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990Y1 -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 - Google Patents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990Y1
KR200350990Y1 KR20-2004-0001117U KR20040001117U KR200350990Y1 KR 200350990 Y1 KR200350990 Y1 KR 200350990Y1 KR 20040001117 U KR20040001117 U KR 20040001117U KR 200350990 Y1 KR200350990 Y1 KR 200350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coating
fabric
fib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호
Original Assignee
윤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호 filed Critical 윤병호
Priority to KR20-2004-0001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5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Alumin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 D06M15/2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aromatic, e.g. styre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3Poly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에 관한 것으로, 섬유기재와; 스티렌 단량체와,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2-프로피온산과, 벤조일페록사이드와, 알루미나와, TX 옥사이드와,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유기변형 폴리실록산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성물로 형성되며, 상기 섬유기재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피막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섬유기재에 피막코팅층을 도포함에 의해 보온 및 단열성이 우수해지므로 차열성이 요구되는 의복, 신발, 텐트, 커튼, 벽지, 포장지, 시트지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textile with heat shield coating layer}
본 고안은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차열코팅층을 도포함에 의해 보온 및 단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상온경화되는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인 경우에는 직물은 의복 등의 재료로 사용되며 특수한 목적인 방수 및 단열 등이 요구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방수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직물에 방수처리를 하여 사용하게 되지만 단열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양모나 오리털, 거위털 등을 사용하여 보온성을 높이게 되며, 직물 자체에 특별한 처리를 하여 보온성을 높이는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삼유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온 코팅도료 처리를 함에 의해 보온성이 우수하며 상온에서 경화됨에 의해 공정이 간단한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본 고안에 따른 일면에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을 나타낸 단면도.
도2 - 양면에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섬유기재 110 : 피믹코팅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섬유기재와; 스티렌 단량체와,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2-프로피온산과, 벤조일페록사이드와, 알루미나와, TX 옥사이드와,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유기변형 폴리실록산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성물로 형성되며, 상기 섬유기재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피막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섬유기재는 천연섬유, 합성섬유, 광섬유 중 하나가 되고, 상기 피막코팅층은 스프레이 코팅, 롤코팅, 커튼코팅, 나이프코팅 방법 중 하나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섬유기재에 피막코팅층을 도포함에 의해 보온 및 단열성이 우수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일면에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2는 양면에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은 크게 섬유기재와, 피막코팅층으로 구성된다.
먼저 섬유기재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섬유기재는 천연섬유나 합성섬유 및 광섬유 등이며, 기타 다른 섬유가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피막코팅층은 상기 섬유기재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도포코팅되는 바, 상기 피막코팅층은 스티렌 단량체 45~55 중량%와,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8~32 중량%와, 2-프로피온산 5~8중량%와, 벤조일페록사이드 4~6중량%와, 알루미나 4~5중량%와, TX 옥사이드 3~4 중량%와, 폴리에틸렌 글리콜 0.05~0.15 중량%와, 유기변형 폴리실록산 0.1~0.2 중량%로 하는 액상의 조성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막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성물을 상기 섬유기재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도포코팅하여야 하는 바, 상기 섬유기재의 표면의 먼지, 수분, 유분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한 다음에 코팅이 진행된다.
상기 코팅은 통상 상온에서 진행되며, 스프레이 코팅, 롤코팅, 커튼코팅, 나이프코팅 방법 등으로 진행되며, 통상 1회의 코팅 시 수십 마이크론 정도의 두께로 코팅하며 상기의 코팅을 2번정도 진행하게되며 상온에서 건조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하나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지 본 고안의 범주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1실시예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섬유기재로 부직포를 사용하였으며, 피막코팅층 조성물의 조성비는 스티렌 단량체 50 중량%와,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와, 2-프로피온산 7중량%와, 벤조일페록사이드 5 중량%와, 알루미나 4 중량%와, TX 옥사이드 3.75 중량%와, 폴리에틸렌 글리콜 0.1 중량%와, 유기변형 폴리실록산 0.15 중량%로 하여 액상의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부직포에는 나이프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부직포의 일면에 조성물을 도포코팅하였다.
부직포는 두꺼운 부직포(두께 약 0.6㎜)에는 1회 도장하였으며, 얇은부직포(두께 약 0.4㎜)에는 가로방향으로 1번, 세로방향으로 1번 코팅하는 방법으로 2회 도장하였다.
