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841Y1 - 전기오븐의 록킹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오븐의 록킹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841Y1
KR200349841Y1 KR20-2004-0004925U KR20040004925U KR200349841Y1 KR 200349841 Y1 KR200349841 Y1 KR 200349841Y1 KR 20040004925 U KR20040004925 U KR 20040004925U KR 200349841 Y1 KR200349841 Y1 KR 200349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cooking chamber
cam
electric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4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8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841Y1/ko
Priority to ES04027019T priority patent/ES2309436T3/es
Priority to EP20040027019 priority patent/EP1564497B1/en
Priority to DE200460016113 priority patent/DE602004016113D1/de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배면 일측에 형성되는 래치걸이부와, 전장실의 일측에 캠에 의해 유동되는 래치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래치어셈블리가 설치되는 전기오븐의 록킹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전기오븐의 록킹구조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도어의 개방 방지를 위한 래치걸이부(200)와; 오븐캐비티 일측에 형성된 전장실에 장착되어, 상기 래치걸이부(200)와 결합되고 탈거되도록 캠(140)에 의해 유동되는 래치(150)가 구비되는 래치어셈블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래치어셈블리(100)는 상기 도어의 록킹여부를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130)와, 상기 캠(140)의 회전운동으로 평행 왕복운동하는 래치(150)와, 상기 래치(150)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170)과, 상기 가이드홀(170)을 안내하는 고정단(18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며, 조리실의 상당한 고온의 영향으로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아 셀프크리닝 작업시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오븐의 록킹구조{A locking structure of Electric oven}
본 고안은 전기오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배면 일측에 형성되는 래치걸이부와, 전장실의 일측에 캠에 의해 유동되는 래치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래치어셈블리가 설치되는 전기오븐의 록킹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오븐은 대량의 음식물을 빠르게, 그리고 골고루 익혀 조리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가열원을 이용하여 출력을 높혀서 음식물을 다양하게 요리할 수 있는 조리기기 제품이다.
도 1 은 종래 대류형 전기오븐의 측단면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0)의 전면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11)가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10)의 후방에는 조리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조리실(10)로 배출하기 위한 히터챔버(3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1)의 배면 상단 양측에는 도어(11)의 개폐수단의 일 구성인 개폐돌기(11b)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11)의 배면 상단 중앙부에는 전기오븐의 셀프크리닝(self-cleaning) 작업시 도어(11)의 열림방지를 위한 록킹장치의 일 구성인 래치걸이부(11a)가 더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10)의 전면에는 조리실(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6)가 구비되고, 상기 전면 플레이트(16)의 상단에는 상기 도어(11)의 개폐돌기(11b)가 출입되는 개폐돌기슬롯(16b)과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전장실(90)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구(16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플레이트(16)의 상부에는 다수의 조작 다이얼(14a)이 구비되는 컨트롤패널(14)이 설치된다.
상기 히터챔버(3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컨벡션팬(40)을 구동시키는 모터(20)와, 상기 모터(20)의 회전축(21)에 결합되어 공기 순환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팬(40) 및 상기 컨벡션팬(40) 주위에 위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히터(50)로 구성되며, 상기 조리실(10)의 후방, 즉 조리실(10)의 뒷면을 형성하는 백플레이트(32)에는 전방으로 상기 히터챔버(30)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챔버커버(42)가 설치된다.
상기 챔버커버(42)의 중심부에는 상기 컨벡션팬(40)에 의해 조리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히터챔버(30)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컨벡션팬(40)에 의해 다시 조리실(10) 내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출입공(42a)이 다수개의 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0) 하면에는 피조리물이 위치하는 트레이(12)가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10)의 하부에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하부히터(80)가 설치된다.
상기 조리실(10) 상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전장실(90)이 형성된다.상기 전장실(90)에는 상기 하부히터(8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히터(60)와, 상기 상부히터(60)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조리실(10) 내부로 전달하는 스티러팬(61) 및 복사열을 전달하는 할로겐 히터(62), 그리고 상기 할로겐 히터(62)를 감싸고 보호하는 히터커버(63) 등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이렇게 다수의 히터, 즉 가열원이 여러 종류가 구비되는 것은 전기오븐의 출력을 높혀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빠르게, 그리고 골고루 익힐 수 있게 하고, 조리되는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특성에 맞는 요리를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전장실(90)에는 상기 조리실(10)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상부팬(70)이 구비되며, 상기 전장실(90)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블로우팬(64)이 설치되고, 상기 래치걸이부(11a)에 대응되는 래치어셈블리(92)가 전면에 더 설치된다.
