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077Y1 -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077Y1
KR200354077Y1 KR20-2004-0009349U KR20040009349U KR200354077Y1 KR 200354077 Y1 KR200354077 Y1 KR 200354077Y1 KR 20040009349 U KR20040009349 U KR 20040009349U KR 200354077 Y1 KR200354077 Y1 KR 200354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panel
storage system
reinforcemen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열
하정림
Original Assignee
강동열
하정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열, 하정림 filed Critical 강동열
Priority to KR20-2004-0009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0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0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B65D90/025Modular panels with features of spheroidal curvature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단면 형상의 웨이브패널 보강재를 결합시켜 웨이브패널간 연결 및 결합구조를 강화시킬 수 있고, 용접 시공 또는 볼트 시공이 가능하여 설치 시공이 간편하며 라운드 곡면에 의해 수압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수압이 집중되어 취약 부위가 되기 쉬운 웨이브패널 결합 부위를 보강할 수 있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은 복수개의 웨이브패널(20, 200)을 바닥판에 세운 후 연속적으로 그의 모든 측변 각각을 서로 측벽 방향(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연결 시공하여 만곡하게 각각 부풀어오른 웨이브곡면(25)에서 수압을 분산 수용하고, 연결부위 자체가 지주 역할을 담당하되, 상기 웨이브패널(20, 200)의 연결부위인 플랜지(23, 24, 203, 204)의 사이에 다양한 방식과 단면 형상을 갖는 보강재(300 ∼ 333)가 개재되어 있고, 다양한 변형예를 제공하여 품질 개선 효과와 구조적 강성 증가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WAVE-TYPE STORAGE SYSTEM HAVING WAVE PANEL REINFORCED STRUCTURE}
본 고안은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적 라운드 사각구조를 갖는 물탱크, 다단식 웨이브 워터 탱크, 원통형 웨이브 워터 탱크 등과 같이 스테인리스 재질로서 라운드형 내지 웨이브형 단면 형상을 갖는 웨이브패널들을 연결하여 물을 담을 수 있는 체적으로 형성하고 있고 안정적인 구조적 강성을 유지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건축, 농축산, 건물, 아파트, 공공장소, 대형 건축물, 물 저장 시설, 정수 설비, 수처리 시설 등에 설치되는 대형 물탱크나 유체 저장시스템은 시설 규모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다.
이런 대형 물탱크는 시공방법에 따라 돌, 벽돌을 쌓아 올린 조적식, 콘크리트 양상을 통한 콘크리트 타설식, 미리 성형한 철제웨이브패널이나 플라스틱 수지웨이브패널을 볼트 내지 용접에 의해 이어 붙인 웨이브패널조립식, 플라스틱 수지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몰딩식, 철제 스트립의 길이 방향의 변을 스파이럴 방향으로 용접한 LIPP 방식, 다수의 원통형 플랜지 유닛을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여 결합시킨 원통형 유니트 적층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런 대형 물탱크는 반영구적인 사용과 청결 유지 및 관리상의 이유로, 사용처 대비 경제성이 매우 뛰어난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되어 널리 사용 중이다.
스테인리스 재질의 물탱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 내식성, 부식성이 강하여 수질 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비록 재질 단가는 다른 플라스틱, SMC 등의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사실이나, 구조해석을 통한 설계의 최적화에 의해 스테인리스 소재 사용을 최소화시키고 있음과 함께, 일단 설치되면 20년 이상 특별한 유지보수 없이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사용년수 대비 경제성은 다른 재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탁월하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상용건물에는 대용량 물탱크 중 사각형 물탱크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스테인리스 물탱크는 사각형 웨이브패널(1, 2)을 가로, 세로 방향으로 볼트 내지 용접 시공하여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체적을 갖도록 설치한 것으로서, 각각의 측벽쪽 웨이브패널 연결부위(3)에서 수압(a)을 수직 방향으로 작용 받고 있어서, 가로 방향이나 세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복수개의 크로스(cross) 보강빔 등을 격자 모양으로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크로스 보강빔은 종래의 사각형 스테인리스 물탱크의 탱크 청소, 유지 보수를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이끼, 이물질 등이 서식할 수 있어서 청결성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종래의 사각형 스테인리스 물탱크는 모서리쪽 웨이브패널 연결부위(4)에서 내측면 방향의 수압(b, c) 이나 대각선 방향의 수압(d) 내지 응력을 집중적으로 받고 있다.
이런 이유는 종래의 사각형 스테인리스 물탱크가 육면체 구조이기 때문에 측벽의 표면이나 모서리 부위에서 효과적으로 응력 내지 수압을 분산시키지 못함과 함께 수압 및 응력 집중이라는 취약 부위 때문이다.
