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533Y1 - 복원 장치 - Google Patents

복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533Y1
KR200348533Y1 KR20-2004-0001783U KR20040001783U KR200348533Y1 KR 200348533 Y1 KR200348533 Y1 KR 200348533Y1 KR 20040001783 U KR20040001783 U KR 20040001783U KR 200348533 Y1 KR200348533 Y1 KR 200348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il
function selection
selection unit
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준
Original Assignee
에스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캠(주) filed Critical 에스캠(주)
Priority to KR20-2004-0001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5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5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0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 H01H19/24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acting with snap action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원 장치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소정각도로 회전하면서 각종 기능을 선택하고, 제 1 면의 중앙부분에 응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응력 발생홈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기능 선택부, 응력 발생홈에 삽입되고 기능 선택부에 힘이 가해져 기능 선택부가 회전하면 응력 발생홈에 의해 비틀림의 응력이 발생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비틀림의 응력이 제거되어 기능 선택부를 초기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 스프링 및 기능 선택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기능 선택부의 제 1 면 쪽에 결합되고, 응력 발생홈과 대응되는 부분에 복원 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복원 장치를 사용할 경우 기능 선택부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복원 스프링에 의해 회전되었던 기능 선택부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기능 선택 장치에 복원 장치를 설치하면 사용자가 초기의 상태에서 선택버튼을 원하는 만큼만 정확히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원 장치{RESTOR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복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각도로 회전하면서 전자기기의 각종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부을 초기의 위치로 자동 복원시키는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들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전자기기들의 외부에 사용자가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 선택 장치도 한개 이상 설치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의 경우 렌즈군을 원하는 길이로 전진 후진시키는 줌 조절 스위치 그리고, 셀프 기능, 자동 플레시 기능 및 휴지통 등과 같은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회전다이얼 스위치 등이 있다. 줌 조절 스위치 및 회전 다이얼 스위치의 경우 사용자가 적어도 2개의 기능들 중 원하는 하나의 기능만을 선택할 수 있도록 버튼을 구비된 기능 선택부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줌 조절부 및 회전 다이얼 스위치와 같은 기능 선택 장치에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기능 쪽으로 회전된 기능 선택부를 초기의 위치로 되돌려주는 복원장치가 없어 기능 선택 장치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기능 선택 장치에 복원장치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종래의 복원 장치는 그 부품의 수가 많고 구조도 복잡하여 기능 선택부를 얇게 형성화 할 수 없으며 기능 선택 장치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의 수를 줄어 기능 선택 장치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고, 기능 선택 장치의 두께를 얇게 형성시킬 수 있는 복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복원 장치가 설치된 줌 조절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능 선택부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스위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소정각도로 회전하면서 각종 기능을 선택하고 제 1 면의 중앙부분에 응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응력 발생홈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기능 선택부, 응력 발생홈에 삽입되고 기능 선택부에 힘이 가해져 기능 선택부가 회전하면 응력 발생홈에 의해 비틀림의 응력이 발생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비틀림의 응력이 제거되어 기능 선택부를 초기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 스프링 및 기능 선택부의 회전이가능하도록 기능 선택부의 제 1 면 쪽에 결합되고 응력 발생홈과 대응되는 부분에 복원 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복원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복원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을 사용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복원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복원 장치가 줌 조절 스위치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복원 장치가 설치된 줌 조절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줌 조절 스위치(100)는 복원 장치(140), 커버(110), 접점 변환부(150) 및 스위치부(160)를 포함한다.
복원 장치(140)는 기능 선택부(130), 복원 스프링(120) 및 고정 플레이트(141)를 포함한다.
기능 선택부(130)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원형으로 제작되고, 제 1 면(131), 제 2 면(132) 및 이들을 연결시키는 측면(133)을 포함한다. 제 1 면(131)에는 사용자가 와이드(wide) 또는 텔레(tel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버튼(134)이 배치된다. 선택 버튼(138)과 대향되는 측면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연장부(136)가 형성된다. 연장부(136)에는 제 1 삽입홀(137)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면(132)의 중앙에는 응력 발생홈(138)이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응력 발생홈(138)은 복원 스프링(120)을 설명한 후에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능 선택부(130)는 선택 버튼(134)에 가해지는 힘에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복원 스프링(120)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된 기능 선택부(130)를 초기의 위치로 자동 복원시키는 것으로, 기능 선택부(130)와 고정 플레이트(141) 사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복원 스프링(120)은 축선에 대해 회전 방향으로 비틀림의 응력을 받고, 원형상의 코일(122;coil), 코일(122)의 양측단부가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코일(122)의 외측으로 돌출된 테일(124;tail)을 갖는 토션 스프링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능 선택부의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응력 발생홈(138)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응력 발생홈(138)은 기능 선택부(130)의 제 2 면(132) 중 복원 스프링(120)이 배치되는 중앙부분에 형성된다. 응력 발생홈(138)은 복원 스프링(1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응력 발생홈(138)의 중앙에는 복원 스프링(120)의 코일(122)이 위치하는 원형의 코일 홈(138a)이 형성되고, 코일 홈(138a)에서 복원 스프링(120)의 테일(124)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테일(124)이 위치하는 테일 홈(138b)이 형성된다. 테일 홈(138b)은 코일 홈(138a)으로부터 기능 선택부(130)의 측면(133) 쪽으로 연장되는데, 그 길이는 테일(124)과 대응된다. 테일 홈(138b)은 복원 스프링(120)의 이동 제한하여 복원 스프링(120)의 회전 방향으로 비틀림의 응력을 발생시킨다.
