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302Y1 - 도로용 안전표시등 - Google Patents

도로용 안전표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302Y1
KR200353302Y1 KR20-2004-0006953U KR20040006953U KR200353302Y1 KR 200353302 Y1 KR200353302 Y1 KR 200353302Y1 KR 20040006953 U KR20040006953 U KR 20040006953U KR 200353302 Y1 KR200353302 Y1 KR 200353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hargeable battery
case
lamp
permanent magne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주)삼주건설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주건설기술단 filed Critical (주)삼주건설기술단
Priority to KR20-2004-0006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3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3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8Lane delineators for physically separating traffic lanes and discouraging but not preventing cro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6Vibration harve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차도에 매설되어 중앙선, 차선, 정지선 및 횡단보도선 등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표시등에 관한 것으로, 차선이 도포된 위치에 매설되는 함과; 상기 함의 상면 개구부 일부를 덮는 평판형상의 전달판과; 내부에 소정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 진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의 상면 및 저면에서 상기 케이스와의 탄성연결을 각각 매개하는 상단스프링 및 하단스프링과, 상기 영구자석을 감싸듯 위치되어 영구자석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되어지는 코일과, 코일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정류하여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정류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전달판의 하방으로 밀착연결되어 상기 함 내부에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변압기와; 변압기로부터 공급된 전기로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기와; 충전지; 및, 상기 함에 탑재되어 충전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소켓과, 소켓에 연결되는 램프와, 램프의 상면을 덮어 외력으로부터 이를 보호하는 투명캡으로 된 발광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용 안전표시등{beacon lights}
본 고안은 차도에 매설되어 중앙선, 차선, 정지선 및 횡단보도선 등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표시등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의 통행을 목적으로 하는 차로에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유도하고 다른 차량과의 측면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한편, 보행자의 안전한 차로 횡단을 위해 특정부분에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는 차선을 그어 차로를 정비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차선은 도로 상에 이종의 안료로 도포하여 시각적인 구분이 되도록 한 것이므로, 타이어와의 지속적인 마찰로 인해 벗겨지거나 닳아 소멸되고, 이로인해 운전자의 식별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안료가 도포된 차선 상에 반사체를 매설하여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운전자로 반사하여 차선의 위치가 파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외에도,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램프를 설치함으로서, 차선을 조명하거나, 실질적으로 차선이 보이지 않더라도 상기 램프의 발산광을 통해 운전자가 차선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의 종래기술은 상기 반사판의 표면에 이물질이 끼면서 그 효과가 저하되고, 안개가 많은 날에는 공기 중에 표류하는 수증기 입자에 의해 전조등의 발산광이 흡수/산란되므로 운전자가 용이하게 차선을 식별할 수 없다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한편, 후자의 종래기술은 야간은 물론 안개 낀 날씨에도 운전자가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당해 종래기술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하므로, 차선의 용이한 식별을 목적으로 도로에 소비되는 전력을 차선에 설치된 램프에 분배/공급하기에는 유지비용이 부담스러웠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야간 및 안개가 낀 날씨에도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의 식별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한편, 이를 위해 초기설치 비용을 제외한 다른 유지비용은 별도로 요구되지 않는 경제적인 안전표시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표시등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표시등의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3은 도 2는 발전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전기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 ; 중앙선 2 ; 정지선
3 ; 횡단보도 10, 10' ; 보도
20 ; 차도 100 ; 안전표시등
110 ; 발광부 112 ; 램프
113 ; 소켓 121 ; 충전기
122 ; 충전지 131 ; 함
132 ; 투명캡 133 ; 전달판
140, 140', 140" ; 발전기 141 ; 케이스
142 ; 영구자석 143 ; 상단스프링
144 ; 하단스프링 145 ; 유도코일
146 ; 가이드레일 147 ; 정류회로
150 ; 변압기 C ; 차량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선이 도포된 위치에 매설되는 함과;
상기 함의 상면 개구부 일부를 덮는 평판형상의 전달판과;
내부에 소정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 진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의 상면 및 저면에서 상기 케이스와의 탄성연결을각각 매개하는 상단스프링 및 하단스프링과, 상기 영구자석을 감싸듯 위치되어 영구자석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되어지는 코일과, 코일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정류하여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정류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전달판의 하방으로 밀착연결되어 상기 함 내부에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변압기와;
변압기로부터 공급된 전기로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기와;
충전지; 및,
상기 함에 탑재되어 충전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소켓과, 소켓에 연결되는 램프와, 램프의 상면을 덮어 외력으로부터 이를 보호하는 투명캡으로 된 발광부;