상기 래치어셈블리(92)에는 상기 조리실(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sensor)에 의해 마이콤(micom, 도시되지 않음)에서 신호를 전달하여 도어의 록킹(locking)여부를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92a)와, 고온으로 인해 발열되는 젤상태의 물질(G)과, 상기 물질(G)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P)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기오븐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전원의인가에 의해 상기 상부히터(60) 및 하부히터(80)에서 발생된 열과 할로겐 히터(62)의 복사열이 조리실(10)로 전달된다. 그리고,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추가로 마이크로웨이브의 고주파가 더 방사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히터챔버(30) 내부의 컨벡션팬(40)이 모터(2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조리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컨벡션히터(50)에 의해 가열시킨 후 다시 조리실(10) 내부로 배출시키는 열풍 순환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조리실(10)의 후방벽, 즉 상기 챔버커버(42)의 중심부에 가공된 공기출입공(42a)을 통해서 조리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히터챔버(30) 내부에서 모터(20)와 회전축(21)에 의해 연결된 컨벡션팬(40)과, 상기 컨벡션팬(40) 주위에 설치된 컨벡션히터(50)에 의해서 열풍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모터(20)는 전기오븐의 작동과 더불어 컨벡션팬(40)을 회전시키며, 이와 동시에 컨벡션히터(50)가 작동해서 주위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컨벡션팬(40)은 그 주위의 공기를 상기 챔버커버(42) 중심부의 공기출입공(42a)을 통해서 히터챔버(30)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조리실(10) 내부로 송풍한다. 따라서, 컨벡션팬(40)의 주위에 원형으로 설치된 히터(5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 주위 공기는, 상기 대류팬(40)에 의해 강제 순환되는 열풍을 형성한다.
이 열풍은, 상기 컨벡션팬(40)에 의해 조리실(10)의 후방벽, 즉 상기 챔버커버(42)에 형성된 공기출입공(42a)을 통해서 다시 조리실(10) 내부로 송풍되어, 피조리물의 조리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공급하게 되는 강제 대류를 겪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열풍으로 음식물을 조리하고 난 후 상기 조리실(10)에 남겨진 음식 찌꺼기나 기름때를 청소하기 위해 셀프크리닝(self-cleaning)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의하여 셀프크리닝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눌러서 실시하게 된다.
사용자가 셀프크리닝버튼을 누르면, 상기 조리실(10)이 음식물이 조리될 때보다 높은 상당한 고온(450도 ~ 500도)을 형성하여 조리실(10)에 남은 음식 찌꺼기나 기름때를 열분해하여 재로 만든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10)의 온도가 별도로 구비되는 센서(sensor, 도시되지 않음)에서 감지하여 상당한 고온이 형성되면, 마이콤(micom, 도시되지 않음)에서 신호를 보내어 상기 젤상태의 물질(G)을 발열시킨다.
도 3 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젤상태의 물질(G)이 열을 받아 기화되면서 발산하게 되면, 상기 젤상태의 물질(G)이 발산하는 기화열로 상기 피스톤(P)을 밀어 내게 된다. 이렇게 밀려 나온 피스톤(P)은 상기 래치걸이부(11a)에 접촉되어 래치걸이부(11a)를 유동시키면서 걸어지게 되고, 상기 마이크로스위치(92a)에서 도어(11)의 록킹(locking)상태를 체크하여 셀프크리닝 작업이 끝날 때까지 상기 도어(11)가 열리지 않게 된다.
그런 다음, 셀프크리닝이 끝나게 되면서 상기 센서(sensor)가 조리실(10)의 온도를 감지하여 록킹(locking)상태를 해제하는 온도가 되면, 상기 마이콤(micom)에서 상기 젤상태의 물질(G)의 발열을 멈추도록 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젤상태의 물질(G)의 발열이 멈추게 되어 상기 피스톤(P)이 다시 제자리로 복귀하면서 상기 래치걸이부(11a)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92a)에서 도어(11)의 록킹(locking)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록킹이 해제되고 마이콤에서 셀프크리닝이 완료되었다는 메세지가 나타나거나 신호음이 울리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도어(11)를 개방하여 깨끗한 걸레나 헝겊으로 상기 조리실(10)을 닦아내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셀프크리닝 작업시 작동되는 상기 래치어셈블리(92)는 대부분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므로 상기 조리실(10)의 상당한 고온의 영향으로 오작동을 일으켜 셀프크리닝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도어(11)를 개방하면 도어(11)가 개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래치어셈블리(92)는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의 물질을 사용하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운동을 하는 캠 구조를 이용하여 래치가 경사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래치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셀프크리닝 작업시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는 전기오븐의 록킹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전기오븐의 측단면도.
도 2 는 종래 전기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종래 전기오븐의 래치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전장실의 부분 평면도.