고정 플레이트(141)는 기능 선택부(130)와 마주보는 제 1 면(141), 접점 변환부(150)가 설치되는 제 2 면(143) 및 제 1면(142)과 제 2 면(143)을 연결시키는측면(144)을 갖는다. 고정 플레이트(141)의 제 1 면(142)에는 결합 보스(149) 및 코일 삽입부(145)가 형성된다. 결합 보스(149)는 고정 플레이트(141)의 제 1 면(142) 중앙에 형성되며, 기능 선택부(1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 플레이트(141)를 기능 선택부(130)에 결합시킨다. 코일 삽입부(145)는 코일 홈(138a)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기능 선택부(130) 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코일 홈(138a)에 삽입된다. 코일 삽입부(145)가 기능 선택부(130) 쪽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코일 삽입부(145)와 결합 보스(149) 사이에는 코일(122)이 삽입되는 코일 삽입홈(145a)이 발생된다. 그리고, 코일 삽입부(145)의 측벽 중 테일 홈(138a)과 대응되는 부분은 개구되어 복원 스프링(120)의 테일(122)을 테일 홈(138b)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고정 플레이트(141)의 제 1 면(142) 중 제 1 삽입홀(137)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 1 관통공(146)이 슬릿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제 1 관통공(146)의 길이는 기능 선택부(130)의 회전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플레이트(141)의 제 2 면(143)에는 가이드부(147)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47)는 제 2 면(143)에 서로 마주보도록 하나의 쌍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147)가 형성되는 위치는 제 1 관통공(146)을 기준으로 제 1 관통공(146)의 폭방향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며, 제 1 관통공(146)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그리고, 가이드부(147)는 앞에서 설명한 위치에서 소정길이 만큼 돌출되며, 돌출된 가이드부(147)의 단부는 제1 관통공(146)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가이드부(147)의 절곡된 부분과 제 2 면(143) 사이에 슬라이딩 홈(148)을 발생시킨다. 미설명 부호 147a는 후술될 슬라이딩 플레이트(150)가 슬라이딩 홈(148)을 따라 움직일 때 슬라이딩 홈(14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돌기이다.
커버(110)는 복원 장치(140)의 상부면에 덮여져 복원 장치(140)를 보호하며, 줌 조절 스위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커버(110) 중 선택 버튼(134)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 2 관통공(112)이 길게 형성된다. 제 2 관통공(112)의 길이는 기능 선택부(130)의 회전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접점 변환부(150)는 슬라이딩 홈(148)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51)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151)에 결합되는 홀더(155)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151)는 슬라이딩 홈(148)에 삽입된 후 기능 선택부(130)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홈(148)을 따라 직선으로 움직인다. 슬라이딩 플레이트(151)는 고정 플레이트(141)와 마주보는 제 1면(152), 홀더(155)가 결합되는 제 2 면(153) 및 제 1 면(152)과 제 2 면(153)을 연결시키는 측면을 갖는 사각형상의 얇은 판이다. 슬라이딩 플레이트(151)의 제 1 면(152) 중 제 1 관통공(146) 및 제 1 삽입홀(137)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고정보스(154)가 돌출 형성되며, 고정보스(154)는 제 1 관통공(146)을 지나 제 1 삽입홀(137)에 끼워진다.
홀더(155)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51)의 제 2면(153) 중 후술될 접촉부(165)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스위치부(160)와 마주보는 면에 노브 삽입홈(157)이 형성된다.
