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619Y1 - 상수 파이프 고정구 - Google Patents

상수 파이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619Y1
KR200352619Y1 KR20-2004-0006360U KR20040006360U KR200352619Y1 KR 200352619 Y1 KR200352619 Y1 KR 200352619Y1 KR 20040006360 U KR20040006360 U KR 20040006360U KR 200352619 Y1 KR200352619 Y1 KR 200352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portion
fastening
pipe
screw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점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to KR20-2004-0006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6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6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6Sealing by means of a swivel nut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Abstract

본 고안은 상수 파이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공동주택의 층간 슬라브에 설치 시공시 고압의 상수공급이 이루어지는 상수 파이프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줌으로서 소음 및 떨림 발생을 방지하고, 파이프 지지체의 높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고정구 구조는, 층간 슬라브(1)에 설치되며 상단측 외주면과 하단측 내주면에는 각각 소정구간에 걸쳐 제3나사부(20a) 및 제4나사부(20b)가 형성되어져 있는 고정구 몸체(20)와; 상수 파이프(100)의 위치 지지를 위해 상기 고정구 몸체(20) 하부의 제4나사부(20b)에 삽입 체결이 이루어지며, 그 하단부에는 구경의 수축이 가능하도록 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개부(21a)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내부 지지체(21); 상기 고정구 몸체(20)의 상부 외주측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상부캡(22); 상기 상부캡(22)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기 위해 고정구 몸체의 제3나사부(20a)에 나합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나사(23); 상기 체결나사(2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캡(24)이 순차적으로 체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수 파이프 고정구{A FIXING ASSEMBLY OF WATERWORKS PIPE}
본 고안은 상수 파이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으로 물이 공급되어지는 파이프의 설치 및 고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고정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 주택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은 다층식 건축물의 경우에는 각 세대에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관이 각 층간 슬라브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게 되며, 이러한 상수관 설치 및 고정을 위하여 슬라브의 건축작업시 배관 통과공을 형성하고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이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고정수단으로 U자형 볼트가 사용됨으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며, 특히 높은 수압이 작용하는 상수 파이프의 특성상 수압에 의한 떨림 및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파이프관의 소음발생으로 인해 주거환경을 크게 떨어뜨릴 수 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상수 파이프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수압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설치과정에서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구의 초기 설치시 단면도.
도 3은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구의 설치완료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구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구의 단면 구성도.
도 6은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구의 설치시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구의 설치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리브 10,20 : 고정구 몸체
11,21 : 내부 지지체 10a,11a,20a,20b : 나사부
12 : 결합캡 13,21a : 절개부
14 : 스토퍼 22 : 상부캡
23 : 체결나사 24 : 결합캡
25,26 : 패킹 27 : 편심링
상기 목적을 위한 본 고안의 파이프 고정구 구조는, 층간 슬라브에 고정 설치되어지며 상단측 내주면에는 소정구간에 걸쳐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져 있는 고정구 몸체와; 상수 파이프의 위치 지지를 위해 상기 고정구 몸체의 제1나사부에 나합체결이 이루어져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상단부에는 구경의 수축이 가능하도록 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개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짐과 함께 외주면상에 제2나사부가 형성되어져 있는 내부 지지체; 및 상기 내부 지지체의 절개부 형성부위를 조여주기 위해 나사체결이 이루어지되,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결합나사;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과,
층간 슬라브에 설치되며 상단측 외주면과 하단측 내주면에는 각각 소정구간에 걸쳐 제3나사부 및 제4나사부가 형성되어져 있는 고정구 몸체와; 상수 파이프의 위치 지지를 위해 상기 고정구 몸체 하부의 제4나사부에 삽입 체결이 이루어지며, 그 하단부에는 구경의 수축이 가능하도록 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개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내부 지지체; 상기 고정구 몸체의 상부 외주측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상부캡; 상기 상부캡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기 위해 고정구 몸체의 제3나사부에 나합체결이 이루어지는 제1체결나사; 상기 제1체결나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체결나사가 순차적으로 체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및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구 구조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동주택의 층간 