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755Y1 -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755Y1
KR200346755Y1 KR20-2004-0000735U KR20040000735U KR200346755Y1 KR 200346755 Y1 KR200346755 Y1 KR 200346755Y1 KR 20040000735 U KR20040000735 U KR 20040000735U KR 200346755 Y1 KR200346755 Y1 KR 200346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le
bracket
door fram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박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철 filed Critical 박영철
Priority to KR20-2004-0000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고정브라켓을 상부문틀과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상부문틀에 결합하고 상기 힌지고정브라켓에 상부힌지를 결합시킴으로써 상부힌지가 확실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그 제작이 용이한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부힌지 고정장치는, 단면으로 보아 상하부 및 좌우측부에 벽을 갖는 세장형의 부재로서, 길이방향으로의 일측에서 하부벽에 사각형의 힌지구멍이 관통 형성된 상부문틀과; 각각 폭방향으로의 양단부 사이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그 하부에 평면의 요부가 형성되도록 절곡되고, 각각의 상기 요부가 상기 힌지구멍에 대응되도록 상기 힌지구멍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 각각에서 각각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각각의 양단부의 저면이 상기 힌지구멍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부문틀의 하부벽 상면에 맞닿도록 제1결합수단에 의해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힌지구멍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부문틀의 하부벽에 결합된 한 쌍의 힌지고정브라켓과; 힌지축이 그 하단부가 힌지브라켓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구멍에 수용되어 상기 힌지브라켓 양단부 각각의 상면이 상기 힌지고정브라켓 각각의 양단부 사이의 요부의 저면에 맞닿도록 제2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힌지브라켓 양단부 각각이 상기 힌지고정브라켓 각각의 양단부 사이에 결합된 상부힌지와;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에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고 상면이 상기 힌지브라켓의 저면에 맞닿도록 제3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힌지에 결합된 커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DEVICE FOR FASTENING UPPER HINGE OF DOOR}
본 고안은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고정브라켓을 상부문틀과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상부문틀에 결합하고 상기 힌지고정브라켓에 상부힌지를 결합시킴으로써 상부힌지가 확실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그 제작이 용이한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힌지는 도어가 문틀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동축선상에서 도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다. 상부힌지는 도어의 상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문틀의 하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힌지는 상부문틀에 고정되어야 한다.
도 5는 상기와 같이 상부힌지를 상부문틀에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힌지(130)는 상부문틀(110)의 하부벽(111)에 형성된 힌지구멍(113)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에 상기 상부문틀(110)과 일체로 형성된 힌지고정브라켓(115)에 길이방향으로의 양단부가 나사못(151)으로 결합된다. 도면부호 140은 상기 상부힌지(130)가 설치된 부분을 덮기 위한 커버판으로서 나사못(153)으로 양단부가 상기 상부힌지(130)의 양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도어의 힌지구멍(도면에 미도시)에 삽입되는 힌지축(131)은 상기 커버판(140)에 형성된 관통구멍(141)을 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는 상부힌지(130)가 결합되는 힌지고정브라켓(115)이 길이방향으로의 일측만이 상기 상부문틀(110)에 연결되어 도어의 개폐시 상기 힌지고정브라켓(115)이 흔들림으로써 상부힌지(130)가 흔들리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는 힌지고정브라켓(115)이 상기 힌지구멍(113)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에 상기 상부문틀(110)의 하부벽(111)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힌지구멍(113)의 형성을 위하여 블랭킹되는 부분이 길이방향으로의 양측단이 절단되지 않도록 블랭킹한 후에 이를 절곡하여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부문틀(110)의 제작이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한쌍의 힌지고정브라켓을 힌지구멍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 각각에서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힌지구멍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부문틀의 하부벽에 결합됨으로써 도어의 개폐시에도 상기 힌지고정브라켓이 흔들리지 않아 상부힌지가 확실하게 고정되는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힌지고정브라켓이 별도로 가공되어 상기 상부문틀의 하부벽에 결합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한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된 상부힌지에 도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상부문틀 13 힌지구멍
20 힌지고정브라켓 23 요부
30 힌지 31 힌지축
40 커버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는, 단면으로 보아 상하부 및 좌우측부에 벽을 갖는 세장형의 부재로서, 길이방향으로의 일측에서 하부벽에 사각형의 힌지구멍이 관통 형성된 상부문틀과; 각각 폭방향으로의 양단부 사이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그 하부에 평면의 요부가 형성되도록 절곡되고, 각각의 상기 요부가 상기 힌지구멍에 대응되도록 상기 힌지구멍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 각각에서 각각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각각의 양단부의 저면이 상기 힌지구멍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부문틀의 하부벽 상면에 맞닿도록 제1결합수단에 의해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힌지구멍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부문틀의 하부벽에 결합된 한 쌍의 힌지고정브라켓과; 힌지축이 그 하단부가 힌지브라켓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구멍에 수용되어 상기 힌지브라켓 양단부 각각의 상면이 상기 힌지고정브라켓 각각의 양단부 사이의 요부의 저면에 맞닿도록 제2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힌지브라켓 양단부 각각이 상기 힌지고정브라켓 각각의 양단부 사이에 결합된 상부힌지와;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에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고 상면이 상기 힌지브라켓의 저면에 맞닿도록 제3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힌지에 결합된 커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된 상부힌지에 도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어(5)는 문틀(10,10',10'')에 수용되어 상하부 각각에 설치된 상부힌지(30)와 하부힌지(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장착된다. 상부힌지(30)는 상부문틀(10)에 결합된다.
