모서리부 일측에 접촉됨으로써 바닥에 표출되는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장식재(4)의 장식재 몸체(4a)가 사각, 팔각, 원형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재 몸체(4a)를 중심으로 다수의 보조 장식재(4b)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 장식재(4)가 십자형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
KR20-2004-0009244U 2004-04-02 2004-04-02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 KR200354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244U KR200354387Y1 (ko) 2004-04-02 2004-04-02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244U KR200354387Y1 (ko) 2004-04-02 2004-04-02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387Y1 true KR200354387Y1 (ko) 2004-06-24

Family

ID=4934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244U KR200354387Y1 (ko) 2004-04-02 2004-04-02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3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4387Y1 (ko) 바닥 시공재 지지용 헤드
KR101527524B1 (ko)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
KR20140108013A (ko) 벽체
KR200316674Y1 (ko) 장의용 관
KR200417879Y1 (ko) 장식용 유리타일
JP3009745U (ja) 飾花用具
JP3447714B2 (ja) 組立小間及びそのための部材
KR102365861B1 (ko) 자석을 구비한 모듈형 타일 구조체
JPH0724513Y2 (ja) 廻り縁材
JP2001125477A (ja) 建築用間取りレイアウトシステム模型
KR100660354B1 (ko) 벽면 흡음제 시공을 위한 결합부재 및 그 시공방법
JP6573132B2 (ja) 外壁構造
JP2022124666A (ja) パーティション
KR200354386Y1 (ko) 바닥 시공재 지지용 프레임
TWM308181U (en) Combined landscape device
JP3065832U (ja) 素焼き製の多用途造形物
JP2023053839A (ja) 装飾ユニット
KR200425357Y1 (ko) 벽보드형 머리판을 갖는 침대
KR20000072912A (ko) 모형 제조방법 및 그 모형
KR200199936Y1 (ko) 움직이는 장식용 조형물
JP3369046B2 (ja) 床 材
JP2504726Y2 (ja) 間仕切壁用水槽装置
JP3175798U (ja) 墓石
JP3112461U (ja) 設計図表示体
KR200368197Y1 (ko) 테이블 상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