즉, 종래의 사각형 스테인리스 물탱크는 특히 모서리 부위와 같은 취약부위에서 뒤틀림 변형, 누수, 파손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서, 등록실용신안 '제02-0296442호'인 연속적 라운드사각구조를 갖는 물탱크와, 등록실용신안 '제03-0331709호'인 다단식 웨이브 워터 탱크와, 등록실용신안 '제04-0343014호'인 원통형 웨이브 워터 탱크와, 등록실용신안 '제04-0343474호'인 상수도 정수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기능성 물탱크에 웨이브형 웨이브패널과 그의 결합관계를 통해 유체의 저장시 수압 및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런데 본 출원인에 의한 웨이브 워터 탱크(연속적 라운드사각구조를 갖는 물탱크)도 역시 전체적으로 볼 때 라운드형 사각형상을 갖고 있는 연유로, 측벽의 표면에 비해 모서리 부위에 상대적으로 큰 수압이 인가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런 상황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앞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함, 예컨대 크로스 보강빔 등을 격자 모양으로 설치하지 않음과 동시에, 측벽의 표면 내지 모서리 부위에서 유체 저장시의 응력 및 수압 분산을 유도할 수 있고, 또한 측벽 자체에서 상기 응력 및 수압을 흡수할 수 있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에 대해서 많은 연구와 노력을 수행하여 본 고안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단면 형상의 웨이브패널 보강재를 결합시켜 웨이브패널간 연결 및 결합구조를 강화시킬 수 있고, 용접 시공 또는 볼트 시공이 가능하여 설치 시공이 간편하며 라운드 곡면에 의해 수압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수압이 집중되어 취약 부위가 되기 쉬운 웨이브패널 결합 부위를 보강할 수 있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각형 웨이브패널 저장탱크의 간략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의 웨이브패널 및 웨이브패널 보강재의 분해 사시도,
도 3b와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웨이브패널 자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웨이브패널 및 웨이브패널 보강재의 측벽 부위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4b는 도 3a에 도시된 웨이브패널 및 웨이브패널 보강재의 모서리벽 부위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웨이브패널에 결합되는 상, 하, 좌, 우 플랜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6a 내지 도 6k는 웨이브패널에 결합되는 웨이브패널 보강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7a 내지 도 7c는 웨이브패널에 결합되는 웨이브패널 보강재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8은 웨이브패널에 결합되는 웨이브패널 보강재의 절곡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g는 웨이브패널에 결합되는 이중 겹침형 웨이브패널 보강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10a 내지 도 10h는 웨이브패널에 결합되는 웨이브패널 보강재에 웨이브패널보강축이 부설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11a 내지 도 11f는 웨이브패널 보강재 없는 웨이브패널에 직접적으로 웨이브패널보강축이 부설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12는 웨이브패널의 상, 하, 좌, 우 플랜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13은 웨이브패널과 웨이브패널 보강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4a 내지 도 14e는 변형된 상, 하, 좌, 우 플랜지를 갖는 웨이브패널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15a 및 도 15b는 변형된 상, 하, 좌, 우 플랜지를 갖는 웨이브패널과 변형된 웨이브패널 보강재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볼트시공에 따른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17a 내지 도 17e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200 : 패널
21, 22, 23, 24, 201, 202, 203, 204 : 플랜지
25 : 웨이브곡면
60 : 보강축
300 ∼ 333 : 보강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개의 웨이브패널을 바닥판에 세운 후 연속적으로 그의 모든 측변 각각을 서로 측벽 방향(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연결 시공하여 만곡하게 각각 부풀어오른 웨이브곡면에서 수압을 분산 수용하고, 연결부위 자체가 지주 역할을 담당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패널의 연결부위인 플랜지의 사이에 보강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은 각각의 웨이브패널 또는 반 원통형 웨이브패널을 바닥판에 높이 방향으로 세운 후 연속적으로 그의 모든 측변 각각을 서로 측벽 방향(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용접 시공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사각형에 가까우나, 만곡하게 각각 부풀어오른 웨이브패널 또는 반 원통형 패널이 측벽의 표면 내지 모서리 부위에서 수압을 분산 수용하고, 연결(용접 또는 볼트 시공에 의함)부위 자체가 지주 역할을 담당하고, 격자 형상으로 배열된 크로스 보강빔이 필요 없는 구조의 어떠한 물탱크 내지 유체 저장탱크와 같은 유체 저장 시설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고안의 웨이브패널 보강구조(이하, '보강구조')란 웨이브패널(이하, '패널'이라 칭함)의 연결부위에 웨이브패널 전용 보강재(이하, '보강재'라 칭함)를 개재시키거나, 또는 웨이브패널 전용 보강축(이하, '보강축'이라 칭함)을 패널 및 보강재에 부설하거나, 또는 패널, 패널의 플랜지, 보강재 각각을 구조적 강성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변형시켜 제작 및 결합시키거나, 또는 패널의 웨이브곡면, 패널의 플랜지, 보강재 자체에 절곡부위 또는 변형부위를 형성하여 강성 증가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어떠한 구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도 2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의 패널 및 보강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b와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패널 자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속적인 라운드 곡면의 측벽(11, 12)을 갖는 연속적 라운드사각구조의 워터 탱크 본체(10)가 될 수 있다.