그리고 일정한 외기온도 하에서 열차단 실험을 하였는 바 결과는 표1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막코팅을 1회한 두꺼운 부직포 보다는 피막코팅을 2회한 얇은 부직포의 열차단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 10℃ 이상의 열차단효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고안의 피막코팅층에 의한 열차단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제2실시예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섬유기재로 합성섬유인 폴리에스타 섬유를 사용하였으며, 피막코팅층 조성물의 조성비는 스티렌 단량체 50 중량%와,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와, 2-프로피온산 7중량%와, 벤조일페록사이드 5 중량%와, 알루미나 4 중량%와, TX 옥사이드 3.75 중량%와, 폴리에틸렌 글리콜 0.1 중량%와, 유기변형 폴리실록산 0.15 중량%로 하여 액상의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다음의 3가지 방법으로 섬유기재에 코팅을 하였다.
A. 섬유기재에 스프레이 코팅방법을 이용하여 조성물을 가로방향으로 1번, 세로방향으로 1번 코팅하는 방법으로 2회 도장하였다.
B. 섬유기재에 스프레이 코팅방법을 이용하여 조성물을 1회 도장하였다.
C. 상기 조성물 50 중량%와 폴리우레탄접착제 5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형성하여 섬유기재와 섬유기재 사이에 혼합물을 도포하여 섬유기재 상호간을 합포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코팅처리된 A, B, C 코팅섬유에 대하여 일정한 외기온도 하에서 열차단 실험을 하였는 바 결과는 표2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막코팅을 1회한 섬유기재 보다는 피막코팅을 2회한 섬유기재의 열차단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섬유기재 1장에 조성물을 도포한 B의 열차단 효율이 섬유기재 2장 사이에 접착제와 조성물의 혼합물을 도포한 C의 열차단 효율보다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순수한 조성물 자체를 도포하는 것이 불순물이 포함된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보다 열차단 효율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은 차열성이 요구되는 등산복, 등산화, 텐트, 등산조끼, 커튼, 벽지, 운동화, 신발깔창, 전자제품 포장지, 자동차 천정시트, 바닥 카페트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섬유기재에 피막코팅층을 도포함에 의해 보온 및 차열성이 우수한 직물이 형성된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원적외선에 의해 향균 및 탈취가 가능하며, 자정작용이 가능하다는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섬유기재와;
    스티렌 단량체와,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2-프로피온산과, 벤조일페록사이드와, 알루미나와, TX 옥사이드와,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유기변형 폴리실록산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성물로 형성되며, 상기 섬유기재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피막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기재는 천연섬유, 합성섬유, 광섬유 중 하나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코팅층은 스프레이 코팅, 롤코팅, 커튼코팅, 나이프코팅 방법 중 하나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
KR20-2004-0001117U 2004-01-15 2004-01-15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 KR200350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117U KR200350990Y1 (ko) 2004-01-15 2004-01-15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117U KR200350990Y1 (ko) 2004-01-15 2004-01-15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990Y1 true KR200350990Y1 (ko) 2004-05-24

Family

ID=4943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117U KR200350990Y1 (ko) 2004-01-15 2004-01-15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9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safack et al. Towards multifunctional surfaces using the plasma-induced graft-polymerization (PIGP) process: Flame and waterproof cotton textiles
RU256035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тканого тексти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включающий процессы обработки для придания материалу защитных и антистатических свойств
EP3111004B1 (en) Process for applying hydrophobic coating to fibrous substrates
RU2526379C2 (ru) Непромокаемая воздухопроницаемая ткань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423398B1 (ko)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7533491A (ja) テキスタイル構造体
MXPA03004855A (es) Composiciones de acabado dispersables en agua para substratos fibrosos.
WO2017131400A1 (ko) 실리콘계 에멀젼 발수제 및 이를 이용한 원단의 발수 가공방법
JP2008073600A (ja) 断熱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断熱シート
KR200350990Y1 (ko) 차열코팅층이 형성된 직물
JP6423170B2 (ja) 防汚性合成皮革
CN106079689B (zh) 一种低温用纳米二氧化硅气凝胶毡及其制备方法
IT201800020935A1 (it) Elemento di copertura perfezionato per superfici da stiro.
KR20130015409A (ko) 에어로 겔을 포함하는 섬유의 코팅 방법
JP2016108675A (ja) 防汚性ポリエステル布帛
KR102029415B1 (ko) 친환경 나염원단
GB2362116A (en) Foam-coated web
KR101470212B1 (ko)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643633B1 (ko) 직물 벽지 및 이의 제조 방법
ES2365060T3 (es) Material aislante hidrófobo.
KR101486139B1 (ko)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불연 단열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H11166300A (ja) 屋根下葺材
CN214830086U (zh) 一种阻燃耐磨损的绝缘胶带
JP7012583B2 (ja) 不燃性和紙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03617B1 (ko) 차열기능을 갖는 섬유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