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941Y1 -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941Y1
KR200349941Y1 KR20-2004-0002815U KR20040002815U KR200349941Y1 KR 200349941 Y1 KR200349941 Y1 KR 200349941Y1 KR 20040002815 U KR20040002815 U KR 20040002815U KR 200349941 Y1 KR200349941 Y1 KR 200349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gap
holding means
plates
maintai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춘
Original Assignee
신종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춘 filed Critical 신종춘
Priority to KR20-2004-0002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9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1One-piece elements
    • E04G17/0654One-piece elemen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07One-piec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적정 두께를 유지하여 직육면체로 각각 이루어지고, 모서리 영역에 대응되게 통공이 관통 형성된 내부마감판 및 외부마감판으로 이루어진 마감부재; 상기 마감부재의 내,외부마감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외부마감판을 적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간격유지수단; 상기 간격유지수단에 수직 및 수평으로 삽입되어 상기 간격유지수단을 격자로 연결하는 수직바 및 수평바로 이루어진 연결부재; 및 상기 간격유지수단의 끼움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마감부재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되는 내,외부마감판 사이에 간격유지수단으로써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조립하고, 이 간격유지수단을 철근 역할을 하는 수직바와 수평바로써 수직 및 수평으로 연결하여 격자형으로 연결한 다음, 이 내,외부마감판 사이에 불연재인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을 시공하게 됨으로써 그 조립구조가 간편하고, 그 강도가 충분히 유지되며, 벽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a mold assembly apparatus for wall construction a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되는 내,외부마감판 사이에 간격유지수단으로써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조립하고, 이 간격유지수단을 철근 역할을 하는 수직바와 수평바로써 격자형으로 연결한 다음, 이 내,외부마감판 사이에 불연재인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을 시공하게 됨으로써 그 조립구조가 간편하여, 벽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은 시공방법에 따라 여러가지 공법으로 시공되는 데, 주로 사용되는 공법은 철재빔을 상호 조립하여 주 골격을 이룬 다음, 콘크리트 구조물로써 각층을 수평으로 구획하여 구조물 및 천장 구조물을 시공하거나, 벽 또는 천정의 구조물에 적절하게 착탈식 거푸집을 구비하고, 이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을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착탈식 거푸집을 구비하고, 이 거푸집 내부에 배근을 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적정 기간이 경과된 후 거푸집을 분리시켜 구조물을 시공하게 됨에 따라 작업공정이 많아 작업성이 저하되어 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또한 콘트리트 양생시 거푸집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조립성이 우수하고, 방음벽, 방화벽 및 지진내력 벽을 기능을 갖는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적정 두께를 유지하여 직육면체로 각각 이루어지고, 모서리 영역에 대응되게 통공이 관통 형성된 내부마감판 및 외부마감판으로 이루어진 마감부재; 상기 마감부재의 내,외부마감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외부마감판을 적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간격유지수단; 상기 간격유지수단에 수직 및 수평으로 삽입되어 상기 간격유지수단을 격자로 연결하는 수직바 및 수평바로 이루어진 연결부재; 및 상기 간격유지수단의 끼움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마감부재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감부재 12,14 : 내,외부마감판
13 : 통공 20 : 끼움부재
30,31 : 제 1,2밀착부재 32 : 수직공
33 : 수평공 40 : 수평연결부재
42 : 보강돌기 50 : 연결부재
52 : 수직바 54 : 수평바
60 : 체결부재 70 : 단열재
80 : 간격유지부재 82 : 외부보조마감판
82 : 체결공 84 : 고정부재
90 : 장식부재 A : 간격유지수단
B : 보조간격유지수단 h : 공간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의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조립장치는 크게 마감부재(10), 간격유지수단(A), 연결부재(50) 및 체결부재(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부재(10)는 적정 두께를 유지하여 직육면체로 각각 이루어지고, 모서리영역에 대응되게 통공(13)이 관통 형성된 내부마감판(12) 및 외부마감판(1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내,외부마감판(12)(14)은 목재 및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수단(A)은 마감부재(10)의 내,외부마감판(12)(14)의 통공(13)에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되고, 외경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끼움부재(20)와; 끼움부재(20)가 일면과 타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직공(32)과 수평공(33)이 상호 어긋나게 각각 형성된 제 1,2밀착부재(30)(31)와; 제 1,2밀착부재(30)(31) 사이를 적정 길이로 연결하게 되고, 외경에는 보강돌기(42)가 형성된 수평연결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50)는 제 1,2밀착부재(30)(31)의 수직공(32)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바(52)와; 제 1,2밀착부재(30)(31)의 수평공(33)에 수평으로 삽입되는 수평바(54)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바(52)와 수평바(54)는 적정 직경을 유지하여 금속재로 제작되어 수직공(32)과 수평공(33)에 상호 어긋나게 간섭이 발생되지 않토록 삽입됨으로써 철근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60)는 간격유지수단(A)의 끼움부재(20)에 체결되어 마감부재(10)를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간격유지수단(A)에 의해 적정 간격이 유지되고, 체결부재(6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마감부재(10)의 내,외부마감판(12)(14) 사이에는 불연재인 콘크리트 (65)를 타설하게 됨으로써 중량의 벽을 양생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마감부재(10)의 내,외부마감판(12)(14) 사이에는 콘크리트(65)를 채원 넣지 않게 되면 경량의 벽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정 기간이 경과되어 콘크리트(65)가 양생되면, 체결부재(60)를 간격유지수단(A)의 끼움부재(20) 수나사로부터 체결력을 해제시킨 다음, 내,외부마감판(12)(14)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한쌍의 내,외부마감판(12)(14)을 간격유지수단(A)으로써 연결하는 거푸집 조립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쌍의 내,외부마감판(12)(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아니라, 벽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여러장의 내,외부마감판(12)(14)을 간격유지수단(A)으로써 좌우측 및 상하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조립하여 벽을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내부마감판(12)의 내측으로는 보조간격유지수단(B)로써 공간부(h)를형성하고, 이 공간부(h)에는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70)가 내장된다.