본체(10)의 보강재, 보강축, 패널, 플랜지, 바닥판, 상판은 하기의 [표 1]과 같은 물성치를 갖는 스테인리스 소재 'POSCO-304' 또는 'POSCO-329J3L'을 사용하여 제작한 것이다.
[표 1]의 스테인리스 소재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331709호'에 개시된방법으로 유니트화 될 수 있다.
본체(10)는 연속적 라운드사각구조의 측벽(11, 12)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판(13)과, 측벽(11, 12)의 하부에 고정되는 바닥판(14)을 포함한다.
미설명 도면부호, '15'는 콘크리트 기저부, '16'은 배관부재, '17'은 삼각형 플랜지 보강판, '18'은 브릿지형 보강구이다.
패널(20)당 플랜지의 폭은 25㎜, 웨이브곡면의 폭은 850㎜, 만곡된 또는 웨이브진 깊이는 1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11, 12)의 용접시공용 또는 볼트시공용 유니트와 같은 패널(20)은 도 3a를 통해서 설명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20, 200)은 그의 상, 하, 좌, 우변에 각각 일체형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용접에 의해 개별적으로 부설될 수 있는 상, 하, 좌, 우 플랜지(21, 22, 23, 24, 201, 202, 203, 204)를 갖는다.
예컨대, 좌측의 패널(20)에서는 좌, 우 플랜지(23, 24)가 웨이브곡면(25)의 좌, 우변에서 웨이브곡면(25)의 뒤쪽 방향을 향하게 일체형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 하 플랜지(21, 22)가 웨이브곡면(25)의 상, 하변에서 웨이브곡면(25)의 앞쪽 방향을 향하게 용접에 의해 부설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우측의 패널(200)에서는 좌, 우 플랜지(203, 204)가 웨이브곡면의 좌, 우변에서 웨이브곡면의 뒤쪽 방향을 향하게 용접에 의해 부설될 수 있고, 상, 하 플랜지(201, 202)가 웨이브곡면의 상, 하변에서 웨이브곡면의 앞쪽 방향을 향하게 용접에 의해 부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널(20, 200)은 웨이브패널간 연결 및 결합구조의 강화 목적으로, 패널(20, 200)이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부위에 단일형 보강재(300)가 개재될 수 있다.
즉, 좌측의 패널(20)의 우 플랜지(24)와 우측의 패널(200)의 좌 플랜지(203)의 사이에 보강재(300)가 면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이때, 보강재(300)는 직사각형 판형상, 축상, 지주형상, 주름판 형상, 중공축, 앵글, 빔형상 등을 갖고, 패널(20, 200)의 높이와 대등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보강재(300)의 가장 기본적인 형상은 좌, 우 플랜지(23, 24, 203, 204)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평면적을 갖는 직사각형 판형상이다.
보강재(300)는 패널(20, 200)의 연결부위에 고정될 때, 용접선 길이 증가, 연결부위의 두께 증가, 단면 모멘트 증가를 가져옴으로써, 결국, 패널(20, 200)과 보강재(300)에 가해지는 응력(예 : 전단 응력), 수압에 의한 휨 모멘트 등을 지지함과 동시에 응력 분담의 역할을 담당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유체 저장을 위한 본 고안의 패널(20')의 변형예를 살펴보면, 웨이브곡면(25)의 정면 내지 배면에는 복수개의 일자형 절곡 돌출부(26)들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측면을 고려하여 다른 패널(20")은 웨이브곡면(25)의 정면 내지 배면에는 격자 내지 십자형 절곡 돌출부(27)들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패널 및 보강재의 측벽 부위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a에 도시된 패널 및 보강재의 모서리벽 부위의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20, 200)을 사용하여 측벽을 연장시킬 때, 패널(20, 200)의 연결부위에 보강재(300)를 개재시킨다.
이때, 보강재(300)의 양측 끝단은 패널(20, 200)의 플랜지(24, 203)보다 소정의 높이(h, H)만큼 돌출되게 용접되며, 이와 같은 용접 방식은 탱크의 모서리 부위(19)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면에서, 도 5a 내지 도 5c는 패널에 결합되는 상, 하, 좌, 우 플랜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고, 도 6a 내지 도 6k는 패널에 결합되는 보강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패널에 결합되는 보강재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패널(20)은 상, 하, 좌, 우 플랜지(22, 23, 24)의 절곡 방향 내지 부설 방향에 따라서 다양한 변형예로 제작 가능하다.
