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073Y1 - 매직테이프 넥타이 - Google Patents

매직테이프 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073Y1
KR200352073Y1 KR20-2003-0032658U KR20030032658U KR200352073Y1 KR 200352073 Y1 KR200352073 Y1 KR 200352073Y1 KR 20030032658 U KR20030032658 U KR 20030032658U KR 200352073 Y1 KR200352073 Y1 KR 200352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magic tape
neck
necktie
kn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대근
정원희
Original Assignee
민대근
정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대근, 정원희 filed Critical 민대근
Priority to KR20-2003-0032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0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0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바쁜 현대사회에 있어서 넥타이를 풀고 묶는 번거로움을 해결함과 동시에 상황 여건에 따라서는 다시 품위 있게 맬 수도 있는 넥타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넥타이의 작은날(6) 끝으로부터 약 3분의 1 조금 윗쪽에 의류, 가방, 신발 등에서 쓰이는 일명 매직테이프(14, 15)를 본 고안처럼 부착시켜 일반 넥타이처럼 품위 있게 여러 종류의 매듭법을 사용하여 풀러서 다시 맬 수도 있고 넥타이 길이나 매듭이 가장 잘 되었다고 생각될 때 다 풀지 말고 약간 느슨하게 한 뒤 목 뒤 부분에 위치해 있는 매직테이프를 분리 시켜 떼어내 붙여 두었다 다음번 맬 때 목뒤 와이셔츠 깃 속에서 붙인 후 작은날(6)을 조금 잡아 다녀 맵시 있게 마무리하기 만하면 되는 1분 1초가 아쉬운 아침 시간에 아주 편리하고 또한 여유가 있으면 다시 품위 있게 맬 수도 있는 다기능 넥타이를 제공한다.
본 고안 넥타이의 노출부인 정면은 약간의 이음 부분(13)만 있을 뿐 기존 넥타이와 외형상으로는 같아 보기도 좋고 시중에 상품화 되 길이나 매듭이 고정되어 있는 지퍼 넥타이나 끈 넥타이처럼 반 토막이고 가식인 끈을 아침에 머리 뒤로 돌려 찬다는 심적 부담도 없어지고 입고 있는 옷이나 상황 여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또한 지퍼나 끈 넥타이는 덥거나 답답할 때 단추를 풀으고 잡아 내리면 끈이나 지퍼가 보여 흉하게 보이나 본 고안 넥타이는 접합 부위(16)가 넥타이 노출부위나 넥타이 매듭에 하등 영향을 미치지 않는 목 뒤 와이셔츠 깃 속이므로 어떻게 매거나 보이는 부분이 기존의 것과 같으므로 자연스럽고 부담이 없는 특징을 제공한다.
또한 매직테이프 부분을 본 고안처럼 마무리하면 매직테이프의 특징상 떨어지지 않고 목뒤 와이셔츠 깃 속 이므로 양 깃이 서로 눌러주어 매직테이프의 강도가 더 강해져 아주 큰 힘으로 잡아 다니지 않는 한 절대 떨어지지 않는다.
일반인이 치한을 만날 때나 형사나 수사관이 범인을 검거하는 사태가 벌어질 때 기존 넥타이, 지퍼나 끈 넥타이는 잡아 다니면 목이 조여 큰 상해를 입을 수 있으나 본 고안 넥타이는 아주 세게 잡아 다니면 매직테이프 부분이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게 되어 있어 어떤 경우든 안전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매직테이프 넥타이{Magic-tape Necktie}
본 고안은 기존 넥타이처럼 풀렀다가 품위 있게 다시 맬 수도 있고 바쁜 현대사회에 있어서 기능성 넥타이인 지퍼나 끈 넥타이처럼 편리하게 급히 목 뒤 와이셔츠 깃 속에서 떼었다 붙였다만 함으로서 그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본래의 기존 넥타이는 옷이나 장소에 따라 색깔이나 매듭을 선택해 품위 있게 매는 것이 상식이고 예의이나 매일 아침 출근으로 바쁜 시간에 매듭을 져 맬려면 길이도 잘 안 맞고 매듭도 맘에 안 들어 풀고 묶기를 여러 번 반복하다보면 짜증이 나기 일 수이다. 그래서 기능성 넥타이인 지퍼 넥타이가 나오고 끈 넥타이가 등장하게 되어서 묶고 매는 일은 해결 되었지만 어딘가 현대사회의 메마른 모습과 남에게 진짜 넥타이를 나는 차고 있다는 모습을 보여주려는 가식적인 모습에 심적 부담을 안고 착용하게 되고 이 기능성 넥타이는 끈이나 지퍼 끈이 보이기가 쉽고 길이와 매듭이 고정되고 틀에 박힌 반쪽의 넥타이를 끈에 의존하고 있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기존 출원 공개된 넥타이도 노출부인 매듭 및 큰날(5) 부위는 항상 고정되어 있고 사람의 목둘레는 고려하지 않아 부적합하고 매고 차려면 와이셔츠 윗 단추를 채우고 깃을 올린 다음 탈착부를 붙이고 떼야만 하는데 이것이 실제로는 목둘레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 불편하고 여의치가 못하다.