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표시등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표시등(100)은 차도(20)의 차선에 배치되어 차선의 윤곽을 명확히 드러나게 하고 야간 및 안개 낀 날씨에도 운전자가 차선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교통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에 의해 반드시 확인되어야 할 중앙선(1), 정지선(2) 또는 횡단보도선(3) 상에는 상기 안전표시등(100)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표시등의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는 발전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표시등(100)은, 차선이 도포된 차도의 소정위치에 매설되는 함(131)과, 함(131)의 상방 개구부를 일부 덮는 전달판(133)과, 함(131)이 매설된 인접지를 통행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차도(20)의 진동을 흡수하여 이를 발전원으로 발전하는 발전기(140)와, 발전기(140)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한 후 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변압기(150)와, 변압기(150)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받아 충전지(122)를 충전시키는 충전기(121)와, 충전지(122) 및, 충전지(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는 소켓(113)과 소켓(113)에 끼워져 공급된 전기로 발광하는 램프(112) 및 램프(112)를 보호하는 투명캡(132)으로 된 발광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함(131)은, 상방개구된 입방체형상으로, 상기 발전기(140)가 차도(20) 면에 근접되도록 깊지 않은 얇은 두께를 가지며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행차량(C)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력을 발전기(140)가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131)의 상방개구부를 덮되 하방으로 발전기(140)가 밀착연결되는 평판형상의 전달판(133)이 더 구비된다. 전달판(133)은 진동에 민감한 재질로 됨과 더불어 다수의 발전기(140)들을 연결시킬만한 충분한 면적으로 차도(20)와 수평하게 매설되므로 진동흡수가 더욱 수훨하며, 발전기(140)가 전달판(133)에 비해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함(131)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므로 통행차량(C)으로부터 발생된 진동력이 함(131)으로 흡수/소멸되고 남은 힘만이 발전기(140)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그 효율이 더욱 좋아진다. 이때, 상기 전달판(133)은 함(131)의 상방개구부의 일부만을 덮게 되고, 그 나머지 개구부는 상기 발광부(110)가 점유하게 된다.
상기 발전기(140)는, 통행차량으로부터 흡수된 진동력이 관성에 의한 영구자석(146)의 떨림을 야기하여 전류를 유도한다는 원리가 응용된 것으로, 이를 위해, 내부에 소정공간을 갖는 케이스(141)와, 케이스(141)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146)과, 가이드레일(146)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 진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영구자석(142)과, 영구자석(142)의 상면 및 저면에서 상기 케이스(141)와의 탄성연결을 각각 매개하는 상단스프링(143) 및 하단스프링(144)과, 상기 영구자석(142)을 감싸듯 위치되어 영구자석(142)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되어지는 코일(145)과, 코일(145)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정류하여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정류회로(147)로 구성되고, 상기 전달판의 하방에 병렬로 밀착연결된다.
즉, 상기 발전기(140)는 영구자석이 자기장을 발산하면서 코일내부를 평행하게 왕복하면, 자기장의 세기가 변하면서 이에 상응하는 전류가 코일에 유도된다는 원리가 적용된 것으로, 진동력을 흡수한 전달판(133)이 진동하면서 상기 케이스(141)를 더불어 진동시키면 가이드레일(142)로 유동가능하게 고정된 영구자석(142)이 상기 스프링(143, 144)으로 인해 관성에 의한 상대운동을 하게 되고, 이는 코일(145) 내부의 자기장을 변화시켜 전류를 유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143, 144)은 전달판(133)으로 더이상의 진동력이 제공되지 않아도 영구자석(142)의 운동을 지속시켜 발전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스프링(143, 144)의 탄성율은 미세한 진동도 감지할 수 있는 고감도를 가진 것일수록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전기(140)는 교류전류를 발생시키므로, 이를 충전지(122)를 충전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147)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류회로(147)는 다양한 것들이 적용될 수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사이리스터와 같은 간단한 정류소자가 이용되었다.
계속해서, 상기 발전기(140)의 발전용량은 램프(112)를 발광시킬만큼 충분하지 못하므로, 하나이상의 발전기(140)가 병렬연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전기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로, 본 고안에 따른 발전기의 연결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변압기(150)는 발전기(140, 140', 140")들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받아 충전기(121)의 구동에 요구되는 전압으로 변압한 후, 이를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충전기(121) 및 충전지(122)는 변압기(132)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받아 구동되면서 램프(112)의 발광에 필요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충전기(121) 및 충전지(122)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그 내부구조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가 아니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 기술되는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내에서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발광부(110)는, 충전지(122)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램프(112)로 공급하는 소켓(113)과 램프(112)를 포함하며, 외부에서 상기 소켓(113) 및 램프(112)를 보호하는 투명캡(113)이 더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부(110)는 원거리에서도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차도(20) 상에 그 일부가 돌출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안전표시등이 매설된 인접지를 통행하는 차량으로부터 필요한 진동력을 제공받아 발전하는 발전기가 설치됨으로서, 램프의 발광에 요구되는 전기에너지를 자체적으로 발전하여 공급할 수 있고, 야간 및 안개 낀 날씨에서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램프를 별도의 유지비용 부담없이 활용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으로 안전운전에 도움을 준다.

