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339Y1 -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339Y1
KR200354339Y1 KR20-2004-0008167U KR20040008167U KR200354339Y1 KR 200354339 Y1 KR200354339 Y1 KR 200354339Y1 KR 20040008167 U KR20040008167 U KR 20040008167U KR 200354339 Y1 KR200354339 Y1 KR 200354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penser
liquid storage
contents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정
Original Assignee
이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정 filed Critical 이미정
Priority to KR20-2004-0008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3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3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제나 액상의 화장품 또는 그 이외 액체정량토출구조를 갖는 모든 액체 저장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액체 저장용기는 입구부를 통해 저장 내용물이 소정량 담아지는 본체를 가지며, 이 본체의 입구부를 마개로 개폐되게함과 동시에 본체내의 저장 내용물을 흡출관을 통해 정량 토출해내는 디스펜서를 갖추어서 본체내의 저장 내용물을 디스펜서를 이용해 정량 토출해내도록한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로서, 본체를 상하방향에서 양분하여 이룬 상부체와 하부체, 그리고 상,하부체의 사이에 상기 상,하부체를 결합.분리가능하게 하는 결합구조를 갖추어서 저장용기를 사용 후 내용물의 잔류량을 간단히 처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liguid instrument having dispensor}
본 고안은 세제나 액상의 화장품 또는 그 이외 액체정량토출구조를 갖는 모든 액체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잔류량을 간단히 처리할 수 있도록한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용기는 대략 용기내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1회 일정량식 토출해내는 것으로, 그러한 액체 용기는 입구부를 통해 내용물이 소정량 담아지는 본체를 가지며, 이 본체의 입구부를 마개로 개폐되게함과 동시에 디스펜서를 갖추어서 본체내의 저장 내용물을 디스펜서를 이용해 정량 토출해내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용기에서 내용물의 잔류 처리가 용이하지 않은 즉, 본체내에 저장되어 있던 저장 내용물을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고 용기의 바닥층에 일 부분 남아있는 잔류량들은 사용되지 않은채로 버려지거나 또는 마개를 열고 용기를 거꾸로 세워놓은 상태에서 장시간 자연배출방식으로 쏟아내어야하는등 사용에 많은 불편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더 상세하게는 디스펜서는 본체내에 일정길이로 설치되는 흡출관을 통해 저장 내용물을 흡출해 내게 되는데, 이때 흡출관은 용기의 바닥까지 연장 설치되지 못하는 즉, 흡출관의 입구부가 침전물에 의한 막힘 현상 또는 바닥면과 접촉으로 입구측이 막히는등 각종의 막힘 현상을 고려하여 흡출관의 입구단을 용기의 바닥으로 부터 필수적으로 적당한 간격을 유지해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액체 용기내에는 흡출관의 입구단과 용기 바닥 사이에서 필히 잔류량이 존재되어 이를 처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본체의 바닥부를 나사조립식으로 착탈가능하게 함으로서, 사용 후 잔류하는 저장 내용물을 간단히 처리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폐용기에 잔류되는 내용물이 없게 함으로서, 저장 내용물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고, 환경 오염방지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세제나 액상의 화장품 또는 그 이외 액체정량토출구조를 갖는 모든 액체 저장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액체 저장용기는 입구부를 통해 저장 내용물이 소정량 담아지는 본체를 가지며, 이 본체의 입구부를 마개로 개폐되게함과 동시에 본체내의 저장 내용물을 흡출관을 통해 정량 토출해내는 디스펜서를 갖추어서 본체내의 저장 내용물을 디스펜서를 이용해 정량 토출해내도록한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로서, 본체를 상하방향에서 양분하여 이룬 상부체와 하부체, 그리고 상,하부체의 사이에 상기 상,하부체를 결합.분리가능하게 하는 결합구조를 갖추어서 저장용기를 사용 후 내용물의 잔류량을 간단히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본체 :10 10a,10b :상,하부체
12 :입구부 14 :마개
16 :흡출관 18 :디스펜서
20 :결합구조
다음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 액체 저장용기는 대략 중공의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정량의 저장 내용물이 담아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 상부에는 저장 내용물을 주입시키는 입구부(12) 그리고, 이 입구부(12)를 개폐하는 마개(14)와, 이 마개(14)에 본체(10)의 저장 내용물을 흡출관(16)을 통해 정량 토출해내는 디스펜서(18)를 갖추어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것은 통상의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특징적인 기술은 사용하고 난 액체 저장용기내의 내용물 잔류량을 간단히 처리시키도록 하는 저장용기의 개선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10)를 상.하방향에서 양분하여 상부체(10a)와 하부체(10b)로 구성한다. 이때 본체(10)의 분할 비율은 다양히 제시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바닥에 가장 근접한 위치 즉, 흡출관(16)의 입구단과 동일하거나 다소 높은 위치선상에서 분할선을 가진다.