넥타이는 보기보다는 아주 복잡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외피, 내피, 심지 세부분으로 구성이 되어 있고 외피는 2∼3등분으로 되어있고 내피는 큰날 부위와 작은날 부위에, 심지는 큰날부터 작은날 전체에 걸쳐 2등분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본 고안은 작은날 끝으로부터 약 3분의 1 조금 위쪽을 절단 2등분하면 외피나 심지 재단 상 더 편리하다고도 생각이 된다. 이 지점은 우리가 넥타이를 맬 때, 도 6처럼 본인 오른쪽 부위에 위치하나 목둘레나 노출되는 넥타이의 길이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완전히 넥타이를 와이셔츠 위에 매면 도 7처럼 목 뒤 중앙에 거의 다 위치하게 되여 매듭이나 노출부위에는 하등 영향을 주지 않는 곳이며 보이지 않는 곳이므로 본 고안품은 이 지점을 매직테이프를 이용해 떼었다 붙었다하는 접합부위로 고안하게 된 것이다. 또한 이 부분은 와이셔츠 깃 속이므로 매직테이프가 와이셔츠 양 깃으로 또한 눌려져 있어 더 강해져 잡아 다녀도 매직테이프의 특성상 떼어지지 않는다.
본 고안은 도면 1, 2처럼 접합부위가 붙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면 3, 4처럼 떼어낼 수 있어 양 기능을 다 하도록 고안이 되었다.
상품화 되어있는 지퍼나 끈 넥타이는 상기에도 설명하였듯이 길이나 매듭이 고정되어 있어 풀러 다시 매거나 변형할 수가 없고 와이셔츠 윗 단추를 풀고 내리면 끈이 보여 본인은 물론 남에게 심적 부담을 줄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품위 있게 여러 형태로 넥타이를 맬 수도 있고 아침처럼 바쁠 때를 대비해 넥타이를 풀지 않고 매직테이프만 분리해 두면 빠르고 편리하게 목 뒤 와이셔츠 깃 속에서 매직테이프를 서로 붙이기만 하면 되어 다 기능적이면서도 심적 부담이 없고 품위 있고 외관상 보기 좋은 넥타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분리 부분부터 작은날 끝까지는 넥타이 폭이 같고 일정하여 재단하기가 쉽고 외피부분도 3등분 보다는 2등분 하여 재단하면 편리하고 분리 부분도 더 매끈하게 처리될 수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정면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배면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매직테이프 접합부위를 측면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품을 맬려고 처음 목에 둘렀을 때의 매직테이프 부분의 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품을 완전히 와이셔츠에 착용했을 때의 매직테이프 부분의 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매직테이프 대신 똑딱이 단추를 이용한 넥타이 정면의 접합부위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매직테이프 대신 똑딱이 단추를 이용한 넥타이 배면의 접합부위를 분리 도시한 사 시도
도 10은 매직테이프 대신 똑딱이 단추를 이용한 넥타이 측면의 접합부위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피
2 : 내피
3 : 노출부
4 : 연장부
5 : 큰날 부위
6 : 작은날 부위
7 : 브랜드 라벨
8 : 품질표시 라벨
9 : 넥타이 정면
10 : 넥타이 배면
11 : 넥타이 배면 가운데 이음선
12 : 재봉 밖음선
13 : 넥타이 분리선
14 : 매직테이프의 껄끄러운 면
15 : 매직테이프의 부드러운 면
16 : 매직테이프 접합부분
17 : 똑딱이 단추
18 : 똑딱이 단추의 돌출부분
본 고안은 넥타이의 작은날 끝으로부터 약 3분의 1 조금 윗쪽에 가방이나 옷 신발 등에 쓰이는 일명 매직테이프라는 것을 사용해 떼었다 붙였다 함으로서 목적을 달성하도록 구성이 되어있다.
