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746Y1 - 목재 가공용 원형톱 커터기 - Google Patents

목재 가공용 원형톱 커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746Y1
KR200351746Y1 KR20-2004-0004465U KR20040004465U KR200351746Y1 KR 200351746 Y1 KR200351746 Y1 KR 200351746Y1 KR 20040004465 U KR20040004465 U KR 20040004465U KR 200351746 Y1 KR200351746 Y1 KR 200351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wood
processing
circular saw
dis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근
Original Assignee
에이스다이아몬드공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다이아몬드공구(주) filed Critical 에이스다이아몬드공구(주)
Priority to KR20-2004-0004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7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29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 B27B5/30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for mounting or securing saw blades or saw spindles
    • B27B5/32Devices for securing circular saw blades to the saw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1/00Dovetailed work; Tenons; Making tongues or grooves; Groove- and- tongue jointed work; Finger- joints
    • B27F1/02Making tongues or grooves, of indefinite leng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 가공용 원형톱 커터기에 관한 것으로서, 목재의 측면에 연속적으로 가공홈 및 돌기를 형성시킴에 있어 가공부의 크기 조절을 위한 커터기 원판간의 간격 가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커터기로 다양한 크기의 홈 또는 돌기형성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커터기는, 상하로 쌍을 이루며 결합되어지는 각각의 외주를 따라 목재면 가공을 위한 절삭날(11,2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커터기 원판(10,20); 상기 양측 커터기 원판(10,20)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져 상호간을 탄성으로 지지하는 원형의 판스프링(30); 상기 커터기 원판 (10,20) 중앙에서 구동축상에 관통 설치되는 지지구(40); 상기 지지구(40)의 일단과 나합됨으로서 일측 커터기 원판(10)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토록 하는 조절구(5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재 가공용 원형톱 커터기{A GROOVE FORMAING SAW CUTTING DEVICE FOR WOOD PLATE}
본 고안은 목재 가공을 위한 원형톱 커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합을 위해 일정 크기로 재단이 이루어지는 목재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을 위한 가공홈과 가공돌기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재 가공용 원형톱에 관한 것이다.
통상 목재 재단용 톱 기계는 회전하는 톱날에 절단하고자 하는 목재를 밀어서 자르거나 켜는 기계로서 용도에 맞는 톱날로 교체하면 형내기, 홈파기, 턱만들기 등의 다양한 작업도 수행할 수 있어 매우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원형톱은 가공대상의 재질ㆍ가공법ㆍ가공부분에 따라 대응된 형상 및 모양 등으로 제작되어 여러 종류로 분류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목재절단 및 가공용이 많다.
그러나, 일반적인 목재가공용 원형톱을 이용하여 목재면에 홈 또는 돌부를 형성시킴에 있어, 홈 또는 돌부의 깊이는 원형톱과 가공대상물인 목재간의 근접간격을 조절함으로서 조절이 가능하나 가공이 이루어질 홈의 넓이는 하나의 원형톱으로 조절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가공홈의 원하는 넓이에 따라 절삭날의 두께를 달리하는 각기 여러종류의 커터 원형톱을 구비하여야 함으로 유지비용이 많이들고, 또한 설정 폭에 따라 원형톱을 작업대에 다시 장착해야 함으로 작업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목재면에 가공코자 하는 홈 또는 돌기의 크기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원형톱 커터기를 제공함으로서 목재 가공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에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커터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커터기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커터기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커터기의 폭조절시 상태도.
도 5는 목재 가공시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일측에 돌기가공을 위한 상태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타측에 홈가공을 위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목재 10 : 커터기 원판(상판)
20 : 커터기 원판(하판) 11,21 : 절삭날
30 : 판스프링 40 : 지지구
50 : 조절구
상기 목적은, 상하로 쌍을 이루며 결합되어지는 각각의 외주를 따라 목재면 가공을 위한 절삭날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커터기 원판, 상기 양측 커터기 원판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져 상호간을 탄성으로 지지하는 원형의 판스프링, 상기 커터기 원판의 중앙에서 구동축상에 관통 설치되는 지지구, 상기 지지구의 일단과 나합됨으로서 일측 커터기 원판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토록 하는 조절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용 원형톱 커터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터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커터기의 분해 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상기 커터기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커터기 간격 조절시 상태도이며, 5는 상기 커터기를 이용한 목재가공시의 동작상태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원형톱 커터기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의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가공용 절삭날(11,2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2개의 커터기 원판(10,20)이 상하로 맞물려 결합됨으로서 쌍을 이루는 하나의 원형톱 커터기구조를 이루게된다. 상기 절삭날(11,21)은 초경합금 재질로 이룸으로서 정밀 가공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터기 원판(10,20) 사이에는 상호간의 간격을 탄성으로 지지하기 위한 원형의 판스프링(30)이 삽입되어져 있으며, 상기 커터기의 중앙 통공에는 지지구(40)가 하부로 부터 삽입되어짐과 함께 그 일단인 상부에는 조절구(50)가 나합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커터기 원판(10,20)은 내부의 판스프링(30)에 의해 외측으로 지지력을 받게됨과 함께 외측에서는 상호 나합체결이 이루어진 지지구(40)와 조절구(50)간의 가압력 조절을 통해 커터기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또한, 커터기 원판(10,20)의 내측 대응면에는 상호간에 결합. 지지를 위한 결합홈(12)과 결합돌기(22)가 복수의 개소에 형성되어져 있으며, 지지구(40)와 조절구(50)는 각각 고정볼트(41,51)에 의해 커터기 원판(10,20)에 각각 고정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절삭날(11,21)은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위치되어 가공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측 커터기 원판(10)을 상호 엇갈리게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도 5의 도면중 부호 1은 본 고안 원형톱 커터기에 의해 가공이 이루어질 목재이고, 11' 및 21'는 각각 본 고안 커터기의 응용예로서 돌기 가공용 원형톱 커터기의 절삭날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 원형톱 커터기의 사용과정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의 가공용 커터기는 돌기 형성용 절삭날(11,12) 형상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목재 가공작업이 이루어지게 될 선반에 설치되어지게 되는데, 선반상에 구비되어져 있는 구동축(미도시)에 상기 커터기를 장착함으로서 고속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따른 돌기 가공용 절삭날(11,21)을 갖는 커터기를 선반의 일측에 장착하고, 이와 동시에 목재(1)의 타측면에 홈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절삭날(11',21')을 갖는 커터기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재단된 가공목재가 양측의 커터기 사이로 인입되는 경우 도 5a에서와 같이 목재(1)의 일측면에서는 돌기가공이 이루어지고 목재(1)의 타측면에서는 도 5b에서와 같이 홈가공이 동시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은 가공이 이루어진 목재(1)는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각각의 홈과 돌기를 맞추어 접합을 실시함으로서 원하는 크기의 가구재료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목재(1) 측면에 형성되어질 가공돌기의 크기를 필요에 재료의 두께 및 종류에 따라 변경시켜야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지지구(40)의 일단에 나사결합되어져 있는 조절구(50)를 정,역회전시켜서 절삭날(11,21)간 간격을 변형시킴으로서 홈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된다.
즉, 작업자가 가공돌기의 크기를 좀더 줄이고자 하는 경우 조절구(5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구(50)에 의해 상부 커터기 원판(10)이 가압되면서 내부에 장착되어져 있는 판스프링(30)을 눌러주게 되고, 이에따라 양측 커터기 원판(10,20)간의 간격이 감소하게 됨으로서 절삭날(11,21)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가공돌기의 크기를 확대코자 하는 경우에는 조절구(5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양측 커터기 원판(10,20)은 판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간격이 증가함으로서 반대방향으로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커터기는 가공코자 하는 홈크기에 따라 각기 별도의 절삭날이 구비된 원형톱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가변이 가능한 하나의 커터기를 이용해 다양한 크기의 홈 가공을 실시할 수 있게 되며, 이에따른 가공작업성 및 설비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커터기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목재에 돌기 가공을 위한 절삭날 구조를 이루는 커터기를 중심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본고안의 커터기 높이가변구조는 기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목재를 가공하기 위한 원형톱 커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커터기 구조는, 목재의 측면에 연속적으로 가공돌기 및 홈을 형성시킴에 있어 홈 또는 돌기의 크기 조절을 위한 커터기 원판간의 간격 가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됨으로서 하나의 원형톱 커터기로 여러형태의 가공작업이 고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되어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Claims (2)

