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303Y1 - 자가발전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램프를 갖춘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자가발전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램프를 갖춘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303Y1
KR200353303Y1 KR20-2004-0006954U KR20040006954U KR200353303Y1 KR 200353303 Y1 KR200353303 Y1 KR 200353303Y1 KR 20040006954 U KR20040006954 U KR 20040006954U KR 200353303 Y1 KR200353303 Y1 KR 200353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
road
rechargeable battery
cas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주)삼주건설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주건설기술단 filed Critical (주)삼주건설기술단
Priority to KR20-2004-0006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3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3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3/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built-in electric generators
    • F21L13/06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built-in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e, e.g. spring
    • F21L13/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built-in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e, e.g. spring by reciprocating pusher actuated by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에 입설되어 차량통행을 안내하고 이탈된 차량의 진행을 물리적으로 저지하도록 된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 또는 안개가 많은 날에 운전자가 중앙분리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램프가 설치된 것으로, 도로의 중심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입설되는 지주부와 지주부를 도로면에 고정시키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포스트와, 포스트들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시각적으로 편도차선을 분리하는 레일로 구성된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도로면에 일부 매설되는 함과, 이 함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도로에 밀착되는 보강대로 구성되고; 내부에 소정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 진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의 상면 및 저면에서 상기 케이스와의 탄성연결을 각각 매개하는 상단스프링 및 하단스프링과, 상기 영구자석을 감싸듯 위치되어 영구자석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되어지는 코일과, 코일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정류하여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정류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함 내부에 병렬로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변압기와; 변압기로부터 공급된 전기로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기와; 충전지; 및, 상기 지주부에 고정되며 상기 충전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소켓과, 소켓에 연결되는 램프를 포함하는 발광부; 가 더 포함된 것이다.