도 5a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도 4a와 달리, 좌, 우 플랜지(23, 24)가 웨이브곡면(25)의 좌, 우변에서 웨이브곡면(25)의 앞쪽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 하 플랜지(22)도 상기 좌, 우 플랜지(23, 24)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플랜지(22, 23, 24)들은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 하 플랜지(22) 및 좌, 우 플랜지(23, 24) 각각은 웨이브곡면(25)의 상, 하, 좌, 우변에서 웨이브곡면(25)의 뒤쪽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때에도 역시 플랜지(22, 23, 24)들은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 하 플랜지(22)는 웨이브곡면(25)을 기준으로 뒤쪽 방향에 배치되며, 좌, 우 플랜지(23, 24)는 웨이브곡면(25)을 기준으로 앞쪽 방향에 배치된다. 이때, 상, 하 플랜지(22)의 양측 끝단은 보강재(300)에 접촉하여 용접 가능하게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변형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k를 통해서 패널(20, 200)의 연결부위에서 용접시공 또는 볼트시공에 의해 결합될 보강재(301 ∼ 311)의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들 보강재(301 ∼ 311)는 꺾이거나 절곡되거나 또는 다른 보강재가 부설되는 변형 길이 내지 면적만큼 단면 모멘트 증가의 이점이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보강재(301)는 평판형(1자형 양측 끝단을 갖고 있음) 몸체(397)에서 양측 끝단(398, 399)이 각각 대향적으로 직각을 이루게 각각 'ㄱ'자 또는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를 참조하면, 보강재(302)는 평판형 몸체(397)의 양측 끝단 부위에서 각각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의 어느 한 방향으로 끝단 중간부위(396)와 끝단(395)을 각각 1차 절곡 및 2차 절곡됨으로써, 결국 평판형 몸체(397)의 일측 끝단 부위의 좌측 또는 우측에, 그리고 평판형 몸체(397)의 반대측 끝단 부위의 우측 또는 좌측에 각각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c를 참조하면, 보강재(303)는 상기 도 6b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절곡되되, 다만 평판형 몸체(397)의 일부와 끝단 중간부위(396)와 끝단(395)을 삼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6d를 참조하면, 보강재(304)는 몸체(397)의 양측 끝단 부위에서 각각 차례로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의 어느 한 방향으로 1차 절곡부위(394), 2차 절곡부위(393), 3차 절곡부위(392)를 각각 절곡시키고 있음으로써, 결국 평판형 몸체(397)의 일측 끝단 부위의 좌측 또는 우측에, 그리고 평판형 몸체(397)의 반대측 끝단 부위의 우측 또는 좌측에 각각 'ㅁ'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e를 참조하면, 보강재(305)는 말아 올리는 판금 작업(curling)을 통해서, 평판형 몸체(397)의 일측 끝단 부위의 좌측 또는 우측에, 그리고 평판형 몸체(397)의 반대측 끝단 부위의 우측 또는 좌측에 각각 'ㅇ'자 단면 형상의 보강부위(391)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f를 참조하면, 보강재(306)는 몸체(397)의 양측 끝단 부위에서 각각 차례로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의 어느 한 방향으로 1차 절곡부위(390)를 직각 절곡 후, 다시 반대측 방향으로 2차 절곡부위(389)를 형성함으로써, 결국 평판형 몸체(397)의 양측 끝단 부위에 각각 'ㄴ'자 단면 내지 'ㄱ'자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g를 참조하면, 보강재(307)는 몸체(397)의 양측 끝단 부위에 후크 형상 부위(387, 389, 390)를 일체형이나 용접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h를 참조하면, 보강재(308)는 몸체(397)의 양측 끝단 부위에 시계 방향으로 1차, 2차, 3차, 4차 절곡시켜서 사각형 단면 형상 부위(383, 384, 385, 386)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i를 참조하면, 보강재(309)는 상기 사각형 단면 형상 부위(383, 384, 385, 386) 중 1차 절곡된 부위(386)와 몸체(397)의 사이 각도를 둔각으로 형성시켜서, 결국 다이아몬드 단면 형상 부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j를 참조하면, 보강재(310)는 몸체(397)의 양측 끝단 부위에 직사각형 단면 형상 부위(382)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사각형 단면 형상 부위(382)는 상대적으로 단면 모멘트 증가뿐만 아니라, 외부에 부착될 마감재와의 접촉 면적 증가에 따라서 보다 안정적인 마감재의 고정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더 있다.