도 4 는 종래 전기오븐의 록킹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오븐 래치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오븐 래치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오븐 록킹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오븐 래치어셈블리의 래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레치 어셈블리 110. ..... 래치보드
120. ..... 모터 130. ..... 마이크로스위치
140. ..... 캠 140a. ..... 중심축
150. ..... 래치 160. ..... 축 170. ..... 가이드 홀 180. ..... 고정단 200. ..... 래치걸이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전기오븐의 록킹구조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도어의 개방 방지를 위한 래치걸이부와; 오븐캐비티 일측에 형성된 전장실에 장착되어, 상기 래치걸이부와 결합되고 탈거되도록 캠에 의해 유동되는 래치가 구비되는 래치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록킹여부를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캠의 회전운동으로 평행 왕복운동하는 래치와, 상기 래치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을 안내하는 고정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울기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과 고정단은 다수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래치어셈블리의 구조가 간단하여 비용이 절감되며, 조리실의 상당한 고온의 영향으로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아 셀프크리닝 작업시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래치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래치어셈블리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래치어셈블리와 래치걸이부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 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래치의 왕복운동을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어(도시되지 않음)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도시되지 않음)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상단 배면 양측에는 도어의 임의적 개폐수단의 일 구성인 도어개폐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상단 배면 중앙부에는 전기오븐의 셀프크리닝(self-cleaning) 작업시 도어의 열림방지를 위한 록킹장치의 일 구성인 래치걸이부(200)가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전장실(도시되지 않음)의 전면 양측에는 상기 도어개폐돌기에 대응되는 개폐돌기슬롯(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고, 전면 중앙부에는 상기 래치걸이부(200)에 대응되는 래치어셈블리(100)가 더 설치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어셈블리(100)의 구성을 살펴 보면, 상기 래치어셈블리(10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캠(140)을 보호하고 일측의 외관을 형성하는 래치보드(110)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보드(110)는 상기 전장실에 고정 설치되도록 편평한 평면을 가지며, 상기 조리실의 상당한 고온에도 견딜 수 있도록 철판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보드(110)의 타측에는 상기 캠(140)을 구동시키는 모터(120)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120)의 측면에는 셀프크리닝 작업시 도어의 록킹(locking)여부를 체크하는 마이크로스위치(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30)의 측면에는 상기 모터(120)의 동력으로 회전운동하는 캠(140)이 위치하며, 상기 캠(140)의 측면, 즉 상기 래치보드(110) 측에는 상기 캠(140)의 회전운동으로 평행 왕복운동하는 래치(150)가 설치되고, 상기 캠(140)과 래치(150) 사이에는 캠(140)과 래치(150)를 연결하는 축(160)이 더구비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150)에는 평행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170)이 장공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170)은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래치(150)의 평행 왕복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홀(170)을 안내하는 고정단(180)이 상기 래치보드(110) 측에 상기 가이드홀(170)에 대응하여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캠(140)의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에도 상기 캠(140)의 회전을 위한 중심축(140a)이 더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래치어셈블리(100)가 상기 전장실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걸이부(200)와 결합되고 탈거되는 작용을 살펴본다.
사용자가 음식물을 조리하고 난 다음 조리실(도시되지 않음)에 남겨진 음식 찌꺼기나 기름때를 청소하기 위한 셀프크리닝(self-cleaning)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의하여 셀프크리닝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눌러서 실시하게 된다.
도어를 닫고 상기 셀프크리닝버튼을 사용자가 누르면, 조리실(도시되지 않음)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예열 시간이 어느 정도 경과하고 나면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셀프크리닝을 실시하기 위한 조건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조리실의 셀프크리닝이 실시된다.
이때, 상기 조리실의 온도는 내부의 음식물 찌꺼기를 태울 수 있는 상당한 고온으로 형성되고, 셀프크리닝에 소요되는 시간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러한 셀프크리닝이 진행되는 시간 동안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개방되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셀프크리닝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도어가 열리게 되면, 상기 조리실이 갑자기 낮아진 대기압의 영향으로 열팽창을 하게 되어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셀프크리닝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록킹(locking)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법적으로 상기 조리실의 온도가 350도 이상이면 상기 도어가 개방되지 않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편, 상기 조리실의 온도는 별도로 구비되는 센서(sensor)에서 체크한다. 상기 센서가 상기 조리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250도 이상이 되면 마이콤(micom, 도시되지 않음)에서 상기 래치어셈블리(100)의 모터(120)를 구동하도록 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모터(120)의 작동으로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상기 캠(140)이 작동하게 되고, 상기 캠(140)의 작동으로 상기 래치(150)가 평행 이동을 하게 됨으로써 상기 래치걸이부(200)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셀프크리닝이 진행하는 동안 상기 도어가 완전히 잠겨 임의적으로는 열리지 않게 된다.