상기 보조간격유지수단(B)은 간격유지수단(A)의 끼움부재(20) 수나사부에 일측 내경이 나사 체결되는 간격유지부재(80)와; 간격유지부재(80) 타단에 밀착되어 간격유지부재(80)의 타측 내경과 일치되는 체결공(82a)이 형성된 외부보조마감판(82)과; 외부보조마감판(82)의 체결공(82a)에 삽입되고, 간격유지부재(80)의 타측 내경에 나사 체결되어 외부보조마감판(82)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84)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부보조마감판(82) 일면에는 타일, 벽돌 등의 장식부재(90)를 부착하여 외관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의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합판 및 합성수지로 적정 두께와 직육면체로 유지된 마감부재(10)의 내,외부마감판(12)(14)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각각 통공(13)에 4개의 간격유지수단(A) 양측의 끼움부재(20)를 각각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간격유지수단(A)의 끼움부재(20)가 내,외부마감판(12)(14)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각각 통공(13)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됨과 동시에 끼움부재(20)가 일면과 타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제 1,2밀착부재(30)(31)의 일면과 타면이 내,외부마감판(12)(14)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끼움부재(20) 외경의 수나사부에 체결부재(60)를 순차적으로 체결하여 조이게 되면, 간격유지수단(A)의 길이 만큼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내,외부마감판(12)(14)이 조립되어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간격유지수단(A)의 제 1,2밀착부재(30)(31)에 상호 어긋나게 각각 형성된 수직공(32)과 수평공(33)을 통하여 연결부재(50)를 구성하고 있는 수직바(52)와 수평바(54)를 순차적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2밀착부재(30)(31)의 수직공(32)과 수평공(33)을 통하여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수직바(52)와 수평바(54)가 상호 어긋나게 삽입되어 간격유지수단(A)을 격자형으로 상호 연결하여 그 조립강도가 충분히 유지된 상태로 조립된다. 이때, 금속재로 이루어진 수직바(52) 및 수평바(54)는 철근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간격유지수단(A)에 의해 적정 간격이 유지되고, 체결부재(6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마감부재(10)의 내,외부마감판(12)(14) 사이에는 불연재인 콘크리트(65)를 타설되면, 중량의 콘크리트 벽을 양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정 기간이 경과되어 콘크리트(65)가 완전히 양생되면, 체결부재(60)를 간격유지수단(A)의 끼움부재(20) 수나사로부터 체결력을 해제시킨 다음, 거푸집 역할을 하는 내,외부마감판(12)(14)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내,외부마감판(12)(14)를 그대로 사용할 수 도 있고, 분리시켜 다른 작업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한쌍의 내,외부마감판(12)(14)을 간격유지수단(A)으로써 연결하는 거푸집 조립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쌍의 내,외부마감판(12)(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벽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여러장의 내,외부마감판(12)(14)을 간격유지수단(A)으로써 좌우측 및 상하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조립하여 벽을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내부마감판(12)의 내측으로는 보조간격유지수단(B)로써 공간부(h)가 형성되도록 연결하여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70)를 내장시키게 된다.
즉, 간격유지수단(A)의 끼움부재(20) 수나사부에, 적정 길이로 이루어진 간격유지부재(80)의 일측 내경을 각각 체결시키게 된다. 그러면, 끼움부재(20)의 수나사부에 보조간격유지수단(B)의 간격유지부재(80)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여 체결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간격유지부재(80) 타측에 외부보조마감판(82)을 밀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간격유지부재(80)의 타측 내경과 내부보조마감판(82)의 체결공(82a)이 일치된다.