도 5는 도 2의 스위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위치부(160)는 접점(164)이 인쇄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줌 값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쇄회로기판(162), 사용자가 선택한 줌 값에 해당하는 접점(164)을 선택하는 접촉부(165), 인쇄회로기판(162) 및 접촉부(165)를 감싸고, 슬라이딩 플레이트(150)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접촉부(165)를 고정시키는 커버(170)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162)으로는 경질의 기판에 접점(164)을 패터닝한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된다. 접점(164)은 슬라이딩 플레이트(151)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패터닝되며 적어도 2 줄 이상 형성된다. 일예로 접점(164)은 저항값을 변화시켜 사용자가 선택한 줌 값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접촉부(165)는 몸체(166) 및 접촉핀(168)을 포함한다. 몸체(166)는 인쇄회로기판(162)과 커버(170) 사이의 빈공간에 설치된다. 몸체(166) 중 홀더(155)와 마주보는 측면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151)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접촉부(165)를 이동시키는 조절 노브(167)가 연장되며, 조절 노브(16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7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조절 노브(167)는 홀더(155)의 삽입홈(157)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15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접촉핀(168)은 인쇄회로기판(162)과 마주보는 몸체(166)의 일면 중 각 접점(164)과 대응되는 부분에 1개씩 형성된다. 접촉핀(167)은 접점(164)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150)를 따라 이동하면서, 접점(164)의 저항값을 가변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복원 장치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선택 버튼(134)을 텔레 또는 와이드 방향으로 회전시켜 줌 값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 버튼(134)과 함께 기능 선택부(130)도 선택 버튼(134)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복원 스프링(120)에는 기능 선택부(13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비틀림의 응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기능 선택부(130)의 회전에 의해 기능 선택부(130)에 고정된 슬라이딩 플레이트(151)도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부(147)의 슬라이딩 홈(148)에 끼워진 슬라이딩 플레이트(151)는 기능 선택부(130)가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151)가 기능 선택부(1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면, 슬라이딩 플레이트(151)에 배치된 홀더(155)에 의해서 접촉핀(168)이 접점(16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접촉핀(168)의 이동에 따라 접점(164)의 저항값이 서서히 변하게 되므로 접점(164)으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줌 값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가 발생된다.
한편, 사용자가 줌 값을 선택하여 선택 버튼(134)을 놓게 되면, 기능 선택부(130)와 슬라이드 몸체(141) 사이에 설치된 복원 스프링(120)의 비틀림 응력이 제거되므로 복원 스프링(120)에 의해 상호 연결된 기능 선택부(130)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150)가 초기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을 완료한 후에는 기능 선택부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복원 스프링에 의해 회전되었던 기능 선택부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기능 선택 장치에 복원 장치를 설치하면 사용자가 초기의 상태에서 선택버튼을 원하는 만큼만 정확히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소정각도로 회전하면서 각종 기능을 선택하고, 제 1 면의 중앙부분에 응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응력 발생홈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기능 선택부;
    상기 응력 발생홈에 삽입되고 상기 기능 선택부에 힘이 가해져 상기 기능 선택부가 회전하면 상기 응력 발생홈에 의해 비틀림의 응력이 발생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비틀림의 응력이 제거되어 상기 기능 선택부를 초기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 스프링; 및
    상기 기능 선택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능 선택부의 제 1 면 쪽에 결합되고, 상기 응력 발생홈과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복원 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스프링은 원형상의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양측단부가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코일의 외측으로 돌출된 테일을 갖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발생홈은 상기 토션 스프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응력 발생홈은 상기 코일이 위치하는 원형의 코일 홈 및 상기 코일 홈 중 상기 테일과 대응되는 부분에서 상기 코일 홈의 외측으로 상기 테일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테일이 위치하는 테일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결합 보스 및 코일 삽입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코일 홈의 중앙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 1 면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을 상기 기능 선택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코일 삽입부는 상기 코일 홈과 대응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 1 면 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상기 코일 홈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 보스와 상기 코일 삽입부의 측면 사이에 상기 코일을 삽입하기 위한 코일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 삽입부의 측면 중 상기 테일 홈과 대응되는 부분은 개구되어 상기 테일을 상기 테일 홈 쪽으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소정의 부품과 결합되어 소정의 부품을 상기 기능 선택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기능 선택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 장치.
KR20-2004-0001783U 2004-01-26 2004-01-26 복원 장치 KR200348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783U KR200348533Y1 (ko) 2004-01-26 2004-01-26 복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783U KR200348533Y1 (ko) 2004-01-26 2004-01-26 복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533Y1 true KR200348533Y1 (ko) 2004-04-28

Family

ID=4942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783U KR200348533Y1 (ko) 2004-01-26 2004-01-26 복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5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3600A (en) Rotative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US5703947A (en) Portable telephone equipment for biasing a switching member to a normally neutral position
US4918264A (en) Actuating mechanism and multiposition rubber or membrane switch device
US5504813A (en) Portable telephone
JP3793290B2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US5068499A (en) Control lever type input device
US20040196403A1 (en) Camera lens unit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4687308A (en) Information setting device for camera
GB2305010A (en) Switch apparatus
US7465890B2 (en) Rotational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US6271488B1 (en) Switch mechanism
US5089677A (en) Switching dial and finger rest
KR200348533Y1 (ko) 복원 장치
US4417798A (en) Data transmitting electrical contact means switching device in camera
JP4823803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装置
JP3401455B2 (ja) ズームレンズカメラの焦点距離検出機構
JP3880756B2 (ja) スイッチ装置
US6100480A (en) Rotatively-operated electric component and coordinate input device using the rotatively-operated electric component
US5523813A (en) Switching mechanism for a photographic camera having a panoramic photographing function
KR100220332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KR200348079Y1 (ko) 줌 조절 스위치
JPS6327398Y2 (ko)
JPH0736338Y2 (ja) カメラのレンズ鏡筒
JP3775948B2 (ja) 電気部品
JPH07295047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