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830Y1 -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830Y1
KR200346830Y1 KR20-2004-0000573U KR20040000573U KR200346830Y1 KR 200346830 Y1 KR200346830 Y1 KR 200346830Y1 KR 20040000573 U KR20040000573 U KR 20040000573U KR 200346830 Y1 KR200346830 Y1 KR 200346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copter
water
rod
fire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덕웅
유지승
Original Assignee
선진항공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항공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진항공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0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8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8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 A62C3/024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by spraying extinguishants from the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05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using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헬리콥터에 장착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통형의 몸체를 가지되 몸체 일측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1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입관(12)을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관(14)을 통해 강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16)가 마련된 물탱크(10)와;
상기 배출펌프(16)로부터 연장된 배출관(14)과 호스(18)에 의해 연결는 것으로, 봉형이되 몸체 중앙에 회동축(22)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22)이 헬리콥터의 측면에 일측단이 고정된 복수개의 지지대(24a, 24b)와 결합되는 한편, 몸체 후방에는 작동축(22)이 돌출 형성되되 작동축(22)에는 일측 끝단이 헬리콥터의 측면에 고정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작동봉(20)의 타측 끝단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분사봉(20);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산악지대 혹은 주택 밀집지역 및 고층건물에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화재진압 작업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출동하여 진압할 수 있게 되는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Water cannon using helicopter}
본 고안은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물탱크가 구비된 헬리콥터에 장착하여 주택밀집지역 및 고층건물의 화재진압이나 혹은 산악지역등의 송전탑 청소에 이용하는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고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고가사다리를 장착한 소방차가 출동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재는 일단 발생하고 나면 발생 초기에 진압하여야 만이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으로서, 화재가 발생하면 그 장소까지 최단시간에 신속하게 이동하여 진압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시에서의 화재는 통상 건물이 밀집한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는 바, 화재가 발생한 건물까지의 진입로에는 차량 혹은 가건물등 여러 장애물들이 있어 대형의 소방차가 화재 발생 장소까지 신속하게 접근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한 대형 차량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장소(산악지역등)에서 화재가 발생할 때에도 소방차량이 신속히 출동할 없어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지 못하여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가 커지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건물 고층에서 화재가 발생할 때에도 고가사다리 차가 구비된 소방차 만으로는 화재를 진압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최악의 경우 초고층 까지는 사다리 차가 닿지 않는 경우도 있어 화재 발생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 신속하게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헬리콥터에 설치하여서 차량등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장소라도 신속하게 접근하여 화재진압 및 세척작업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물 분사장치가 헬리콥터에 장착된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 예시도,
도 2 는 도 1 을 정면으로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물 분사장치의 작동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물탱크 12 : 유입관
16 : 배출펌프 18 : 호스
20 : 분사봉 22 : 회동축
24a,24b : 지지대 28 : 노즐
30 : 작동봉 32 : 작동축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물 분사장치가 헬리콥터에 장착된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 예시도 이고, 도 2 는 도 1 을 정면으로 나타낸 정면 예시도 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물 분사장치의 작동상태 예시도 이다.
먼저 고안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본 고안에 의한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는 헬리콥터에 장착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통형의 몸체를 가지되 몸체 일측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1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입관(12)을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관(14)을 통해 강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16)가 마련된 물탱크(10)와;
상기 배출펌프(16)로부터 연장된 배출관(14)과 호스(18)에 의해 연결는 것으로, 봉형이되 몸체 중앙에 회동축(22)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22)이 헬리콥터의 측면에 일측단이 고정된 복수개의 지지대(24a, 24b)와 결합되는 한편, 몸체 후방에는 작동축(22)이 돌출 형성되되 작동축(22)에는 일측 끝단이 헬리콥터의 측면에 고정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작동봉(20)의 타측 끝단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분사봉(20);으로 구성되어,
상기 물 분사봉(20)이 상기 작동봉(20)의 상하 작동에 의해 회동축(22)을 중심으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 적용된 헬리콥터는 미국 실코스카이(sikorsky)사에서 제작된 헬리콥터(모델명 : S-64F 'Air Crane Helicopter')를 예로 하였다. 이 헬리콥터는 최대 11,300kg의 화물을 들어 올릴 수 있는 출력을 가진 기종으로서 공사현장등에서 화물을 운송하는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기종인 것이다.
상기 헬리콥터는 긴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이 몸체 중앙부에 물탱크(10)를 통상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10)는 본 고안에서는 몸체의 형상이 직육면체의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헬리콥터의 기종에 따라 원통형등 다양한 형태의 것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그 크기는 물탱크(10)를 헬리콥터에 고정하더라도 바퀴 등에 걸리거나 간섭되지 않으며, 물을 가득넣더라도 헬리콥터의 이륙에 지장이 없을 정도의 적당한 크기로 된 것을 사용한다.
물탱크(10)의 몸체 상단부에는 저수지나 소방시설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유입관(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유입관(12)으로는 별도로 설치된 모터의 작동에 의해 물이 빨려들어와 물탱크(10) 내부에 충만 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물탱크(10)의 하단부에는 탱크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배출펌프(16)가 형성되는 바, 이 배출펌프(16)는 배출관(14)이 형성되어 이 관을 통해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물탱크(10)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된 브라켓(26a)에 볼트등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배출펌프(16)에 형성된 배출관(14)에는 분사봉(20)과 일측단이 연결된 호스(18)가 연결되게 되는데, 상기 호스(18)은 자유롭게 휘어짐이 가능한 재질로서된 것을 사용한다.