Description

자가발전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램프를 갖춘 중앙분리대{Median strip having lamps to be supplied from isolated power plants}
본 고안은 도로에 입설되어 차량통행을 안내하고 이탈된 차량의 진행을 물리적으로 저지하도록 된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 또는 안개가 많은 날에 운전자가 중앙분리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램프가 설치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왕복 다차선 도로의 경우에는 차량의 진행속도가 크고 이로인한 차량조작이 수훨치 않으므로 반대차선과의 명확한 구분이 필요시되며, 유사시에는 반대차선으로의 차량탈선을 저지하도록 중앙분리대가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중앙분리대는 야간 또는 안개가 많은 날에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없어 차량의 안전운전을 목적으로 입설된 중앙분리대가 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중앙분리대의 외곽에 반사판을 설치하여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운전자로 반사하여 중앙분리대의 위치가 파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외에도,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램프를 설치함으로서, 중앙분리대를 조명하거나, 실질적으로 중앙분리대가 보이지 않더라도 상기 램프의 발산광을 통해 운전자가 중앙분리대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의 종래기술은 상기 반사판이 전조등의 발산광을 운전자의 시야범위로 정확히 반사시켜야 하므로 그 위치설정이 곤란할 뿐만아니라, 안개가 많은 날에는 공기 중에 표류하는 수증기 입자에 의해 전조등의 발산광이 흡수/산란되므로 운전자가 용이하게 중앙분리대를 식별할 수 없다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한편, 후자의 종래기술은 야간은 물론 안개 낀 날씨에도 운전자가 중앙분리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당해 종래기술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하므로, 중앙분리대의 용이한 식별을 목적으로 도로에 소비되는 전력을 중앙분리대에 설치된 램프에 분배/공급하기에는 유지비용이 부담스러웠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야간 및 안개가 낀 날씨에도 운전자로 하여금 중앙분리대의 식별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한편, 이를 위해 초기설치 비용을 제외한 다른 유지비용은 별도로 요구되지 않는 경제적인 중앙분리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스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발전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전기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중앙분리대 100 ; 포스트
110 ; 발광부 111 ; 고정부재
112 ; 램프 113 ; 소켓
120 ; 지주부 121 ; 충전기
122 ; 충전지 123, 124, 134, 147 ; 전선
130 ; 바닥부 131 ; 함
132 ; 변압기 133 ; 보강대
140, 140', 140" ; 발전기 141 ; 케이스
142 ; 영구자석 143 ; 상단스프링
144 ; 하단스프링 145 ; 유도코일
146 ; 가이드레일 147 ; 정류회로
200 ; 레일 R ; 도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로의 중심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입설되는 지주부와 지주부를 도로면에 고정시키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포스트와, 포스트들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시각적으로 편도차선을 분리하는 레일로 구성된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도로면에 일부 매설되는 함과, 이 함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도로에 밀착되는 보강대로 구성되고;
내부에 소정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 진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의 상면 및 저면에서 상기 케이스와의 탄성연결을 각각 매개하는 상단스프링 및 하단스프링과, 상기 영구자석을 감싸듯 위치되어 영구자석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되어지는 코일과, 코일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정류하여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정류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함 내부에 병렬로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변압기와;
변압기로부터 공급된 전기로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기와;
충전지; 및,
상기 지주부에 고정되며 상기 충전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소켓과, 소켓에 연결되는 램프를 포함하는 발광부;
가 더 포함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앙분리대(10)는 도로의 중심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입설되는 지주부(120)와 지주부(120)를 도로면에 고정시키는 바닥부(130)를 포함하는 다수의 포스트(100)와, 포스트(100)들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시각적으로 편도차선을 분리하는 레일(200)로 구성되며, 외형적으로는 지주부(120)의 상단에는 발광부(1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발광부(110)는 전기를 공급받아 발광하는 램프가 내장되어서 주야에 관계없이 항시 광을 발산할 수 있으며, 원거리에서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트(100)의 최고점에 위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스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발전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포스트(100)는 도로(R)에 일부 매설되는 함(131)과, 함(131)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하게 돌출되어 도로(R)에 밀착되는 보강대(133)를 포함하는 바닥부(130)와, 인접지를 통행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된 도로(R)의 진동을 흡수하여 이를 발전원으로 발전하는 발전기(140)와, 발전기(140)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한 후 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변압기(132)와, 변압기(132)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받아 충전지(122)를 충전시키는 충전기(121)와, 충전지(122) 및, 충전지(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는 소켓(113)과 소켓(113)에 끼워져 공급된 전기로 발광하는 램프(112)가 포함된 발광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130)는, 도로(R)에 일부가 매설되어 상기 지주부(120)를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발전기(140)를 구동시키기 위한 필요한 진동력을 통행차량으로부터 흡수하여 이를 전달하는 매개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바닥부(130)는 발전기(140)를 탑재할 수 있는 함(131)과, 도로(R)의 진동력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도로(R)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보강대(133)로 구성된다.
상기 발전기(140)는, 통행차량으로부터 흡수된 진동력이 관성에 의한 영구자석(146)의 떨림을 야기하여 전류를 유도한다는 원리가 응용된 것으로, 이를 위해, 내부에 소정공간을 갖는 케이스(141)와, 케이스(141)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146)과, 가이드레일(146)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 진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영구자석(142)과, 영구자석(142)의 상면 및 저면에서 상기 케이스(141)와의 탄성연결을 각각 매개하는 상단스프링(143) 및 하단스프링(144)과, 상기 영구자석(142)을 감싸듯 위치되어 영구자석(142)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되어지는 코일(145)과, 코일(145)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정류하여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정류회로(147)로 구성되고, 상기 함(131) 내부에 병렬로 연결된다.
즉, 상기 발전기(140)는 영구자석이 자기장을 발산하면서 코일내부를 평행하게 왕복하면, 자기장의 세기가 변하면서 이에 상응하는 전류가 코일에 유도된다는 원리가 적용된 것으로, 진동력을 흡수한 함(131)이 진동하면서 상기 케이스(141)를 더불어 진동시키면 가이드레일(142)로 유동가능하게 고정된 영구자석(142)이 상기 스프링(143, 144)으로 인해 관성에 의한 상대운동을 하게 되고, 이는 코일(145) 내부의 자기장을 변화시켜 전류를 유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143, 144)은 함(131)으로 더이상의 진동력이 제공되지 않아도 영구자석(142)의 운동을 지속시켜 발전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스프링(143, 144)의 탄성율은 미세한 진동도 감지할 수 있는 고감도를 가진 것일수록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전기(140)는 교류전류를 발생시키므로, 이를 충전지(122)를 충전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147)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류회로(147)는 다양한 것들이 적용될 수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사이리스터와 같은 간단한 정류소자가 이용되었다.
계속해서, 상기 발전기(140)의 발전용량은 램프(112)를 발광시킬만큼 충분하지 못하므로, 하나이상의 발전기(140)가 병렬연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전기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로, 본 고안에 따른 발전기의 연결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변압기(132)는 발전기(140, 140', 140")들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받아 충전기(121)의 구동에 요구되는 전압으로 변압한 후, 이를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충전기(121) 및 충전지(122)는 변압기(132)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받아 구동되면서 램프(112)의 발광에 필요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충전기(121) 및 충전지(122)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그 내부구조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가 아니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 기술되는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내에서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발광부(110)는, 충전지(122)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램프(112)로 공급하는 소켓(113)과 램프(112)를 포함하며, 외부에서 상기 소켓(113) 및 램프(112)를보호하는 투명캡(114)이 더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부(110)는 원거리에서도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포스트(100)의 최고점에 위치된다.
미설명부호 "123", "124", "134", "147"는 소켓(113), 충전지(122), 변압기(132), 발전기(140), 정류회로(147) 및, 코일(145)을 각각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선이다.
미설명부호 "111"은 상기 발광부(110)와 지주부(120)을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발광부(110)의 고정위치 및 그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중앙분리대의 인접지를 통행하는 차량으로부터 필요한 진동력을 제공받아 발전하는 발전기가 설치됨으로서, 램프의 발광에 요구되는 전기에너지를 자체적으로 발전하여 공급할 수 있고, 야간 및 안개 낀 날씨에서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램프를 별도의 유지비용 부담없이 활용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으로 안전운전에 도움을 준다.