도 2는 도 1에서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들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는 상부문틀(10)과 힌지고정브라켓(20)과 상부힌지(30) 및 커버판(4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문틀(10)은 도어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부힌지(30)가 설치되기 위한 세장형의 부재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문틀(10)은 단면으로 보아 상하부 및 좌우측부에 벽, 즉 하부벽(11a), 상부벽(11b), 좌우측벽(11c,11d)을 갖도록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문틀(10)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측에는 하부벽(11a)에 상기 상부힌지(30)가 삽입 설치되기 위한 힌지구멍(13)이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구멍(13)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 각각에서 상기 힌지구멍(13)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힌지고정브라켓(20)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수단으로서의 나사못(51)이 삽입되기 위한 나사삽입구멍(14a,14b)이 상기 하부벽(11a)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힌지고정브라켓(20)은 상기 상부힌지(30)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힌지구멍(13)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 각각에서 상기 상부문틀(10)의 하부벽(11a)에 결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고정브라켓(20)은 폭방향으로의 양단부(21a,21b) 사이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그 하부에 평면의 요부(23)가 형성되도록 절곡된다. 상기와 같이 절곡 형성된 힌지고정브라켓(20)은 각각의 상기 요부(23)가 상기 힌지구멍(13)에 대응되도록 상기 힌지구멍(13)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 각각에서 각각 상기 힌지구멍(13)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각각의 양단부(21a,21b)의 저면이 상기 힌지구멍(13)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에서상기 상부문틀(10)의 하부벽(11a) 상면에 맞닿도록 제1결합수단에 의해 각각의 양단부(21a,21b)가 상기 힌지구멍(13)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부문틀(10)의 하부벽(11a)에 결합된다. 도면에는 상기 제1결합수단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벽(11)에 형성된 나사삽입구멍(14)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고정브라켓(20)의 폭방향으로의 양단부(21a,21b) 각각에 형성된 나사체결구멍(22a,22b)에 체결되는 나사못(51)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고정브라켓(20) 각각에는 상기 상부힌지(30)의 양단부 각각이 제2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힌지(30)의 양단부 각각은 상기 힌지고정브라켓(20) 각각의 요부(23)에 수용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제2결합수단으로서의 나사못(53)을 상기 요부(23)에 형성된 나사체결구멍(24)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힌지고정브라켓(20) 각각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힌지(30)는 도어의 상단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힌지고정브라켓(2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문틀(20)의 하부에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힌지(30)는 상기 도어의 상단면에 형성된 힌지축 구멍(도면에 미도시)에 삽입되기 위한 힌지축(31)이 힌지브라켓(38)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힌지브라켓(38)에 설치된다. 상기 힌지축(31)은 상기 힌지브라켓(38)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힌지축하우징(32)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수용 설치된다. 이는 도어의 착탈시 상기 힌지축(31)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힌지축(31)을 상기 도어의 상단면에 형성된 힌지축 구멍으로 삽입시키거나 또는 상기 힌지축 구멍으로부터 빼내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힌지축(31)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은 레버힌지(35)를축으로 회동하는 레버막대(34)의 일단에 상기 힌지축(31)을 연결시키고 상기 레버막대(34)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힌지브라켓(38)에 설치된 이동나사(33)를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부힌지(30)는 상기 힌지구멍(13)에 수용되어 상기 힌지브라켓(38)의 양단부 각각의 상면이 상기 힌지고정브라켓(20) 각각의 양단부 사이의 요부(24)의 저면에 맞닿도록 제2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힌지브라켓(38)의 양단부 각각이 상기 힌지고정브라켓(20) 각각의 양단부 사이에 결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힌지(30)는 상기 힌지브라켓(38)의 양단부 각각에 형성된 나사삽입구멍(36a,36b)에 제2결합수단으로서의 나사못(53)을 삽입시켜 상기 힌지고정브라켓(20)의 요부(23)에 형성된 나사체결구멍(24)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힌지고정브라켓(20)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판(40)은 상기 상부힌지(30)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힌지(30)를 덮기 위한 것으로 제3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힌지(30)에 결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판(40)에는 상기 상부힌지(30)의 힌지축(31)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기 위한 관통구멍(41)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나사(33)의 하단을 노출시키기 위한 구멍(33)이 형성된다. 