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973Y1 -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 - Google Patents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973Y1
KR200353973Y1 KR20-2004-0008909U KR20040008909U KR200353973Y1 KR 200353973 Y1 KR200353973 Y1 KR 200353973Y1 KR 20040008909 U KR20040008909 U KR 20040008909U KR 200353973 Y1 KR200353973 Y1 KR 200353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 emitting
emitting member
vehic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규
Original Assignee
장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규 filed Critical 장준규
Priority to KR20-2004-0008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9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9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C)의 프런트도어(D) 일측에 설치되는 미러하우징(10)과, 상기 미러하우징(10)에 설치되는 미러(20)와, 상기 미러(2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재(31)와, 상기 미러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부재(31)를 점멸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이드미러의 내측에 발광부재를 설치하여 후방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하여, 야간에도 장식적 미감을 향상하고, 사이드미러의 위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사이드미러에 설치된 발광부재를 지시등으로 사용하여 보다 명확한 정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상해 또는 사이드미러의 파손을 예방함과 동시에 비상시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갖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The side-mirror which has a luminous function}
본 고안은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미러의 내측에 발광부재를 설치하여 후방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한 것으로써, 야간에도 사이드미러의 위치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사이드미러에 설치된 발광부재를 지시등으로 사용하여 보다 명확한 정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상해 또는 사이드미러의 파손을 예방함과 동시에 비상시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이하, 차량과 혼용함)라 함은 원동기를 사용하여 궤조 또는 가선에 의하지 않고 운전되는 운송기계로서, 그 구성으로는 엔진, 연료공급장치, 동력전달장치, 현가 및 조향장치, 제동장치, 배출장치, 공조장치, 냉각 및 윤활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안전한 주행을 위해서는 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유무를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차량의 실내 및 실외에는 다수개의 백미러(Back Mirror)가 설치된다.
상기 백미러는 실내에 설치되는 룸미러(Room Mirror)와 실외에 설치되는 사이드미러(Side Mirror) 등으로 구성되며, 특히 차량의 프런트도어(Front Door)에 설치되는 사이드미러는 차선의 변경 시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의 유무를 확인하여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사이드미러는 프런트도어의 외측에 차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바, 야간에는 그 식별이 용이하지 못함으로 인해, 정차 시에 보행자 또는 다른 차량이 사이드미러를 식별하지 못하여 부딪히게 되어, 보행자가 다치거나 사이드미러가 파손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야간 주행중에도 사이드미러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여 접촉사고가 발생되며, 그로인해 대형교통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이드미러의 내측에 발광부재를 설치하여 후방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도 사이드미러의 위치를 보행자 또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정확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한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미러에 설치된 발광부재를 지시등으로 사용하여 보다 명확한 정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의한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의 부분절개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의한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의한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의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의한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의한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절개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미러하우징 20 : 미러
21 : 유리층 22 : 반사코팅층
23 : 관통공 30 : 기판
31 : 발광부재 40 : 몰딩케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는, 차량의 프런트도어 일측에 설치되는 미러하우징과, 상기 미러하우징에 설치되는 미러와, 상기 미러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재와, 상기 미러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부재를 점멸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의한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의 부분절개 설치상태도로서, 차량(C)의 사이드도어(D)에 미러하우징(10)과 미러(20) 및 기판(30)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의한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의 분해사시도로서, 사이드도어(10)의 내측에 발광부재(31)가 설치된 기판(30)이 삽입 설치되고, 그 외측으로 유리층(21)과 반사코팅층(22)으로 구성된 미러(20)가 덮어지도록 설치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의한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의 부분단면도로서, 기판(30)의 발광부재(31)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23)이 형성됨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C)의 사이드도어(D) 일측에 미러하우징(10)이 설치되고, 상기 미러하우징(10)에는 반사코팅층(22)에 관통공(23)을 형성한 미러(20)가 설치되며, 상기 미러(20)의 후면에는 발광부재(31)가 설치된 기판(30)이 설치된다.
상기 미러하우징(10)은 사이드도어(D)의 전방하측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그 재질과 형상 및 구성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미러(20)는 유리층(21)과 상기 유리층(21)의 후면에 형성되는 반사코팅층(22)으로 구성되며, 상기 반사코팅층(22)은 미러(20)의 반사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얇은 반사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유리층(21)으로 입사된 빛은 유리층(21)을 투과하여 반사코팅층(22)에서 반사된 후, 다시 유리층(21)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다.
상기 기판(30)은 특정한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발광부재(31)가 설치되며, 상기 발광부재(31)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Control Module)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은 상기 다수개의 발광부재(31)를 소정의 규칙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점멸하거나 동시에 점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차량(C)의 지시등과 동일하게 동작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재(31)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은,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차량(C)에 설치된 다른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유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10)에서 방출되는 빛이 미러(2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미러(20)의 반사코팅층(22)에는 발광부재(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23)을 형성한다.