Claims (1)

  1. 도로의 중심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입설되는 지주부와 지주부를 도로면에 고정시키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포스트와, 포스트들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시각적으로 편도차선을 분리하는 레일로 구성된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도로면에 일부 매설되는 함과, 이 함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도로에 밀착되는 보강대로 구성되고;
    내부에 소정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 진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의 상면 및 저면에서 상기 케이스와의 탄성연결을 각각 매개하는 상단스프링 및 하단스프링과, 상기 영구자석을 감싸듯 위치되어 영구자석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되어지는 코일과, 코일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정류하여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정류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함 내부에 병렬로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변압기와;
    변압기로부터 공급된 전기로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기와;
    충전지; 및,
    상기 지주부에 고정되며 상기 충전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소켓과, 소켓에 연결되는 램프를 포함하는 발광부;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램프를 갖춘 중앙분리대.
KR20-2004-0006954U 2004-03-15 2004-03-15 자가발전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램프를 갖춘 중앙분리대 KR200353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954U KR200353303Y1 (ko) 2004-03-15 2004-03-15 자가발전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램프를 갖춘 중앙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954U KR200353303Y1 (ko) 2004-03-15 2004-03-15 자가발전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램프를 갖춘 중앙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303Y1 true KR200353303Y1 (ko) 2004-06-14

Family

ID=49431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954U KR200353303Y1 (ko) 2004-03-15 2004-03-15 자가발전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램프를 갖춘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30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153B1 (ko) * 2007-03-30 2009-05-12 박영훈 자가 발전식 라이팅장치
KR100950088B1 (ko) 2008-04-11 2010-03-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진현상을 이용한 도로용 발전시스템 및 발전방법
KR101013694B1 (ko) 2008-06-17 2011-02-10 김영애 자가발전에 의해 발광하는 교통신호 보조기
KR101048215B1 (ko) * 2009-07-14 2011-07-08 주식회사 테크노프린트 고 에너지 효율을 갖는 중앙분리대
CN107879577A (zh) * 2017-12-15 2018-04-06 江苏和合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带有照明功能的污泥处理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153B1 (ko) * 2007-03-30 2009-05-12 박영훈 자가 발전식 라이팅장치
KR100950088B1 (ko) 2008-04-11 2010-03-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진현상을 이용한 도로용 발전시스템 및 발전방법
KR101013694B1 (ko) 2008-06-17 2011-02-10 김영애 자가발전에 의해 발광하는 교통신호 보조기
KR101048215B1 (ko) * 2009-07-14 2011-07-08 주식회사 테크노프린트 고 에너지 효율을 갖는 중앙분리대
CN107879577A (zh) * 2017-12-15 2018-04-06 江苏和合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带有照明功能的污泥处理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9974A (en) Electrical power generating system
US5680033A (en) Solar powered warning device
US7347643B2 (en) Road stud
KR101963598B1 (ko) 엘이디 도로표지병
US5818132A (en) Linear motion electric power generator
KR100661321B1 (ko) 도로용 발전기
KR101013694B1 (ko) 자가발전에 의해 발광하는 교통신호 보조기
KR20100020691A (ko) 과속방지턱
KR200353303Y1 (ko) 자가발전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램프를 갖춘 중앙분리대
US20100019690A1 (en) Portable lamp bank and lens assembly for use therewith
KR100992851B1 (ko) 솔라 엘이디 델리네이터
KR101074214B1 (ko) 볼라드
KR101061957B1 (ko) 풍력발전을 이용한 안전운전 장치 및 방법
WO2010010070A1 (en) Highway warning lamp
KR20120050117A (ko) 조명기능이 구비된 볼라드
JP2005057982A (ja) 振り子式圧電素子発電装置
KR100938977B1 (ko) 도로 표지 장치
KR20140034495A (ko) 발광블럭
KR200353306Y1 (ko) 자가발전 기능을 갖춘 안전 표시병
KR200352097Y1 (ko) 자가발전기를 갖춘 조명기구가 설치된 교량
KR200353304Y1 (ko) 도로용 과속방지턱
KR100961714B1 (ko) 과속방지장치
KR200407052Y1 (ko) 풍력발전 발광 델리네이터
KR20110099890A (ko) 태양광집광판을 구비한 표지병
KR20190005549A (ko) 도로용 안내유도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