슬라브(1)에 고정 설치되어지는 고정구 몸체(10)는 상단측 내주면상에 소정구간에 걸쳐 제1나사부(10a)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구 몸체(10)의 상부에 삽입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체결이 이루어지는 내부 지지체(11)는 상단 외주면상에 제2나사부(11a)가 형성되어짐과 함께 구경의 수축이 가능하도록 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개부(1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내부 지지체(11)의 절개부 형성부위인 제2나사부(11a)에 나사체결이 이루어지는 결합캡(12)은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룸으로서 내부 지지체(11)의 구경을 점차 축소시키는 가운데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내부 지지체(11)의 중단부에는 스토퍼(14)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져 있으며, 미설명 부호 15는 기밀성 유지를 위한 오링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는 상수 파이프 고정구의 시공 설치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구 몸체(10)는 슬라브(1)의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의 것으로, 슬라브층이 완성되어지면 고정구 몸체(10)의 상부에 임시로 부착되어져 있던 뚜껑(미도시)을 제거한 후 제1나사부(10a) 부위에 내부 지지체(11)를 회전시켜 나합설치하게 된다.
즉, 상수 파이프(100)가 내부 지지체(11)를 관통되는 형태로 가체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먼저 내부 지지체(11)가 고정구 몸체(10)에 나사결합되어지고, 이후 상부에 오링(15)을 끼워넣은 후 결합나사(12)를 내부 지지체(11)의 제2나사부(11a)에 끼워서 돌려주게 되면 내부 지지체(11)의 상부는 결합캡(12)의 내경 테이퍼면에 의해 눌려지면서 절개부(13) 형성부위인 내부 지지체(11) 상부가 점차 수축되고 이에 따라 해당부위가 도 3에서와 같이 상수 파이프(100)와 밀착되어 짐으로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이룰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구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층간 슬라브(1)에 설치되어질 고정구 몸체(20) 상단측 외주면과 하단측 내주면에는 각각 소정구간에 걸쳐 제3나사부(20a) 및 제4나사부(20b)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수 파이프(100)의 위치 지지를 위해 상기 고정구 몸체(20) 하부에 삽입되어지는 내부 지지체(21)는 상기 제4나사부(20b)에 나사체결이 이루어짐으로서 높이조절이 가능하며 그 하단부에는 구경의 수축이 가능하도록 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개부(21a)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 몸체(20)의 상부 외주측에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부캡(22)이 끼워져 있으며, 그 위에는 상부캡(22)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체결나사(23)가 고정구 몸체의 제3나사부(20a)에 나합체결되어지고, 그 위에는 체결나사(2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캡(24)이 체결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 지지체(21)의 절개부 형성부위 및 상부캡(22)에는 외부를 감싸는 플렉시블 재질의 패킹(25,26)이 각각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응용예로 원주를 따라 편심된 형상을 이루고 있는 편심링(27)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8은 오링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제2실시예의 파이프 고정구 시공 및 설치과정을 첨부된 도 6 의 설치상태 단면도 및 편심링 설치시 상태도인 도 7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고정 슬리브(2)가 매립 고정되어져 있는 슬라브(1)에 고정구 몸체(2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에 형성된 제4나사부(20b)에 내부 지지체(21)를 나합 체결한 후 돌려줌으로서 내부 지지체(21)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그리고, 고정구 몸체(20)의 상부에는 상부캡(22)을 끼워넣은 후 제3나사부(20a)에 체결나사(23)를 체결하여 돌려주게 되면 체결나사(23)가 하강되어지면서 상부캡(22)을 눌러주게 된다.
이와같은 계속적인 체결나사(23) 회전작업에 의해 상부캡(22)이 하강하여 슬라브(1)에 매립 고정되어져 있는 고정 슬리브(2)의 상단에 걸려져 더이상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게되면, 그때부터는 고정구 몸체(20)가 서서히 상승하게 되어 내부 지지체(21) 하단을 감싸고 있는 하부패킹(26)이 고정 슬리브(2)의 하단에 접촉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나사(23)를 더욱 회전시키면 내부 지지체(21)의 상승동작에 의해 하부패킹(26)이 고정 슬리브(2)의 하단에 눌려짐과 동시에 내부 지지체(21)의 하단인 절개부(21a) 부위를 눌러주게 됨으로서, 도 6에서와 같이 내부 수축이 일어나면서 상수 파이프(100)를 밀착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은 파이프(100) 고정 동작이 완료되면 고정구 몸체(20)의 상단에 결합캡(24)을 체결함으로서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또한, 도 7의 응용예에서와 같이 상수 파이프(100)가 해당 슬라브층에서는 편심된 상태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편심링(27)을 설치함으로서 한층 용이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따라서, 이러한 설치 시공을 통해 상수 파이프(100)의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파이프 고정구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구가 하나의 상수 파이프만을 잡아주는 단품인 경우를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2개이상의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복수의 몸체가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고정구 제품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편심링의 경우 상기 실시예에서는 외부의 패킹측에 설치된 상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설치위치는 필요에 따라 고정구의 내부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고정구 구조체는, 공동주택의 층간 슬라브에 설치 시공시 고압의 상수공급이 이루어지는 상수 파이프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줌으로서 소음 및 떨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설치작업시 파이프 지지체 높이의 가변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됨으로서 슬라브층의 두께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따라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나타낸다.

