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750Y1 - 무우절단기의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무우절단기의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750Y1
KR200347750Y1 KR20-2004-0001830U KR20040001830U KR200347750Y1 KR 200347750 Y1 KR200347750 Y1 KR 200347750Y1 KR 20040001830 U KR20040001830 U KR 20040001830U KR 200347750 Y1 KR200347750 Y1 KR 200347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sh
plate
thickness
blade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환
Original Assignee
장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환 filed Critical 장일환
Priority to KR20-2004-0001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7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7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우절단기의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우를 깍두기로 썰어주기 위하여 횡방향으로 절단할 때, 절단되는 무우의 두께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무우절단기의 1차절단부(22)를 구성하는 칼날(3)이 고정된 회전칼날판(2)이 구성되며, 상기 회전칼날판(2)의 칼날(3)앞쪽에 두께조절판(1)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4)와 브라켓홈(5)과 암나사부(6)를 형성하고, 여기에 브라켓(7)과 받침편(8) 및 절곡부(9)가 형성된 두께조절판(1)을 핀스프링(10) 및 축핀(11)과 함께 설치하며, 두께조절판(1)은 핀스프링(10)의 탄성작용에 의해서 축핀(11)을 중심으로 절곡부(9)쪽이 상승되게 설치하고 또, 회전칼날판(2)의 공간부(4) 앞쪽에 형성된 암나사부(6)에는 볼트(12)를 체결하여 볼트(12)를 전,후진시켜서 칼날(3)과 두께조절판(1)사이에 이루는 틈새(T)를 좁게, 넓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부로부터 무우를 투입하여 횡방향으로 절단하는 회전칼날판의 일측에 두께조절판을 설치하여 축핀을 중심으로 두께조절판을 이동시켜 칼날과 두께조절판이 이루는 틈새를 넓게 또는 좁게 조절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간편하고 칼날을 교환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또 절단되는 무우의 두께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절단할 수 있으므로 좀 더 먹기에 알맞은 다양한 크기의 깍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우절단기의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Radish cutting thickness adjuster of radish cutting machine}
본 고안은 무우절단기의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우를 깍두기로 썰어주기 위하여 횡방향으로 절단할 때, 절단되는 무우의두께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학교, 산업현장 등 단체급식과, 반찬을 대량으로 만들어 판매하는 반찬전문점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원만한 공급을 위하여 한 번에 많은량의 반찬을 만들고 있는데, 이러한 반찬들 중에는 무우를 먹기에 알맞은 크기로 모나게 썰어서 양염을 한 깍두기가 있다.
상기와 같은 깍두기의 주재료인 무우는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지만, 딱딱하기 때문에 식칼을 이용하여 손으로 썰기에는 쉽지 않고, 특히 한 번에 많은량의 깍두기를 만들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체력소모와 노동력이 요구되는 등 불편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깍두기를 만들 때 불편점을 해결하고 많은량의 깍두기를 쉽게 만들기 위한 깍두기 무우 절단기가 고안된 바 있으나, 대부분은 완전한 자동화를 이룩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호도가 낮아 실용화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반자동화 깍두기 무우 절단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자동화된 깍두기용 무우 절단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이렇게 자동화 된 깍두기 무우 절단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무우를 소정의 두께로 절단하여 그 아래로 낙하시키면 콘베어밸트에 의해서 회전롤러칼로 이동하여 깍두기가 썰어지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깍두기 무우 절단장치는 무우절단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무우절단 두께를 달리하는 여러개의 칼날을 구비해두고 필요한 칼날을 선택하여 교체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칼날을 선택하여 교체하는데에 따른 불편이 있으며, 또 칼날이 대,중,소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되는 무우의 두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없었으므로,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크기의 깍두기를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는 칼날을 별도의 장소에 보관해야하는데 칼날이 녹슬지 않고, 위생적으로 보관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무우를 깍두기로 썰어주기 위하여 횡방향으로 절단할 때 칼날을 교체하지 않고 절단되는 무우의 두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시 칼날을 분리/교환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하며, 또 절단되는 무우의 두께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무우를 소정의 두께로 절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좀 더 먹기에 알맞은 다양한 크기의 깍두기를 제공하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장착된 무우절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무우를 얇게 절단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무우를 두껍게 절단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두께조절판 2: 회전칼날판
3: 칼날 4: 공간부
5: 브라켓홈 6: 암나사부
7: 브라켓 8: 받침편
9: 절곡부 10: 핀스프링
11: 축핀 12: 볼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우절단기의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는 칼날이 고정된 회전칼날판에 공간부와 브라켓홈을 마련하고 브라켓이 형성된 두께조절판을 설치하여 볼트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두께조절판과 칼날사이의 틈새를 좁게, 넓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장착된 무우절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무우를 얇게 절단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무우를 두껍게 절단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무우절단기(20)는 상부에 무우를 세워진 상태로 투입하기 위한 무우투입부(22)와, 그 아래에 무우를 횡방향으로 절단하는 1차절단부(22)로 구성되며,
상기 1차절단부(22)는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서 회전하고 칼날(3)이 고정된 회전칼날판(2)이 구성되며,
상기 회전칼날판(2)의 칼날(3)앞쪽에 두께조절판(1)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4)와 브라켓홈(5)과 암나사부(6)를 형성하고, 여기에 브라켓(7)과 받침편(8) 및 절곡부(9)가 형성된 두께조절판(1)을 핀스프링(10) 및 축핀(11)과 함께 설치하며,
상기 두께조절판(1)은 핀스프링(10)의 탄성작용에 의해서 축핀(11)을 중심으로 절곡부(9)쪽이 상승되게 설치하며,
또, 회전칼날판(2)의 공간부(4) 앞쪽에 형성된 암나사부(6)에는 볼트(12)를 체결하여 볼트(12)를 전,후진시켜서 칼날(3)과 두께조절판(1)사이에 이루는 틈새(T)를 좁게, 넓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었다.