도 6k를 참조하면, 보강재(311)는 앞서 설명한 보강재와 달리 내측 끝단부(381)가 패널(20, 200)의 좌 플랜지(24) 또는 우 플랜지(203)의 끝단에 일치되어서, 탱크 내부 구조를 간소화시킴과 함께 구조적 강성은 보강재(311)가 없는 탱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보강재(311)의 외측 끝단부(380)에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다양한 단면 형상(예 : ㄱ자, ㄴ자, ㄷ자, ㅇ자, 후크형, 다이아몬드형, 사각형, 직사각형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패널(20, 200)의 바깥쪽으로 표출되어 있는 몸체(397)의 일부분이 삼각형, 반원형, 반사각형(ㄷ자 형) 중 어느 하나의 주름부위(379)를 갖도록 변형 제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내지 도 7c에서는 보강재(312 ∼ 314)의 몸체(397)의 변형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a를 참조하면, 보강재(312)는 몸체(397)의 일측 중간 부위에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삼각형, 반원형, 반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주름부위(378, 379)를 형성하여 몸체(397) 자체를 보강하고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보강재(313)는 몸체(397)에 복수개의 주름부위(377)를 서로 동향 또는 대향적으로 형성한 후, 몸체(397)의 양측 끝단에 다양한 단면 형상(예 : ㄱ자, ㄴ자, ㄷ자, ㅇ자, 후크형, 다이아몬드형, 사각형, 직사각형 등)을 형성하고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보강재(314)는 탱크의 내측이 되는 패널(20, 200)의 뒤쪽에 앞서 설명한 주름부위(379)와 상기 다양한 단면 형상을 형성하고 있지만, 패널(20, 200)의 앞쪽에 일측 경사 방향으로 짧게 꺾인 끝단(376)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끝단(376)은 마감재 시공시 패널(20, 20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보온재 내지 단열재(40)를 부착시킨 후, 그러한 단열재(40)를 압착 및 고정시키고 외장을 미려하게 하는 알루미늄, 비금속 시트 또는 박판과 같은 마감재(50, 51)의 고정 위치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도면에서, 도 8은 패널에 결합되는 보강재의 절곡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a 내지 도 9g는 패널에 결합되는 이중 겹침형 보강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강재(315)의 절곡 방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397)의 양측 끝단(374, 375)의 단면 형상이 동일한 방향으로, 즉 동향적으로 각각 절곡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보강재(316)는 이중 겹침형 보강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보강재(315) 두 개를 서로 대향적으로 향하게 몸체(397, 397')끼리 면접촉하게 중첩시켜서, 결국 'I'자 또는 'H'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여, 더욱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면, 보강재(317, 318)도 이중 겹침형 보강재 스타일로서, 양측 끝단을 각각 대향적으로 'ㄷ'자, 'ㅁ'자, 'ㅇ'자, 다이아몬드형, 후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보강재(319)는 서로 다른 끝단을 갖는 몸체(397a, 397b)를 이중 겹침형 보강재 스타일로 중첩시켜서 결국, 'ㅁ'자 단면 형상의 보강 부위를 제공하고 있다. 예컨대, 일측 몸체(397a)의 양측 끝단에는 'ㄴ'자와 'ㄱ'자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몸체(397b)의 양측 끝단에는 'ㄱ'자와 'ㄴ'자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이 상호 면접촉할 경우, 'ㅁ'자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ㅁ'자 형상을 갖도록 하기 위해 4차에 걸쳐서 절곡할 필요가 없어서 제작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e를 참조하면, 보강재(320)는 몸체(397)에 복수개의 삼각형, 반원형, 반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주름부위(378)를 형성한 후,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별개의 삼각빔(373)을 용접에 의해 상기 주름부위(378)에 결합시켜서, 결국 다이아몬드형, 원형,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중공부위(372)를 몸체(397)에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중공부위(372)에는 보강축이 삽입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9f의 보강재(321)는 상기 중공부위(372)를 이중 겹침형 보강재 스타일로형성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예컨대, 보강재(321)는 복수개의 삼각형, 반원형, 반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주름부위(378)를 갖는 몸체(397c, 397d)를 서로 면접촉시킴으로써, 복수개로서 사각, 직사각, 원형, 다이아몬드형 중 어느 하나의 중공부위(372)를 탱크의 안쪽과 바깥쪽에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g의 보강재(322)는 도 9f의 보강재(321)의 끝단에 중공축 또는 실축 중 어느 하나로서 원형, 삼각형, 사각형,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보강축(60)을 더 부설시키고 있다. 이렇게 보강축(60)의 부설에 따라서, 보강재(322)는 더욱 큰 강성을 갖게 되고, 결국 패널(20, 200)의 연결부위를 더욱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도 10a 내지 도 10h는 패널에 결합되는 보강재에 보강축이 부설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고, 도 11a 내지 도 11f는 보강재 없는 패널에 직접적으로 보강축이 부설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보강재(323)는 이중 겹침형 보강재 스타일이 아닌 단일 몸체형으로서, 패널(20, 200)의 연결부위에 결합되어 있되, 실축 또는 중공축 중 어느 하나로서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게 제작 가능한 보강축(60)과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때, 보강축(60)은 용접 방법이 아닌 볼트(61), 너트, 고정 밴드(62)를 이용한 통상의 고정 방법에 의해서도 보강재(323)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보강재(323)의 몸체(397)의 폭이 플랜지(24)의 폭과 일치할 만큼 짧은경우, 상기와 하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 소정의 보강축(60a)은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24)의 일측변에 접촉함과 함께 용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보강재(324)는 'C'자, 'ㄷ'자와 같이 축의 표면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슬릿과 같이 개구된 스타일의 축 부재 또는 그러한 형상의 보강축(63)을 그의 양측 또는 일측 끝단에 부설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c를 참조하면, 보강재(325)는 반원, 반사각형, 삼각형, 반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보강축(64, 64a)을 그의 양측 또는 일측 끝단에 부설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패널(20, 200)의 외측에 배치된 반원형 보강축(64a)의 경우, 함몰 부위가 패널(20, 200)의 외측으로 향하고 있어서, 결국, 함몰 부위의 곡면에 마감재의 끝단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보강재(326)는 도 10c를 통해 언급한 보강축(64, 64a)의 외원주연에 수직하게 'ㄷ'자, 'ㄴ'자, '1'자 형상의 고정 돌출부(66)를 더 형성한 바와 같은, 다른 보강축(65)을 부설하고 있다.