그리고 본체(10)의 상,하부체들(10a,10b) 사이에는 결합.분리가능한 암수형합을 이루도록하는 결합구조(20)를 도 3에서와 같이 갖추고 있다. 이 결합구조(20)는 상,하부체들(10a,10b) 각각에 암,수형의 결합부들(20a,20b)을 갖추고 있고, 이 암,수형의 결합부들(20a,20b) 상호 대향면에 암수의 나사부(22)를 갖추어서 나사조립식으로 결합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상,하부체들(10a,10b)사이에 긴밀부재(24)를 개재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또 본 고안에서 상,하부체들(10a,10b)은 상기에서와 같이 나사조립식 이외 강제 압입방식을 이용할 수 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 본 고안 액체 저장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액체 저장용기를 사용 후 그 저장용기내에 저장 내용물이 소량 잔류시 즉, 디스펜서(18)의 흡출관(16) 입구단 하부측으로 내용물이 잔류시 디스펜서(18)의 내용물 흡출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용기에 잔류 내용물이 버려지고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잔류 내용물을 본체(10)의 하부체(10b)를 상부체(10a)로 부터 분리해 내어서 잔류하는 내용물을 하부체(10b)로 수거해 완전히 사용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본 고안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의 효과를 설명하겠다. 본 고안은 사용 후 잔류하는 저장 내용물을 간단히 처리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잔류 저장 내용물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버려지는 잔류 저장 내용물로 인한 환경 오염방지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입구부를 통해 저장 내용물이 소정량 담아지는 본체를 가지며, 이 본체의 입구부를 마개로 개폐되게함과 동시에 본체내의 저장 내용물을 흡출관을 통해 정량 토출해내는 디스펜서를 갖추어서 본체내의 저장 내용물을 디스펜서를 이용해 정량 토출해내도록한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로서,
    상기 본체를 상하방향에서 양분하여 이룬 상부체와 하부체; 및
    상기 상,하부체의 사이에 상기 상,하부체를 결합.분리가능하게 하는 결합구조를 갖춘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조는 상,하부체의 사이에 상호 대응하는 암.수형의 결합부와, 이 암.수형의 결합부에 상호 나사조립을 위한 암.수나사부를 갖춘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
KR20-2004-0008167U 2004-03-24 2004-03-24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 KR200354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167U KR200354339Y1 (ko) 2004-03-24 2004-03-24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167U KR200354339Y1 (ko) 2004-03-24 2004-03-24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339Y1 true KR200354339Y1 (ko) 2004-06-29

Family

ID=4943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167U KR200354339Y1 (ko) 2004-03-24 2004-03-24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3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898B1 (ko) 2014-01-29 2014-07-11 김현수 분리 변환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898B1 (ko) 2014-01-29 2014-07-11 김현수 분리 변환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05151A1 (en) Refill for cosmetic product dispenser
US5305910A (en) Container for engine oil
JP3693574B2 (ja) ビニール容器用の着脱可能な開閉装置
KR200391436Y1 (ko)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US4189072A (en) Container with nozzle and/or drinking tube and closure means
KR200354339Y1 (ko) 디스펜서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KR100856728B1 (ko) 펌프식 액체 절약 용기
CN110282223A (zh) 一种储液瓶
JP4984541B2 (ja) 注出容器及びその詰替用の袋状容器
KR200427775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JP4320502B2 (ja) 容器用中栓
JP3565459B2 (ja) 液体注出容器
KR20090011087U (ko) 물통의 마개
KR200424806Y1 (ko) 화장품 용기의 구조
KR200325109Y1 (ko) 리필용 튜브
KR200412108Y1 (ko) 포장튜브의 캡 구조
KR200356848Y1 (ko) 액상 내용물 정량 토출 화장품용기
KR200294039Y1 (ko) 화장품용 용기 마개
CN102180302A (zh) 一种调料瓶
KR970000810Y1 (ko) 액체용기의 마개
KR200351677Y1 (ko) 빨대 상단에 돌출부를 돌출 수용케한 음료수용 병
KR200478806Y1 (ko) 용기 뚜껑
KR200240838Y1 (ko) 치약 용기
KR200270790Y1 (ko) 액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