Claims (1)

  1. 차선이 도포된 위치에 매설되는 함과;
    상기 함의 상면 개구부 일부를 덮는 평판형상의 전달판과;
    내부에 소정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 진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의 상면 및 저면에서 상기 케이스와의 탄성연결을 각각 매개하는 상단스프링 및 하단스프링과, 상기 영구자석을 감싸듯 위치되어 영구자석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되어지는 코일과, 코일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정류하여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정류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전달판의 하방으로 밀착연결되어 상기 함 내부에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변압기와;
    변압기로부터 공급된 전기로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기와;
    충전지; 및,
    상기 함에 탑재되어 충전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소켓과, 소켓에 연결되는 램프와, 램프의 상면을 덮어 외력으로부터 이를 보호하는 투명캡으로 된 발광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표시등.
KR20-2004-0006953U 2004-03-15 2004-03-15 도로용 안전표시등 KR200353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953U KR200353302Y1 (ko) 2004-03-15 2004-03-15 도로용 안전표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953U KR200353302Y1 (ko) 2004-03-15 2004-03-15 도로용 안전표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302Y1 true KR200353302Y1 (ko) 2004-06-14

Family

ID=49431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953U KR200353302Y1 (ko) 2004-03-15 2004-03-15 도로용 안전표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3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3468B1 (en) Pavement marker modules
US9959754B1 (en) Pavement marker modules
US7347643B2 (en) Road stud
KR101061957B1 (ko) 풍력발전을 이용한 안전운전 장치 및 방법
KR100694289B1 (ko) 횡단보도의 발광장치
KR102087775B1 (ko) 자기유도발전장치가 내장된 조명 경광유닛
KR200353303Y1 (ko) 자가발전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램프를 갖춘 중앙분리대
KR200353302Y1 (ko) 도로용 안전표시등
KR100945398B1 (ko) 발광 조립체 및 발광 조립체가 구비된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KR101112997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유도용 표시등
KR101158243B1 (ko)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RU123111U1 (ru)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пешеходного перехода (устройство в целом), светодиодный светильник (часть целого)
KR200413570Y1 (ko) 태양광 전지패널을 갖는 차선 유도등
KR101654046B1 (ko) 차단봉
KR20190140797A (ko) 능동형 스마트 가로등
KR200465502Y1 (ko) 압전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안개 유도등 시스템
KR20100100458A (ko) 도로 표지병
KR200407052Y1 (ko) 풍력발전 발광 델리네이터
KR200352097Y1 (ko) 자가발전기를 갖춘 조명기구가 설치된 교량
WO2012025908A1 (en) A visual warning device
KR200466847Y1 (ko) 중앙분리블록
KR200239255Y1 (ko) 발전수단이 구비된 교통신호등
KR200353304Y1 (ko) 도로용 과속방지턱
GB2403499A (en) Solar powered illuminated bollard
KR101104293B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