그 다음으로 고정부재(84)를 외부보조마감판(82)의 체결공(82a)을 통하고, 간격유지부재(80)의 타측 내경에 나사 체결하여 외부보조마감판(82)을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외부마감판(14)과 외부보조마감판(82) 사이에 공간부(h)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간부(h)를 통하여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70)를 내장시키게 된다.
한편, 외부보조마감판(82) 일면에는 타일, 벽돌 등의 장식부재(90)를 부착하여 외관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되는 내,외부마감판 사이에 간격유지수단으로써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조립하고, 이 간격유지수단을 철근 역할을 하는 수직바와 수평바로써 수직 및 수평으로 삽입하여 격자형으로 연결하여 강도가 충분히 유지된 상태로 조립한 다음, 이 내,외부마감판 사이에 불연재인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을 시공하게 됨으로써 그 조립구조가 간편하여, 작업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그리고, 내부마감판의 내측으로는 보조간격유지수단으로써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에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를 내장시키고, 외부보조마감판 일면에는 타일, 벽돌 등의 장식부재를 부착하여 외관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구조는 벽 시공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거푸집이 필요로 하는 건설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천정 및 인테리어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적정 두께를 유지하여 직육면체로 각각 이루어지고, 모서리 영역에 대응되게 통공(13)이 관통 형성된 내부마감판(12) 및 외부마감판(14)으로 이루어진 마감부재(10);
    상기 마감부재(10)의 내,외부마감판(12)(1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외부마감판(12)(14)을 적정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수단(A);
    상기 간격유지수단(A)에 수직 및 수평으로 삽입되어 상기 간격유지수단(A)을 격자로 연결하는 수직바(52) 및 수평바(54)로 이루어진 연결부재(50); 및
    상기 간격유지수단(A)의 끼움부재(20)에 체결되어 상기 마감부재(10)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6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수단(A)은
    상기 마감부재(10)의 내,외부마감판(12)(14)의 통공(13)에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되고, 외경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끼움부재(20);
    상기 끼움부재(20)가 일면과 타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52)와 수평바(54)가 삽입되는 수직공(32)과 수평공(33)이 상호 어긋나게 각각 형성된 제 1,2밀착부재(30)(31); 및
    상기 제 1,2밀착부재(30)(31) 사이를 적정 길이로 연결하게 되고, 외경에는보강돌기(42)가 형성된 수평연결부재(4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감판(12)의 내측으로 단열재(70)가 내장되는 공간부(h)가 형성되도록 보조간격유지수단(B)를 구비하되,
    상기 보조간격유지수단(B)은,
    상기 간격유지수단(A)의 끼움부재(20) 수나사부에 일측 내경이 나사 체결되는 간격유지부재(80);
    상기 간격유지부재(80) 타단에 밀착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재(80)의 타측 내경과 일치되는 체결공(82a)이 형성된 외부보조마감판(82);
    상기 외부보조마감판(82)의 체결공(82a)에 삽입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80)의 타측 내경에 나사 체결되어 외부보조마감판(82)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84);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보조마감판(82) 일면에는 장식부재(90)를 부착하여 외관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KR20-2004-0002815U 2004-02-05 2004-02-05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KR200349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815U KR200349941Y1 (ko) 2004-02-05 2004-02-05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815U KR200349941Y1 (ko) 2004-02-05 2004-02-05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630A Division KR20050079383A (ko) 2004-02-05 2004-02-05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941Y1 true KR200349941Y1 (ko) 2004-05-10

Family

ID=4934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815U KR200349941Y1 (ko) 2004-02-05 2004-02-05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9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368B1 (ko)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010023206A (ko) 건물의 벽체 축조용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US20060010827A1 (en) Formwork element
AU2007270162B2 (en) Vertical construction joints
KR20050079383A (ko)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KR200349941Y1 (ko)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KR20200134511A (ko)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KR101326008B1 (ko) 주택시공용 콘크리트 구조체
JPH11193588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外断熱工法における耐火材の取付方法。
US20180298624A1 (en) Assembly of profiles for sustaining, molding and finishing the concrete of slab, beam and column
KR102120426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RU92891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JP2000120212A (ja) 造成コンクリート壁及びその製造方法
KR0131314Y1 (ko) 콘크리트 유니트욕실용 욕실벽판
KR20050046026A (ko) 건축물의 경량 벽체 내화 구조
KR200216917Y1 (ko)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구조
KR100322412B1 (ko) 조립식철골조와이를이용한건축공법
JP3677073B2 (ja) コンクリート基礎施工ユニット
KR100504350B1 (ko)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20020030438A (ko)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구조
KR100397580B1 (ko) 건물용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100540643B1 (ko) 건축물의 벽체
KR20070082009A (ko) 건축용 블럭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