즉, 반사코팅층(22)을 제거하여 관통공(23)을 형성한 곳은 발광부재(31)의빛이 방출되도록 하고,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반사코팅층(22)은 원래의 목적인 후방시야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발광부재(31)에서 방출되는 빛은 관통공(23)을 거쳐 후방으로 방출되기도 하나, 일부분은 반사코팅층(22)의 후면에 반사되어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거나, 방출되더라도 확산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판(30)에 설치된 발광부재(31)의 주위를 둘러 감싸도록 몰딩케이스(40)를 설치한다.
상기 몰딩케이스(40)는 내측이 빛을 반사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금속재로 구성하거나 별도의 반사막을 내측에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발광부재(31)에서 방출된 모든 빛은 몰딩케이스(40)의 내벽에 반사되어 관통공(23)을 통해 방출되도록 한 것이며, 방출되는 빛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의한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절개 설치상태도로서, 다수의 발광부재(31) 및 관통공(23)이 특정한 형상을 갖도록 배치됨을 나타낸다.
즉, 다수의 발광부재(31) 및 관통공(23)을 화살표형상을 이루도록 배치하여 지시등과 동시에 점멸하도록 함으로써,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자신의 진행방향을 명확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발광부재(31) 및 관통공(23)이 이루는 형상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31)는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하나의 엘이디가 다수의 색을 방출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평상시에는 지시등과 동일한 색을 방출하면서 지시등과 동일하게 동작하도록 하며, 비상시에는 적색을 방출하여 점멸하도록 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색을 순차적으로 방출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발광부재(31)가 설치된 기판(30)과 미러(20)를 하나의 모듈(Module)로 구성하여, 기존의 미러하우징(10)에도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야간에 사이드미러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여 보행자 또는 다른 차량이 사이드미러를 식별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보행자의 상해 또는 사이드미러의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평상시와 비상시에 서로 다른 색을 방출하도록 하여, 비상시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색을 순차적으로 방출하여 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차량(C)의 프런트도어(D) 일측에 설치되는 미러하우징(10)과,
    상기 미러하우징(10)에 설치되는 미러(20)와,
    상기 미러(2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재(31)와,
    상기 미러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부재(31)를 점멸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31)는 미러(20)의 후면에 형성된 반사코팅층(22)에 관통공(23)을 뚫고, 이 관통공(23)과 대응되는 위치에 발광부재(3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31)는 그 외부를 몰딩케이스(40)로 둘러싸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
KR20-2004-0008909U 2004-03-31 2004-03-31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 KR200353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909U KR200353973Y1 (ko) 2004-03-31 2004-03-31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909U KR200353973Y1 (ko) 2004-03-31 2004-03-31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973Y1 true KR200353973Y1 (ko) 2004-06-23

Family

ID=4934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909U KR200353973Y1 (ko) 2004-03-31 2004-03-31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9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602B1 (ko) * 2005-11-19 2007-03-09 조기상 타임딜레이를 이용한 차폭등/방향지시등 겸용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602B1 (ko) * 2005-11-19 2007-03-09 조기상 타임딜레이를 이용한 차폭등/방향지시등 겸용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1243E1 (en) Multi-functional side rear view mirror for a vehicle
US6769798B2 (en) Side mirror cover and cover lamp to be used therefor
US11231157B2 (en)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n electric vehicle
US7192172B1 (en) Visual warning device
CN101791966B (zh) 包括发光纤信号的后视镜组件
JP2004001710A (ja) サイドミラーカバー並びにサイドミラー本体及びこれらに用いられるランプ
CN106809112B (zh) 中分式车门的照明开门警告
US20050281043A1 (en) Side view mirror with light emitting trim ring
KR20000053566A (ko) 일체식 표시소자를 가진 자동차용 백미러
US20070081350A1 (en) Rearview mirror and signal light arrangement
US11485279B2 (en) Hybrid backup light with integrated warning light
KR102050467B1 (ko) 자동차의 조명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자동차
US11318888B2 (en)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battery charge level indicator
KR200353973Y1 (ko) 발광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
JP4206471B2 (ja) 車両側部照明装置
WO2010079716A1 (ja) 表示装置
CN107082043B (zh) 三模式警用反射镜
KR200405961Y1 (ko) 도로 표지병.
US6817742B2 (en) Vehicle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color changing legs
CN220809284U (zh) 一种用于外后视镜的辅助灯、外后视镜以及车辆
KR200438736Y1 (ko) 신호 표시 기능을 갖는 차량번호판 커버
KR102001229B1 (ko) 차량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보행자 교통신호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281503Y1 (ko) 차량용 방향지시등
JP4309717B2 (ja) 車両用後方警告灯
KR100419953B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