이런 보강축(65)의 고정 돌출부(66)는 보강축(65)과 몸체(397)의 끝단의 결합을 보강하는 역할을 함과 함께, 볼트(61)를 이용하여 결합 시공 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0e를 참조하면, 또 다른 보강축(67)은 고정 돌출부(66)를 그의 함몰 부위의 내원주연에 수직하게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f는 앞서 도 10a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강재(328)의 양측 또는 일측 끝단에 원형 단면 형상뿐만 아니라 사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갖는 보강축(68)을 용접에 의해 부설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0g와 도 10h를 참조하면, 보강재(329, 330)는 몸체(397)의 양측 또는 일측 끝단에 보강축(60)을 부설함과 동시에, 패널(20, 200)과 접촉하는 부위를 제외한 몸체(397)의 소정 부위에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삼각형, 반원형, 반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주름부위(378)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a 내지 도 11f를 참조하면, 패널(20, 200)은 앞서 상세히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보강재가 없는 형태로서, 패널(20, 200)의 플랜지를 직접 상호 면접촉시키도록 연결하고, 플랜지 연결부위 중 탱크의 내측에 위치한 끝단, 또는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탱크의 외측 부위에 보강축(60, 60', 63, 64, 65, 67, 68)을 부설시킨 보강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서, 도 12는 패널의 상, 하, 좌, 우 플랜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고, 도 13은 패널과 보강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4a 내지 도 14e는 변형된 상, 하, 좌, 우 플랜지를 갖는 패널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며, 도 15a 및 도 15b는 변형된 상, 하, 좌, 우 플랜지를 갖는 패널과 변형된 보강재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패널(20, 200)의 연결부위에서 플랜지(23, 24, 203, 204)끼리 면접촉하고 있는 부위에는, 패널(20, 200) 제작시에 절곡 성형을 가하여 플랜지(23, 24, 203, 204)를 '1'자, 'ㄱ'자, 'ㄴ'자, 'ㄷ'자, 'ㅇ'자, 'ㅁ'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변형부위(70, 71, 72, 73)가 일체형 또는 부착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변형부위(70, 71, 72, 73)를 갖는 패널(20, 200)의 연결부위에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보강재(314)를 개재시켜서 더욱 뛰어난 보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패널(20, 200)은 좌측 플랜지(23, 203)에 크기가 작은 'ㄱ'자, 'ㄴ'자, 'ㄷ'자, 'ㅇ'자, 'ㅁ'자, 시계 태엽(사각형 또는 원형 회오리)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다른 소형 변형부위(74)를 형성하고, 우측 플랜지(24, 204)에 상기 소형 변형부위(74)를 감싸안을 수 있고 상기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대형 변형부위(75, 76, 77)를 형성함으로써, 플랜지(20, 200)의 연결부위에 보강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보강재 역할 또는 보강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변형부위(74, 75, 76, 77)간의 접촉부위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14d와 도 14e를 참조하면, 패널(20, 200)의 플랜지(23, 24, 203, 204)는 보강축을 대신하여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키려는 목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절곡된 변형부위(74)와, 그의 반대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절곡된 대응 변형부위(79)를 접촉시킨 후,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a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331, 332)는 패널(20, 200)의 변형부위(70, 71, 72, 73, 74, 79)가 끼워질 수 있는 'ㄷ'자, 시계 태엽 형상, 후크형, 'T'자 단면 형상을 갖는 가이드 홈(340, 341)을 형성하고, 그러한 가이드 홈(340, 341)에서 접촉하는 변형부위(70, 71, 72, 73, 74, 79)와 용접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결국 패널(20, 200) 전체의 연결부위를 보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볼트 시공에 의한 패널 및 보강재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면에서, 도 16a 내지 도 16c는 패널보강구조의 볼트시공에 따른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패널(20, 200)은 패널간 연결부위, 모서리 부위, 상판과 바닥판의 연결부위의 플랜지, 보강재(330), 이런 보강재(330)의 양측면에 배치된 고무패킹(350)을 개재한 상태로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볼트 시공 가능하다.