분사봉(20)은 내부가 빈 봉형으로서 끝단에 노즐(28)이 형성되어서 헬리콥터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노즐(28)을 통해 배출펌프(16)로부터 공급된 물을 목표물에 고압으로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사봉(20)이 헬리콥터 몸체에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살펴보면, 분사봉(20) 몸체 중앙부에 한쌍의 회동축(22)이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이 회동축(22)에 헬리콥터 조종석측 측면에 형성된 브라켓(26b,26c)에 일측단이 고정된 복수개의 지지대(24a, 24b) 타측이 끼워지는 것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분사봉(20)이 회동축(22)을 축으로 하여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24a,24b)는 분사봉(20)을 견고하게 잡아주기 위해 최소한 두개 이상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으로서 회동축(22)을 축으로 하여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채 설치하여 주게된다.
한편, 분사봉(20)의 후방측에는 한쌍의 작동축(32)이 대향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작동축(32)에는 헬리콥터의 몸체 측면에 일측단이 고정된작동봉(30)의 타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 작동봉(30)은 유압에 의해 길이조절이 자유롭게 제어될 수 있는 구성,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를 채용하여 조종석에서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종석에서 전자적인 신호를 보내어 펌프를 작동시켜 유입관(12)을 작동시키면 유입관(12)을 통해 물이 물탱크(10) 내부로 유입되어 충만 된다. 이후 배출펌프(16)를 구동시키면 물탱크(10) 내부의 물이 배출관(14)을 지나 호스(18)를 통해 분사봉(20)으로 유입된 후 노즐(28)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작동봉(30)에 전자신호를 보내면 작동봉(30)이 상하로 움직이게 되게 되며, 이에 따라 회동축(22)을 중심으로 분사봉(20)이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하 작동에 의해 어느 장소에서라도 목표물을 정확히 조준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따라 차량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산악지대 혹은 주택밀집지역 및 고층건물에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화재진압 작업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출동하여 진압할 수 있게 되는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헬리콥터에 장착되어 물을 분사하는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헬리콥터에 장착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통형의 몸체를 가지되 몸체 일측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1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입관(12)을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관(14)을 통해 강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16)가 마련된 물탱크(10)와;
    상기 배출펌프(16)로부터 연장된 배출관(14)과 호스(18)에 의해 연결는 것으로, 봉형이되 몸체 중앙에 회동축(22)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22)이 헬리콥터의 측면에 일측단이 고정된 복수개의 지지대(24a, 24b)와 결합되는 한편, 몸체 후방에는 작동축(22)이 돌출 형성되되 작동축(22)에는 일측 끝단이 헬리콥터의 측면에 고정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작동봉(20)의 타측 끝단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분사봉(20);으로 구성되어,
    상기 분사봉(20)이 상기 작동봉(20)의 상하 작동에 의해 회동축(22)을 중심으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
KR20-2004-0000573U 2004-01-09 2004-01-09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 KR200346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573U KR200346830Y1 (ko) 2004-01-09 2004-01-09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573U KR200346830Y1 (ko) 2004-01-09 2004-01-09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482A Division KR20050073645A (ko) 2004-01-09 2004-01-09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830Y1 true KR200346830Y1 (ko) 2004-04-08

Family

ID=4934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573U KR200346830Y1 (ko) 2004-01-09 2004-01-09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8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1161B1 (en) Fire engine having extension ladder and lateral stabilizers
US7389826B2 (en) Firefighting agent delivery system
US6719065B2 (en) Fire fighting apparatus with spray bar
JP6527028B2 (ja) ブームスプレーヤ
US3586236A (en) Water cannon vehicle
KR200491486Y1 (ko) 수관 결합구조를 갖는 인명구조용 소방차 작업대
JP4121522B2 (ja) ヘリコプター
US7055613B1 (en) Self leveling boom system with rotatable working assembly
KR102049528B1 (ko) 수관 결합구조를 갖는 인명구조용 소방차 작업대
KR20060116461A (ko) 다목적 소방차
KR102132868B1 (ko) 360도 회전이 가능한 수관 결합형 소방차 작업대
AU2006319757B2 (en) Water lance assembly
KR200346830Y1 (ko)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
KR20050073645A (ko) 헬리콥터용 물 분사장치
JP6236273B2 (ja) 高所作業機能付車両
KR100516474B1 (ko) 소화용 물안개분사장치 및 이를 탑재한 소방차량
CN113616124B (zh) 一种高空清洁机器人及其清洁高空墙面的方法
US3820606A (en) High altitude break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
KR20190060427A (ko) 소방차에 적재 가능한 기동형 서브 소방장치
JP2001087408A (ja) 消防自動車
JPH08260512A (ja) 噴霧装置付建設作業機
CN108031042A (zh) 消防车
KR20220005762A (ko) 절첩식 자동 스위칭 방제장치
KR102512935B1 (ko) 초소형 전기 소방펌프차
KR200207060Y1 (ko) 차량용 방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