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968Y1 - 에어 보트 - Google Patents

에어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968Y1
KR200346968Y1 KR20-2003-0038821U KR20030038821U KR200346968Y1 KR 200346968 Y1 KR200346968 Y1 KR 200346968Y1 KR 20030038821 U KR20030038821 U KR 20030038821U KR 200346968 Y1 KR200346968 Y1 KR 200346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tube
water
ma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균호
Original Assignee
이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균호 filed Critical 이균호
Priority to KR20-2003-0038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9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70Accessori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type of board, e.g. paddings or buoyanc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보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에어매트의 양측에만 에어튜브가 설치되어 에어매트가 체중에 의해 침강되어 저중심의 상태에서 수상레져 활동이 가능하여 보다 안전하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에어보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되게 설치된 원통형의 에어튜브와, 상기 에어튜브의 전방에 설치되어 통기되는 상하측 두개의 공기횡간과, 상기 에어튜브의 하부와 하측의 공기횡간과 연결되어 통기되게 설치된 에어매트로 구성된 에어보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에어 보트{Air boat}
본 고안은 에어보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에어매트의 양측에만 에어튜브가 설치되어 에어매트가 체중에 의해 침강되어 저중심의 상태에서 수상레져 활동이 가능하여 보다 안전하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에어보트에 관한 것이다.
수상레져용품에는 에어보트와 에어매트 및 도넛형의 튜브 등 다양하고, 그이용이 많아지면서 용도가 세분화 되어 에어보트도 낚시용과 레프팅용 등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다.
통상적인 에어보트는 에어매트의 둘레에 에어튜브가 설치된 구조를 하고 있고, 상기의 에어매트 위에 앉아 노를 젖거나 로프로 끄는 등으로 수상 레져를 즐기고 있다. 이와 같은 에어보트는 에어튜브가 모든 방향에서 에어튜브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매트는 언제나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사용자가 탑승한 경우 무게 중심이 에어튜브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작은 파도나 신체의 흔들림에 의해서도 에어보트가 전복되는 경우가 있고, 에어보트에 탑승한 사람은 물과 거의 접촉이 없게 되어 특히 어린이인 경우 물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시킬 수가 없게 되어 에어보트없이는 물에 들어가지 않으려는 두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탑승자에 의해 무게중심이 하향되도록 하여 수상레져시에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에어보트에 탑승하고서도 언제나 물과 접촉된 상태로 다양한 레져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어린이 등의 물에 대한 두려움을 제거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보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을 다양하게 활용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튜브 2 : 공기횡간
3 : 에어매트 4 : 삽입구
5 : 로프홀더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본 고안에 의한 에어보트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되게 설치된 원통형의 에어튜브(1)와, 상기 에어튜브(1)의 전방에 설치되어 통기되는 상하측 두개의 공기횡간(2)과, 상기 에어튜브(1)의 하부와 하측의 공기횡간(2)과 연결되어 통기되게 설치된 에어매트(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매트(3)의 하측 공기횡간(2)과 연결된 전방부 양측에 삽입구(4)가 형성되어 실시될 수도 있고, 에어튜브(1)의 전후 양끝에는 로프홀더(5)가 부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도 3과 도 4와 같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에어매트(3)는 양측부에서만 에어튜브(1)에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도 3과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눕거나 앉을 경우 에어매트(3)는 수중으로 내려가게 되어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하향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는 에어매트(3)의 모든 부분이 에어튜브(1)로 지지되어 있어 사용자가 앉더라도 에어매트(3)는 수평을 유지하여 무게 중심이에 변화가 없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는 낮은 파도나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쉽게 에어보트가 전복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무게중심이 아래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큰 파도나 사용자의 심한 움직임이 있더라도 쉽게 전복되지 않는 안정성이 확보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전후방이 개방되어 수상레져활동시 물이 항상 유입되기 때문에, 에어보트를 타고 있지만 항상 물과 접촉하게 되어 물과 친숙하게 되고,특히 어린이의 경우 물을 두려워하는 것이 없어지게 되어 수영이나 각종 수상활동에 자신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공기횡간(2)은 에어매트(3)와 함께 양측의 에어튜브(1)를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이나 베개로 활용되어, 수상레져 활동 중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1과 도 4에서와 같이 에어매트(3)의 전방 양측에 삽입구(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누운 상태에서 팔을 양측의 삽입구(4)로 넣어 물을 저을 수가 있게 되고, 아니면 엎드린 상태에서 위와 같이 할 수가 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양쪽을 다리를 삽입구(4)로 넣어 물을 저을 수가 있게 된다. 이 또한 에어보트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물과 친숙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본 고안의 양측 에어튜브(1)의 전후 양단에 로프홀더(5)를 부착하는 경우는 이에 로프를 끼워 앞뒤에서 끌어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수상레져용품으로 그 기능을 다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무게중심이 하향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상레져시에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고, 에어보트에 탑승하고서도 언제나 물과 접촉된 상태로 레져활동을 할 수 있어 특히 어린이 등의 물에 대한 두려움을 제거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되게 설치된 원통형의 에어튜브(1)와, 상기 에어튜브(1)의 전방에 설치되어 통기되는 상하측 두개의 공기횡간(2)과, 상기 에어튜브(1)의 하부와 하측의 공기횡간(2)과 연결되어 통기되게 설치된 에어매트(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에어매트(3)의 하측 공기횡간(2)과 연결된 전방부 양측에 삽입구(4)가 형성된 에어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에어튜브(1)의 전후 양끝에는 로프홀더(5)가 부착된 에어보트.
KR20-2003-0038821U 2003-12-12 2003-12-12 에어 보트 KR200346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821U KR200346968Y1 (ko) 2003-12-12 2003-12-12 에어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821U KR200346968Y1 (ko) 2003-12-12 2003-12-12 에어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968Y1 true KR200346968Y1 (ko) 2004-04-06

Family

ID=4942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821U KR200346968Y1 (ko) 2003-12-12 2003-12-12 에어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9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232A (ko) * 2021-12-13 2023-06-20 표형근 해양동물 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232A (ko) * 2021-12-13 2023-06-20 표형근 해양동물 보트
KR102621188B1 (ko) * 2021-12-13 2024-01-05 주식회사 한국과학잠수연구소 해양동물 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465790A (en) Float device
US5685753A (en) Floating device
US2980927A (en) Water chair
US6142844A (en) Raft for a person in a face down position
US5860171A (en) Suspended detachable swimming pool accessories
KR200346968Y1 (ko) 에어 보트
TWM583321U (zh) 迷你搖椅
US5993276A (en) Floating child restraint assembly
JP2017046813A (ja) 乳幼児載置用の組立構造体およびそのトイバー
US9834286B2 (en) Buoyant pool float
US7197996B2 (en) Seat board for board kiting
JP2006020952A (ja) 健康椅子
JP2008501395A (ja) 乳幼児支持体
KR200399680Y1 (ko) 체중 고정구조를 갖는 반신욕 의자
CN210680473U (zh) 儿童安全汽车座椅
CN217447219U (zh) 一种适用于幼儿园的椅子
CN220308760U (zh) 一种斜背沙发
CN214930463U (zh) 一种多功能三管水上吊床浮排
JP2669524B2 (ja) 水上遊具
KR200377460Y1 (ko) 의자
KR200315175Y1 (ko) 등받침대
JPS6314696Y2 (ko)
JP4629919B2 (ja) 携帯用便器の肘掛け取付け構造
JP2006296873A (ja) ベビーバス
JPS6343887A (ja) マツト状安定浮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