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937Y1 - 앵커볼트 셋트용 받침부재 - Google Patents

앵커볼트 셋트용 받침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937Y1
KR200351937Y1 KR20-2004-0006999U KR20040006999U KR200351937Y1 KR 200351937 Y1 KR200351937 Y1 KR 200351937Y1 KR 20040006999 U KR20040006999 U KR 20040006999U KR 200351937 Y1 KR200351937 Y1 KR 200351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ece
horizontal connecting
piece
horizontal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업
Original Assignee
이재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업 filed Critical 이재업
Priority to KR20-2004-0006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9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9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앵커볼트 셋트용 받침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앵커볼트가 벽체에 설치되어 돌출된 볼트에 끼워져 부착 구조물를 지지 고정되게 하는 연결 받침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연결편(11)과 수평연결편(12)이 직각으로 굴곡져 이루어진 받침부재(10)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편(12)은 길이 방향으로 3등분으로 구분, 양 외측은 상기 수평연결편(12) 상태로 유지되고, 내측 수평연결편(12')은 상기 수평연결편(12)에 대한 수직연결편(11)을 하부로 더 길게 연장시킨 후, 굴곡시켜 직삼각 형상의 받침대(13)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대(13)의 선단부 양단이 상기 수평연결편(12)과 보강편(14)을 이루며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앵커볼트 셋트용 받침부재{A Crosspiece For Anchor-Bolt-Set}
본 고안은 앵커볼트 셋트용 받침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앵커볼트가 벽체에 설치되어 돌출된 볼트에 끼워져 부착 구조물를 지지 고정되게 하는 연결 받침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벽체에 구조물 또는 부착물을 설치함에 있어, 셋트앵커볼트를 고정부재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데파볼트, 캡 및 받침(걸이)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벽체에 부착물 또는 구축물의 하중에 따라 앵커볼트 및 받침부재의 크기와 두께가 결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통상이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는 내부식성 및 응력이 강한 스테인레스재를 사용, 'ㄴ'자로 연결된채 직각으로 꺽여 수평으로 돌출시켜 이용되게 한 것으로, 이 부분에서 부착물의 전 하중이 집중되는 바, 이 부분 내성의 정도에 따라 상기 부착물 또는 구축물의 하중이 결정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부착물 또는 구축물의 하중에 내성이 있는 받침부재를 사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태풍이 부는 등과 같이 예상치 못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그에 대응할 수 있는 내성의 응력 부족으로 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중이 집중되는 곳에 구조공학을 부가적으로 도입시켜 내성의 대응력이 향상된 앵커볼트 셋트용 받침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직연결편과 수평연결편이 직각으로 굴곡져 이루어진 받침부재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편은 길이 방향으로 3등분으로 구분되고, 그 내측 수평연결편이 직삼각 형상의 받침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연결편과 함께 보강편을 이루며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제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부재 11 : 수직연결편
12 : 수평연결편 12' : 내측 수평연결편
13 : 받침대 14 : 보강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연결편(11)과 수평연결편(12)이 직각으로 굴곡져 이루어진 받침부재(10)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편(12)은 길이 방향으로 3등분으로 구분, 양 외측은 상기 수평연결편(12) 상태로 유지되고, 내측 수평연결편(12')은 상기 수평연결편(12)에 대한 수직연결편(11)을 하부로 더 길게 연장시킨 후, 굴곡시켜 직삼각 형상의 받침대(13)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대(13)의 선단부 양단이 상기 수평연결편(12)과 보강편(14)을 이루며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벽체에 고정시킨 앵커볼트에 상기 수직연결편(11)에 형성된 고정공이 끼워지고 너트로 조여 받침부재(10)를 고정시킨 다음, 상기 수평연결편(12)이 부착물 또는 구축물의 받침부재 또는 걸이부재로 사용되게 함에 있어, 구축물 또는 부착물의 하중이 집중되는 곳의 수평연결편(12)의 일부분 자재로 삼각 받침대(13)가 형성되어 있어, 이 받침대(13)는 상기 수평연결편(12)의 기능을 포함하여 받침기능을 부가적으로 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받침대(14)의 선단부 양단이 수평연결편(12)과 다단의 층으로 보강편(14)이 형성된채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다단 층의 보강편(14)이 뼈대의 기능을 부가적으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연결편(12)이 구조공학적으로 설계 변형된 본 고안은 수평연결편(12)의 응력 기능과 함께 받침대(13)의 받침기능, 보강편(14)의 보강 뼈대기능을 하여 부가적인 대응력이 향상된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평연결편(12)의 응력 기능과 함께 받침대의 받침기능의 효과가 있고, 보강편(14)의 보강 뼈대기능의 효과가 있어, 부가적인 대응력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직연결편(11)과 수평연결편(12)이 직각으로 굴곡져 이루어진 받침부재(10)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편(12)은 길이 방향으로 3등분으로 구분, 양 외측은 상기 수평연결편(12) 상태로 유지되고, 내측 수평연결편(12')은 상기 수평연결편(12)에 대한 수직연결편(11)을 하부로 더 길게 연장시킨 후, 굴곡시켜 직삼각 형상의 받침대(13)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대(13)의 선단부 양단이 상기 수평연결편(12)과 보강편(14)을 이루며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앵커볼트 셋트용 받침부재.
KR20-2004-0006999U 2004-03-15 2004-03-15 앵커볼트 셋트용 받침부재 KR200351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999U KR200351937Y1 (ko) 2004-03-15 2004-03-15 앵커볼트 셋트용 받침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999U KR200351937Y1 (ko) 2004-03-15 2004-03-15 앵커볼트 셋트용 받침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937Y1 true KR200351937Y1 (ko) 2004-06-01

Family

ID=4943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999U KR200351937Y1 (ko) 2004-03-15 2004-03-15 앵커볼트 셋트용 받침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9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22877A8 (en) Elongate retaining element
CA2905826C (en) Inverted bridging connector
KR20100098761A (ko) 발코니 이중창 지지용 고정식 브라켓
JP2016108893A (ja) 連結構造
JP5732950B2 (ja) 吊り天井の耐震構造
KR200351937Y1 (ko) 앵커볼트 셋트용 받침부재
AU2018212423B2 (en) Support for fastening facade elements
JP2006194007A (ja) 鉛直力を低減した耐震壁及び鉛直力を低減した耐震壁の構築方法
JP5102694B2 (ja) 支持取着具
JP6441063B2 (ja) 補強金物および建物基礎構造
JP5072036B2 (ja) 仕口補強用具を備えたブレース構造
JP2005226258A (ja) アンカー筋付き定着金物
KR200368180Y1 (ko) 석재판넬 시공용 브라켓트
JP6265476B2 (ja) 連結構造及びファスナー
JP2006241745A (ja) 通し柱の補強構造と補強金物
CN216041671U (zh) 一种组装式房屋搭建挑梁加固结构
JP5341535B2 (ja) 住宅補強具
JP3193466U (ja) 隅金具、止金物、耐震装置
KR101336668B1 (ko) 트러스 조립체
JP2005282261A (ja) 鉄筋支持用具
JP2012087490A (ja) 火打ち金具
JP6906344B2 (ja) 胴縁取付用金具
KR200338685Y1 (ko) 건축 및 토목 구조물용 지주부재
JP2006249790A (ja) 剪断ブロックダンパ
KR101943018B1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