도 16b를 참조하면, 특히 모서리 부위에서의 플랜지(204)는 측벽 부위의 플랜지(203)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물론, 도 16c에서와 같이, 플랜지(204, 205)는 탱크의 외측 방향으로 모두 절곡된 상태로 볼트 시공될 수 있어서, 탱크에 저장하고 있는 물과 볼트가 서로 비 접촉하게 할 수 있다. 볼트 시공에 사용되는 보강재(330)도 역시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주름부위, 절곡부위 등을 더 형성하고 있을 수 있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보강축이 더 부설되거나 플랜지 자체에 변형부위가 형성되어서 탱크의 구조적 강성과 안전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 도 17a 내지 도 17e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패널(20, 200)의 플랜지(24, 203)에는 그의 끝단이나 중간 부위에 앞서 언급한 보강재의 주름부위와 대등한 주름부위(79a, 79b)가 형성되어 있어서, 패널시공에 따라 플랜지(24, 203)들끼리 면접촉할 경우, 플랜지(24, 203)의 주름부위(79a, 79b)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플랜지 중공부위(360)가 형성되게 되어서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7b를 참조하면, 주름부위(79a, 79b)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플랜지 중공부위(360)에는 보강축(60)이 더 삽입되어 있어서 응력 분산과 패널 지지의 이점이 있다.
도 17c를 참조하면, 보강재(333)는 그의 폭이 패널(20, 200)의 플랜지(24, 203)의 폭과 일치할 만큼 짧음과 함께, 플랜지(24, 203)의 사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플랜지(24, 203)와 웨이브곡면(25)이 각각 아치 형상으로 만나는 곳에 위치한 보강재(333)의 외측단에는 보강축(60)이 용접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패널(20, 200) 및 그의 연결부위에 인가된 수압과 응력을 보강축(60)에서 분산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d를 참조하면, 보강재는 개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보강축(60)은 플랜지(24, 203)와 웨이브곡면(25)이 각각 아치 형상으로 만나는 곳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e를 마지막으로 참조하면, 보강재의 유무에 관여치 않는 보강축(60)은플랜지(24, 203)와 웨이브곡면(25)이 각각 아치 형상으로 만나는 곳에 용접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80)는 보강축(60)의 축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보강축(60)의 외주연과 패널(20, 200)의 웨이브곡면(25)에 접촉하는 각각의 지점에 용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 패널(20, 200)과 연결부위를 통해 인가된 응력이나 수압이 보강축(60)을 따라 분산됨과 동시에, 그러한 보강축(60)을 복수개의 가로대(80)로 지지시키는 이점이 있다.
같은 이점을 발휘하기 위해, 복수개의 가로대(80)대 대신에 지지판(81)이 앞서 가로대(80)와 유사하게, 보강축(60)의 외주연과 패널(20, 200)의 웨이브곡면(25) 및 패널(20, 200)의 상, 하 플랜지(22, 202)에 접촉하는 각각의 지점에 용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은 다양한 형태의 보강재를 패널의 연결부위에 개재하고 있음으로써, 패널 자체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상대적으로 단면 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유체가 탱크에 저장될 때 발생되는 내측면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의 수압 내지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연결부위를 더욱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은 다양한형태의 단일형 또는 이중 겹침형 보강재가 제공되어서 제품별로 다양한 보강구조를 형성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은 용접형이나 볼트 시공형 모두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은 패널 또는 보강재 등에 주름부위, 절곡부위, 변형부위를 형성하여 더욱 패널간 연결부위의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0)

  1. 복수개의 웨이브패널(20, 200)을 바닥판에 세운 후 연속적으로 그의 모든 측변 각각을 서로 측벽 방향으로 연결 시공하여 만곡하게 각각 부풀어오른 웨이브곡면(25)에서 수압을 분산 수용하고, 연결부위 자체가 지주 역할을 담당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패널(20, 200)의 연결부위인 플랜지(23, 24, 203, 204)의 사이에 보강재(300 ∼ 333)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곡면(25)에는 복수개의 일자형, 격자형, 십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의 절곡 돌출부(26, 27)들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300 ∼ 333)는 상기 웨이브패널(20, 200)의 플랜지(23, 24, 203, 204)에 면접촉하게 용접되고, 상기 플랜지(23, 24, 203, 204)의 끝단과 상기웨이브곡면(25) 보다 돌출되어 있는 양측 끝단을 갖는 단일형 또는 이중 겹침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의 몸체(397, 397', 397a, 397b, 397c, 397d)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300 ∼ 333)는 상기 몸체(397, 397', 397a, 397b, 397c, 397d)의 일부분이 복수개의 삼각형, 반원형, 반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의 주름부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300 ∼ 333)는 끝단에 '1'자, 'ㄱ'자, 'ㄴ'자, 'ㄷ'자, 'ㅁ'자, 'ㅇ'자, 삼각형, 후크 형상, 사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의 절곡부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300 ∼ 333)는 다이아몬드형, 원형,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의 중공부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300 ∼ 333)의 중공부위에는 보강축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20, 200)의 플랜지(23, 24, 203, 204)는 'ㄱ'자, 'ㄴ'자, 'ㄷ'자, 'ㅇ'자, 'ㅁ'자, 사각형 회오리, 원형 회오리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변형부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300 ∼ 333)는 상기 변형부위가 끼워질 수 있는 'ㄷ'자, 시계 태엽 형상, 후크형, 'T'자 단면 형상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20, 