  1. 상하로 쌍을 이루며 결합되어지는 각각의 외주를 따라 목재면 가공을 위한 절삭날(11,2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커터기 원판(10,20);
    상기 양측 커터기 원판(10,20)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져 상호간을 탄성으로 지지하는 원형의 판스프링(30);
    상기 커터기 원판(10,20) 중앙에서 구동축상에 관통 설치되는 지지구(40);
    상기 지지구(40)의 일단과 나합됨으로서 일측 커터기 원판(10)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토록 하는 조절구(50);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용 원형톱 커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측 커터기 원판(10,20)은 각각의 절삭날(11,21)이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위치되도록 고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용 원형톱 커터기.
KR20-2004-0004465U 2004-02-20 2004-02-20 목재 가공용 원형톱 커터기 KR200351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465U KR200351746Y1 (ko) 2004-02-20 2004-02-20 목재 가공용 원형톱 커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465U KR200351746Y1 (ko) 2004-02-20 2004-02-20 목재 가공용 원형톱 커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746Y1 true KR200351746Y1 (ko) 2004-06-01

Family

ID=4943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465U KR200351746Y1 (ko) 2004-02-20 2004-02-20 목재 가공용 원형톱 커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7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20006A1 (en) Magnetic woodworking base and resaw fence
TW201206592A (en) Boring head
KR20110135857A (ko) 원반형 밀링 공구 및 절단 요소
US4546804A (en) Woodworking machine
IL142242A0 (en) Cutter plate and cutting tool for machining
KR100705310B1 (ko) 다기능 면취용 에어툴
KR200351746Y1 (ko) 목재 가공용 원형톱 커터기
RU2070107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фрезерно-пильного дере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го станка
KR101644243B1 (ko) 선반가공용 임펠러고정지그
EP0628369A1 (en) Methods for obtaining cutting tools, and cutting tools obtained by these methods
TW202027885A (zh) 捨棄式刀片鎖固結構
US10105773B1 (en) Box joint blade system
CN212241435U (zh) 一种圆盘六刃刀
TWM583338U (zh) 輕量化分條機刀套改良結構
CN211304922U (zh) 一种用于曲面加工的摇摆轴
JP2567235Y2 (ja) 回転切断用スリッタナイフ
CN209614433U (zh) 一种消音锯片
CN219818159U (zh) 一种新型多槽位刀盘
US2904086A (en) Jointer-planer blade
SU939191A1 (ru) Дискова пила
SU1458113A1 (ru) Отрезной станок с измен емым углом отрезки
JP3398099B2 (ja) 切削工具
CN202753238U (zh) 一种刀轴总成
JP3294573B2 (ja) 板材の切断装置
JPH05220710A (ja) 切削研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