일명 매직테이프는 껄끄러운 면과 부드러우나 거풀이 많은 면이 마찰에 의해 단단히 접착돼 두 부분을 수직으로 서로 잡고 떼어 내면 쉽게 떼어지나 양 옆으로 수평으로 잡아 다니면 여간해서는 쉽게 떼어지지 않는 특성이 있고 본 고안처럼 제작하면 이 부분은 넥타이를 맬 때나 풀를 때 항상 목뒤 와이셔츠 깃 속이고 또한 와이셔츠 양 깃 속에서 눌려져 있어 매직테이프의 강도가 더 강해져 떼어지지 않으므로 본 고안도 이 특성을 이용해 넥타이 분리부위 양쪽에 부착 이용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 넥타이와 기능성 넥타이 모두의 특성을 겸비하게 되어 상황 여건에 따라 편리한대로 이용해 착용할 수가 있다.
그러면 도면에 따라 자세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1은 넥타이 정면(앞면)부위로 자세히 보면 분리 부분만 약간 표시날 뿐 기존 넥타이와 외관상으로는 동일하다.
도 2는 기존 넥타이의 배면(뒷면)과 같고 도면에 보이는 분리부분을 연결시키는 부분은 매직테이프의 껄끄러운 면(14)이다.
도 3은 분리된 넥타이의 정면(앞면)인데 매직테이프의 껄끄러운 면(14)이 큰날 부위 재봉 밖음선(12) 뒷면인 매직테이프의 부드러운 면에 접합되는 부분이다. 접합되면 도 1처럼 보여 진다.
도 4는 분리된 넥타이의 배면(뒷면)인데 매직테이프의 두면(14,15)이 접합되면 도 2처럼 보여 진다.
도 5는 매직테이프의 접합된 부위를 측면으로 나타낸 것인데 매직테이프의 아무 면을 사용해도 상관은 없으나 두면과 넥타이의 분리되는 두면을 특별히 구별해 고안한 것은 매직테이프의 위치(16)가 도형 6의 위치에서 도형 7의 위치로 올 때 목의 부담감이 거의 없이 잘 미끄러지듯이 이동되어지고 껄끄러운 면이 와이셔츠 깃에 직접 닿지 않게끔 하기 위해서이고 접합부위를 붙이면 넥타이 정면은 기존 넥타이인 도면 1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6은 넥타이를 맬려고 와이셔츠 위에 본 고안 넥타이를 둘렀을 때의 매직테이프 부분의 위치이고 도 7은 와이셔츠 위에 완전히 착용했을 때의 매직테이프의 위치이나 넥타이 매듭의 종류나 매듭 밑 큰날 길이, 사람 목둘레의 굵기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그 위치는 거의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
도 8, 도 9, 도 10은 변형의 한 예로 접합 부분을 매직테이프 대신 일명 똑딱이 단추를 사용한 예로서 그 기능이나 용도, 목적은 매직테이프를 사용했을 때와 동일하다.
이상의 본 고안을 적용하게 되면 그날의 여건에 따라 품위 있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도 있고 넥타이 매기가 귀찮거나 출근 전 바쁜 아침을 위한다면 전날 약간 느슨하게 매어 놓은 넥타이의 매직테이프 부분을 떼어 목뒤 와이셔츠 깃 속에서 붙인 후 작은날(6)을 약간 잡아 다녀 다시 품위 있고 맵시 있게 차기만 하면 되는 다기능적인 넥타이를 제공할 수가 있고 넥타이 외피 재단 상 편리하고 외관상 보기에도 기존 넥타이를 맨 거와 다름이 없다.