즉,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150)가 고정단(180)을 기준으로 가이드홀(170)을 따라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캠(1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래치(150)가 래치걸이부(200)와 결합되어 평행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래치(150)가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울기를 가진 가이드홀(170)을 따라 상기 래치걸이부(200)를 당기면서 평행이동하여 결합하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30)에서 도어의 잠김상태를 체크하여 셀트크리닝 작업이 끝날 때까지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는 록킹(locking)이 완성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마이콤이 상기 모터(120)의 작동을 멈추게 하고, 상기 도어는 외부의 힘을 가하여도 더 이상 열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셀프크리닝이 끝나게 되면서 상기 센서가 조리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250도 이하가 되면, 상기 마이콤에서 모터(120)를 작동시켜 상기 캠(140)이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상기 래치(150)가 상기와 반대로 평행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150)가 상기 래치걸이부(200)와 결합할 때와 반대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여 래치걸이부(200)를 이탈하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30)가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록킹이 해제되고 마이콤에서 셀프크리닝이 완료되었다는 메세지가 나타나거나 마이콤에서 신호음이 울리게 되면 셀프크리닝 작업이 끝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깨끗한 걸레나 헝겊으로 상기 조리실을 닦아내면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오븐의 록킹구조는, 도어의 배면 일측에 형성되는 래치걸이부에 대응하여, 전장실의 일측에 캠에 의해 유동되는 래치가 경사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래치어셈블리가 설치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셀프크리닝 작업시 작동되는 래치어셈블리의 구조가 간단하고, 래치보드가 철판으로 구성되므로 조리실의 상당한 고온에도 래치어셈블리의 외형에 영향을 받지 않아 오작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래치어셈블리의 구조가 간단하게 구성됨으로써 부품 가격을 줄일 수 있고 제품의 가격 경쟁력에 있어서도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될 수 있어, 결국 소비자의 제품 구매욕을 상승시키는 효과로 이어진다.

Claims (4)

  1.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도어의 개방 방지를 위한 래치걸이부와;
    오븐캐비티 일측에 형성된 전장실에 장착되어, 상기 래치걸이부와 결합되고 탈거되도록 캠에 의해 유동되는 래치가 구비되는 래치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록킹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록킹여부를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캠의 회전운동으로 평행 왕복운동하는 래치와,
    상기 래치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을 안내하는 고정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록킹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울기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록킹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과 고정단은 다수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전기오븐의 록킹구조.
KR20-2004-0004925U 2004-02-16 2004-02-25 전기오븐의 록킹구조 KR200349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925U KR200349841Y1 (ko) 2004-02-25 2004-02-25 전기오븐의 록킹구조
ES04027019T ES2309436T3 (es) 2004-02-16 2004-11-12 Aparato de apertura/cierre de puerta en un horno electrico.
EP20040027019 EP1564497B1 (en) 2004-02-16 2004-11-12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electric oven
DE200460016113 DE602004016113D1 (de) 2004-02-16 2004-11-12 Öffnungs- und Schliesssystem für eine Ofentü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925U KR200349841Y1 (ko) 2004-02-25 2004-02-25 전기오븐의 록킹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841Y1 true KR200349841Y1 (ko) 2004-05-08

Family

ID=4942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925U KR200349841Y1 (ko) 2004-02-16 2004-02-25 전기오븐의 록킹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8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891A1 (ko)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891A1 (ko)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1505B1 (en) Electric oven
US7329838B2 (en) Convection part for electric oven range
KR100402495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시스템
EP1431669B1 (en) Electric oven with safety device
JP4607649B2 (ja) 加熱調理器と調理方法
KR20050081374A (ko) 전기오븐의 록킹구조
KR200349841Y1 (ko) 전기오븐의 록킹구조
JP2008089255A (ja) 加熱調理器
USRE27545E (en) Range open door latching device
KR100646879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100633172B1 (ko) 빌트인 타입 전기오븐의 냉각시스템
JP4576296B2 (ja) 加熱調理器
KR100562105B1 (ko) 전기오븐의 도어 락킹 시스템
KR10064688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100697457B1 (ko) 전기오븐의 도어록시스템
KR100861946B1 (ko) 가열 조리장치
KR100682675B1 (ko) 전기 오븐 레인지의 이중 바닥 고정 구조
KR100705066B1 (ko) 전기 오븐 레인지의 이중 바닥 고정 구조
KR200365631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100826713B1 (ko) 가스오븐레인지
KR101052104B1 (ko) 전기오븐의 인터록 구조
KR20080076310A (ko) 가열조리장치
KR100674724B1 (ko) 빌트인 타입의 전기오븐
JP6693025B2 (ja) 加熱調理器
KR101130350B1 (ko) 전기오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