도면 중 미 설명된 부호 50은 회전칼날판의 커버, 51은 공구삽입구멍을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된 본 고안에 따른 무우절단기의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설치되어 있는 무우절단기(20)를 작동하기 전 단계에서 두께조절판(1)을 조작하여 회전칼날판(2)에 고정된 칼날(3)과 두께조절판(1)사이의 틈새(T)를 조절하는 것이다.
우선, 회전칼날판의 커버(50)에 뚫어진 공구삽입구멍(51)을 통하여 공구를 끼워서 볼트(12)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주면 회전칼날판(2)에 고정된 칼날(3)과 두께조절판(1)의 틈새(T)를 좁게 또는 넓게 조절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볼트(12)를 돌려 전진시켜주면 볼트(12)의 선단과 대접된 받침편(8)에 의해서 두께조절판(1)이 축핀(11)을 중심으로 틈새쪽이 상향으로 이동하여 틈새(T)가 좁아지게 되며, 이 때 핀스프링(10)은 탄성력이 축척된다.(도 2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무우절단기(20)를 작동시키면 회전칼날판(2),두께조절판(1)이 함께 회전하면서 무우가 칼날(3)에 의해서 절단되고 틈새(T)로 배출되는데 무우의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그리고, 볼트(12)를 상기 반대방향으로 돌려주면 받침편(8)에 대접된 볼트(12)가 후진하고, 이렇게 볼트가 후진한 만큼의 두께조절판(1)이 축핀(11)을 중심으로 틈새(T)쪽이 하강하여 틈새가 넓어지게 된다.(도 3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무우절단기(20)를 작동하여 무우를 절단하면 절단된 무우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두께조절판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두께조절판(1)의 절곡부(9)는 틈새(T)가 넓어짐으로 인하여 두께조절판(1)의 후미가 들려지더라도 회전칼날판(2)의 상면 높이보다 돌출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고, 핀스프링(10)은 상기와 같이볼트가 후진한 만큼 두께조절판(1)이 복귀하는데 탄성력과 두께조절판(1)의 후미가 불필요하게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부로부터 무우를 투입하여 횡방향으로 절단하는 회전칼날판의 일측에 두께조절판을 설치하여 축핀을 중심으로 두께조절판을 이동시켜 칼날과 두께조절판이 이루는 틈새를 넓게 또는 좁게 조절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간편하고 칼날을 교환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또 절단되는 무우의 두께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절단할 수 있으므로 좀 더 먹기에 알맞은 다양한 크기의 깍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무우를 세워진 상태로 투입하기 위한 무우투입부(21)와, 그 아래에 무우를 횡방향으로 절단하는 1차절단부(22)로 구성된 무우절단기(2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1차절단부(22)를 구성하는 회전칼날판(2)에 고정된 칼날(3)앞쪽에 두께조절판(1)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4)와 브라켓홈(5)을 형성하여 브라켓(7)과 받침편(8) 및 절곡부(9)가 형성된 두께조절판(1), 그리고 두께조절판(1)에 복귀력을 제공하기 위한 핀스프링(10)을 개입시켜 축핀(11)과 함께 설치하며,
    상기 회전칼날판(2)의 공간부(4)의 앞쪽에 받침편(8)과 같은 선상에 암나사부(6)를 형성하고 볼트(12)의 선단이 두께조절판(1)에 형성된 받침편(8)에 대접되게 체결하여 볼트를 전진,후진시켜서 회전칼날판(2)에 고정된 칼날(3)과 두께조절판(1)의 앞쪽사이에 이루는 틈새(T)를 좁게, 넓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우절단기의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
KR20-2004-0001830U 2004-01-27 2004-01-27 무우절단기의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 KR200347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830U KR200347750Y1 (ko) 2004-01-27 2004-01-27 무우절단기의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830U KR200347750Y1 (ko) 2004-01-27 2004-01-27 무우절단기의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750Y1 true KR200347750Y1 (ko) 2004-04-17

Family

ID=4934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830U KR200347750Y1 (ko) 2004-01-27 2004-01-27 무우절단기의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7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010B1 (ko) 슬라이스 야채절단기
EP2628424A1 (de) Elektromotorisch betriebene Küchenmaschine
HK1086788A1 (en) Kitchen slicer
CN107073732A (zh) 用于切割食物的装置
KR20040011419A (ko) 재료를 다양하게 슬라이싱하는 주방기구
CN108274572A (zh) 一种高效型全自动木材旋切设备
CN103826816A (zh) 食品切割装置
KR200347750Y1 (ko) 무우절단기의 무우절단두께조절장치
CN105291153A (zh) 全自动切菜机
CN205614741U (zh) 能更换切削刀组的中心旋转切削的切丝切片装置
KR20160059701A (ko)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KR20200045127A (ko) 깍두기용 무 가공장치
WO2018017494A1 (en) Spiral cutting apparatus
CN202341832U (zh) 家用切菜机
CN106584558B (zh) 一种刨切方式可切换的刨切机构及刨切机
RU2250161C2 (ru) Кухон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нарезания продуктов (варианты)
KR101004190B1 (ko) 시루떡 절단기
CN101247928A (zh) 用于食品切片机的轨距板调节机构
KR20160040769A (ko) 간격조절이 용이한 야채 자동절단장치
CN106217418A (zh) 均匀切片刀
KR200347740Y1 (ko)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
RU2002111449A (ru) Кухон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нарезания продуктов
KR200223833Y1 (ko) 절단각도가가변되는가래떡절단장치.
KR0125176Y1 (ko) 농산물 세절기
KR200368687Y1 (ko) 빵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