특히 넥타이(지퍼나 끈 넥타이 등 기존 기능성 넥타이 포함)는 세게 잡아 다니면 목이 조일 수도 있어 상처를 입을 수도 있으나 본 고안품은 아주 세게 잡아 다니면 매직테이프 접합부위가 서로 떨어져 분리되므로 업무상 넥타이를 차야 하는 형사나 수사관에게는 안전하고 품위 있는 넥타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 넥타이는 지퍼나 끈 넥타이처럼 매듭 부위와 그 밑 넥타이 길이가 고정되고 틀에 박힌 반쪽인 넥타이를 머리 뒤로 끈을 돌려 착용한다는 심적 부담도 덜 수가 있다. 또한 지퍼나 끈 넥타이는 허리를 굽히거나 내려서 차게 되면 끈이 보여 흉하지만 본 고안 넥타이는 와이셔츠 윗 단추를 풀고 편하게 내려 찰 수도 있다.

Claims (2)

  1. 기존 넥타이 작은날 끝으로부터 약 3분의 1 조금 윗쪽에 넥타이 분리선(13)이 있어 두 부분으로 분리되고 분리선(13)부터 넥타이 배면(10) 큰날 부위(5) 쪽에 매직테이프의 부드러운 면(15)을 넥타이 배면(10)을 향하게 대어 넥타이 정면(9)에서는 보이지 않게 박음질하고 분리선(13)서부터 넥타이 배면(10) 작은날 부위(6) 쪽은 매직테이프의 부드러운 면(15)과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게 매직테이프의 껄끄러운 면(14)을 매직테이프의 부드러운 면(15) 길이만큼 분리선(13)에서 내어 넥타이 정면(9)을 향하게 놓고 분리선(13)에서 작은날 부위(6) 쪽 일부분만 넥타이 정면(9)에서는 보이지 않게 박음질한 구조로서 접합하여 착용할 때는 와이셔츠 깃 속에서 좌우로 당기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고 넥타이 정면은 일반 기존 넥타이처럼 분리선(13)이 잘 표시 나지 않는 구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리한 다기능 넥타이
  2. 삭제
KR20-2003-0032658U 2003-10-17 2003-10-17 매직테이프 넥타이 KR200352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658U KR200352073Y1 (ko) 2003-10-17 2003-10-17 매직테이프 넥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658U KR200352073Y1 (ko) 2003-10-17 2003-10-17 매직테이프 넥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073Y1 true KR200352073Y1 (ko) 2004-06-10

Family

ID=4934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658U KR200352073Y1 (ko) 2003-10-17 2003-10-17 매직테이프 넥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0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6569A (en) Swimsuit with displaceable crotch
US6226799B1 (en) Scarf
US5717998A (en) Swimsuit with displaceable crotch
US5172428A (en) Convertible fur piece
US7231670B2 (en) Versatile scarf
US5170507A (en) Necktie
US20170251843A1 (en) Combination napkin and bib
KR200450430Y1 (ko) 체결이 간편한 끈을 구비한 앞치마
US5983461A (en) Structure of supporter for tie knot of knotting-free necktie
KR200352073Y1 (ko) 매직테이프 넥타이
US20160262471A1 (en) Detachable / interchangeable / adjustable necktie
JP2009275307A (ja) リュックサック兼用ジャンパーおよびジャンパーを転用したリュックサック
JP2013002021A (ja) きもの及びきものセット並びにゆかた
US3529327A (en) Tie holder
JP3960529B2 (ja) 女性用簡易和服
JP2000234207A (ja) 高機能着衣
KR200314634Y1 (ko) 장례용 한복
CN210841622U (zh) 一种塑性面料的组合式裙子
JP3226488U (ja) 仕立衿及び着物用インナーセット
JP4607491B2 (ja) 衣服
JPS6011044Y2 (ja) 上着
JP3238436U (ja) スカーフ
KR100385753B1 (ko)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
JP3145335U (ja) カチューシャ内蔵のキャップ
JP3052555U (ja) 鞐の無い和装用白足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