200)의 플랜지(23, 24, 203, 204)는 삼각형, 반원형, 반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의 주름부위를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랜지(23, 24, 203, 204)의 상호 면접촉시 다이아몬드형, 원형, 사각형의 중공부위를 형성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3, 24, 203, 204)의 중공부위에는 보강축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3, 24, 203, 204)에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직사각형,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보강축이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300 ∼ 333)에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직사각형,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보강축이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20, 200)은 상기 플랜지(23, 24, 203, 204)의 사이에서 상기 보강재(300 ∼ 333)의 양측면에 각각 고무패킹(350)을 개재한 상태로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볼트 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20, 200)의 플랜지(24, 203)에는 플랜지 중공부위(360)를 갖도록 주름부위(79a, 79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중공부위(360)에는 보강축(60)이 더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호 면접되게 고정되어 있는 상기 플랜지(24, 203)와 웨이브곡면(25)이 각각 아치 형상으로 만나는 곳에 보강축(60)을 용접하여 고정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축(60)을 상기 플랜지(24, 203)와 웨이브곡면(25)이 각각 아치 형상으로 만나는 곳 중, 상기 플랜지(24, 203)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보강재(300 ∼ 333)의 외측단에 고정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80)가 상기 보강축(60)의 외주연과 상기 패널(20,200)의 웨이브곡면(25)에 접촉하는 각각의 지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81)이 상기 보강축(60)의 외주연과 상기 패널(20, 200)의 웨이브곡면(25)과 상기 패널(20, 200)의 상, 하 플랜지(22, 202)에 접촉하는 각각의 지점에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KR20-2004-0009349U 2004-04-06 2004-04-06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KR200354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349U KR200354077Y1 (ko) 2004-04-06 2004-04-06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349U KR200354077Y1 (ko) 2004-04-06 2004-04-06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077Y1 true KR200354077Y1 (ko) 2004-06-23

Family

ID=4934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349U KR200354077Y1 (ko) 2004-04-06 2004-04-06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07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45B1 (ko) 2010-01-19 2010-05-11 주식회사 거동기업 무용접 래깅 기구 및 래깅 방법
KR101542810B1 (ko) * 2014-12-10 2015-08-10 주식회사 현진기업 다목적 물저장탱크
KR101851536B1 (ko) * 2016-04-18 2018-04-24 죽암건설 주식회사 웨이브형 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40815B1 (ko) * 2021-12-01 2022-09-06 김원빈 웨이브형 조립블록을 이용한 내진성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45B1 (ko) 2010-01-19 2010-05-11 주식회사 거동기업 무용접 래깅 기구 및 래깅 방법
KR101542810B1 (ko) * 2014-12-10 2015-08-10 주식회사 현진기업 다목적 물저장탱크
KR101851536B1 (ko) * 2016-04-18 2018-04-24 죽암건설 주식회사 웨이브형 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40815B1 (ko) * 2021-12-01 2022-09-06 김원빈 웨이브형 조립블록을 이용한 내진성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8916A (en) Novel corrugated metal building structural unit
KR200354077Y1 (ko) 웨이브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US5469674A (en) Arched roof vertical wall self supporting metal building constructions
RU2347049C1 (ru) Длинномерная несу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тойка опоры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варианты)
KR100714662B1 (ko) 전단에서 후단쪽으로 좁아지는 에이치형 외팔보
KR200343014Y1 (ko) 원통형 웨이브 워터 탱크
KR101298981B1 (ko) 외부보강형 조립식 물탱크
US5220765A (en) Space frame structure
JP4164511B2 (ja) 鉄筋トラス付デッキプレート
JPH11190100A (ja) 長尺建築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RU2059770C1 (ru) Сводчатое сооружение
KR100440433B1 (ko) 연속적 라운드사각구조를 갖는 물탱크
CN213313499U (zh) 一种钢结构沉淀池的侧壁结构及其钢结构沉淀池
KR200331709Y1 (ko) 다단식 웨이브 워터 탱크
KR101851536B1 (ko) 웨이브형 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54098Y1 (ko) 클래드패널을 이용한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JP2008002152A (ja) 先組み鉄筋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形成用の連結金具
JP5124438B2 (ja) タンクの補強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558433B1 (ko) 보강부를 갖는 저장탱크
KR100576215B1 (ko) 상하 웨이브형 저장시스템
KR200352565Y1 (ko) 보강부를 갖는 저장탱크
JPH0221430Y2 (ko)
KR100244887B1 (ko) 조립식 탱크구조물
KR100638651B1 (ko) 웨이브형 저장시스템의 상판구조
KR100424321B1 (ko) 철선을 구비한 건축용 슬래브의 데크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