상기 제3결합수단은 상기 커버판(40)의 양단부 각각에 형성된 나사삽입구멍(45)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브라켓(38)의 양단부 각각에 형성된 나사체결구멍(37)에 체결되는 나사못(55)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는, 힌지고정브라켓을 힌지구멍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 각각에서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힌지구멍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부문틀의 하부벽에 결합됨으로써 도어의 개폐시에도 상기 힌지고정브라켓이 흔들리지 않아 상부힌지가 확실하게 고정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는, 힌지고정브라켓이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상부문틀의 하부벽에 결합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단면으로 보아 상하부 및 좌우측부에 벽을 갖는 세장형의 부재로서, 길이방향으로의 일측에서 하부벽에 사각형의 힌지구멍이 관통 형성된 상부문틀과,
    각각 폭방향으로의 양단부 사이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그 하부에 평면의 요부가 형성되도록 절곡되고, 각각의 상기 요부가 상기 힌지구멍에 대응되도록 상기 힌지구멍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 각각에서 각각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각각의 양단부의 저면이 상기 힌지구멍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부문틀의 하부벽 상면에 맞닿도록 제1결합수단에 의해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힌지구멍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부문틀의 하부벽에 결합된 한 쌍의 힌지고정브라켓과,
    힌지축이 그 하단부가 힌지브라켓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구멍에 수용되어 상기 힌지브라켓 양단부 각각의 상면이 상기 힌지고정브라켓 각각의 양단부 사이의 요부의 저면에 맞닿도록 제2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힌지브라켓 양단부 각각이 상기 힌지고정브라켓 각각의 양단부 사이에 결합된 상부힌지와,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에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고 상면이 상기 힌지브라켓의 저면에 맞닿도록 제3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힌지에 결합된 커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
KR20-2004-0000735U 2004-01-12 2004-01-12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 KR200346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735U KR200346755Y1 (ko) 2004-01-12 2004-01-12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735U KR200346755Y1 (ko) 2004-01-12 2004-01-12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755Y1 true KR200346755Y1 (ko) 2004-04-01

Family

ID=4934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735U KR200346755Y1 (ko) 2004-01-12 2004-01-12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7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5437C (en) Wall flush mount supporting device for electric or electronic components
JP2002507876A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用のフレーム架構
JP4330630B2 (ja) ケーシングまたはフレーム状の収容ユニット
KR100408770B1 (ko) 조립식 패널용 패널연결장치
US6314691B1 (en) Inspection opening frame
JP4446266B2 (ja) 軽量間仕切り壁用配線ボックス及び軽量間仕切り壁用配線ボックス装置
KR200346755Y1 (ko) 도어의 상부힌지 고정장치
WO2008009760A3 (es) Dispensador de papel higiénico
JP3592009B2 (ja) スイッチボックス構造
JP2004328929A (ja) 電気接続箱の防水構造
JP2007287492A (ja) 埋込型電気配線接続装置
JP2934846B2 (ja) ラックマウント型電子機器の収納箱
US4992635A (en) Self locating push-button switch box
JP2009130208A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
JP4443434B2 (ja) 電気機器収納箱
JP3187843U (ja) 電気機器収納用筺体の扉体密閉装置
KR100623085B1 (ko) 유리도어 힌지바아
JP4497509B2 (ja) ラックマウント型機器収納箱
KR200408084Y1 (ko) 롤 방충망 장치
KR200372432Y1 (ko) 단자함의 개폐문 안착구조
JP2024004920A (ja) ヒンジカバーの取付構造
KR100386863B1 (ko) 칸막이 부착타입 책상의 배선장치
JP3657094B2 (ja) 格子
JP2023076834A (ja) 支持部品、機器設置構造体
KR200353800Y1 (ko) 창문개폐용 연결암의 정확한 고정을 위한 연결암받침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