Claims (4)

  1. 층간 슬라브(1)에 고정 설치되어지며 상단측 내주면에는 소정구간에 걸쳐 제1나사부(10a)가 형성되어져 있는 고정구 몸체(10)와;
    상수 파이프(100)의 위치 지지를 위해 상기 고정구 몸체(10)의 제1나사부(10a)에 나합체결이 이루어져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상단부에는 구경의 수축이 가능하도록 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개부(1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짐과 함께 외주면상에 제2나사부(11a)가 형성되어져 있는 내부 지지체(11); 및
    상기 내부 지지체(11)의 절개부 형성부위를 조여주기 위해 나사체결이 이루어지되,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결합캡(12);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 파이프 고정구.
  2. 층간 슬라브(1)에 설치되며 상단측 외주면과 하단측 내주면에는 각각 소정구간에 걸쳐 제3나사부(20a) 및 제4나사부(20b)가 형성되어져 있는 고정구 몸체(20)와;
    상수 파이프(100)의 위치 지지를 위해 상기 고정구 몸체(20) 하부의 제4나사부(20b)에 삽입 체결이 이루어지며, 그 하단부에는 구경의 수축이 가능하도록 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개부(21a)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내부 지지체(21);
    상기 고정구 몸체(20)의 상부 외주측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상부캡(22);
    상기 상부캡(22)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기 위해 고정구 몸체의 제3나사부(20a)에 나합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나사(23);
    상기 체결나사(2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캡(24)이 순차적으로 체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 파이프 고정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지체(21)의 절개부 형성부위 및 상부캡(22)에는 외부를 감싸는 플렉시블 재질의 패킹(25,26)이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 파이프 고정구.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수 파이프(100)의 편심 설치시 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편심링(27)을 더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 파이프 고정구.
KR20-2004-0006360U 2004-03-09 2004-03-09 상수 파이프 고정구 KR200352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360U KR200352619Y1 (ko) 2004-03-09 2004-03-09 상수 파이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360U KR200352619Y1 (ko) 2004-03-09 2004-03-09 상수 파이프 고정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687A Division KR100566931B1 (ko) 2004-03-09 2004-03-09 상수 파이프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619Y1 true KR200352619Y1 (ko) 2004-06-05

Family

ID=4943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360U KR200352619Y1 (ko) 2004-03-09 2004-03-09 상수 파이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6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676B1 (ko) * 2011-06-30 2014-06-03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입상관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676B1 (ko) * 2011-06-30 2014-06-03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입상관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2710B2 (en) Method for attaching flooring to a drain assembly
US9366017B2 (en) Compression drain with adjustable-height grate
US20030159211A1 (en) Shower drain
KR100566931B1 (ko) 상수 파이프 고정구
KR200352619Y1 (ko) 상수 파이프 고정구
US20060242913A1 (en) Adjustable roof drain
KR200396439Y1 (ko) 상수파이프 고정구
US20070186336A1 (en) Toilet flanges and the mounting thereof
KR200385879Y1 (ko) 상수파이프 고정구
KR200420086Y1 (ko) 셋트 앵커볼트
KR200226282Y1 (ko) 조립식 욕실용 보조 배수트랩
KR200410064Y1 (ko) 배관 고정구
KR200325927Y1 (ko)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200391147Y1 (ko) 상수파이프 고정구
KR20080112005A (ko) 배수관 고정장치
KR200392316Y1 (ko) 상수파이프 고정구
KR101145774B1 (ko) 지지리브에 압축력이 발생하는 지지부재의 체결구조
KR100750344B1 (ko) 상수도 제수변 맨홀
KR20060113038A (ko) 상수파이프 고정구
JP2009030229A (ja) 排水管継手の支持機構
KR20060114911A (ko) 상수파이프 고정구
JPH1136399A (ja) 集合管継手
KR20080076025A (ko) 분기관의 연결구조
JP2006275073A (ja) 配管固定具
KR200307686Y1 (ko) 배수관용 편심형 고정플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3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