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584Y1 -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 - Google Patents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6584Y1 KR200346584Y1 KR20-2003-0040718U KR20030040718U KR200346584Y1 KR 200346584 Y1 KR200346584 Y1 KR 200346584Y1 KR 20030040718 U KR20030040718 U KR 20030040718U KR 200346584 Y1 KR200346584 Y1 KR 20034658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unit
- steering
- hoisting
- horizontal mov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지하철 공사 현장이나 건물 지하 건설을 위해 지하의 흙을 퍼 올리는데 사용하는 버켓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자주식 바퀴에 의해 스스로 이동이 가능하고, 곡선 구간에서는 자동차와 같이 핸들 조작에 의해 선회가 가능하며, 다수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도로 주행중 육교 등을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버켓(17)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권상 승강부(10)와, 상기 권상 승강부(10)를 수평하게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20)와, 상기 수평 이동부(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30)와, 상기 각종 구조물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조향 및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력 제공부(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지하철 공사 현장이나 건물 지하 건설을 위해 지하의 흙을 퍼 올리는데 사용하는 버켓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주식 바퀴에 의해 스스로 이동이 가능하고, 곡선 구간에서는 자동차와 같이 핸들 조작에 의해 선회가 가능하며, 다수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도로 주행중 육교 등을 쉽게 통과할 수 있는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공사, 전력구 수직구, 터널, 통신구, 공사 현장이나 대형 건물을 건설할 때 지하의 흙을 퍼 올리는데 사용하는 버켓 크레인은 지상의 대형 고정식 크레인에 와이어가 권취된 와이어 드럼을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는 흙 운반수단인 버켓을 결속시킴으로써, 와이어 드럼의 정,역회전에 의해 버켓이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지하의 흙을 지상으로 퍼 올리고, 지하 터널 공사에 필요한 자재 투입시 각도 조정까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버켓 크레인은 대형 고정식 크레인이 지상에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버켓만이 상,하로 승강하여 작업함으로써, 작업 범위가 넓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버켓 크레인은 자체 이동 및 선회 기능이 없음으로써, 작업할 장소가 약간만 바뀌어도 크레인을 일단 분해하고, 원하는 위치에 이동하여 다시 재조립하여야 함으로써, 많은 시간이 낭비되고, 그만큼 건설 단가도 비싸지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종래의 버켓 크레인은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설치된 것도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다른 차량에 의해 견인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이 매우 어렵고 또한 그 높이가 너무 높아서 도로 주행중 육교 등을 통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주식 바퀴에 의해 스스로 이동이 가능하고, 곡선 구간에서도 자동차와 같이 핸들 조작에 의해 선회가 가능하며, 다수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도로 주행중 육교 등을 쉽게 통과할 수 있는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b는 그 평면도이며, 도 1c는 그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b는 그 평면도이며, 도 2c는 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고안에 의한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
10; 권상 승강부 11; 횡행 롤러
12; 수평 이동 프레임 13; 권상 모터
14; 권상 감속기 15; 브레이크
16; 드럼 17; 버켓
18; 와이어 19; 고정판
20; 수평 이동부 21; 가이드 레일
22; 상부빔 23; 전방빔
24; 후방빔 25; 횡행 모터
26; 횡행 감속기 27; 구동 롤러
28; 보조 롤러 29; 피동 롤러
29a; 횡행 와이어 30; 높이 조절부
31; 상부 너클 32; 상부 레그
33; 하부 너클 34; 하부 레그
35; 유압 실린더 36; 상부지지빔
37; 하부지지빔 40; 동력 제공부
41; 하부빔 42; 회전판
44; 캐빈 46; 회전 시스템
47a; 전방 요크 47b; 전방 바퀴
47c; 주행부 47d; 조향 시스템
47e; 조향 핸들 47f; 조향부
48a; 동력 전달부 48b; 주행 시스템
48c; 체인 48d; 후방 바퀴
49; 유닛 49a; 높이조절잭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은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다수의 횡행 롤러가 결합되고, 그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상 모터가 구비되어, 각각에 감속기를 통하여 드럼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에는 와이어가 다수회 권취되고, 상기 와이어의 하단에는 버켓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권상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수직 이동 가능한 권상 승강부와, 상기 권상 승강부의 횡행 롤러 하부에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권상 승강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상부빔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빔의 후단에는 횡행 모터가 설치된 동시에 감속기를 통해 구동 롤러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 롤러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부빔의 전단에는 피동 롤러가 결합되어 와이어가 상호 결합되며, 상기 구동 롤러와 피동 롤러 사이의 와이어에는 상기 권상 승강부에 일단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횡행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권상 승강부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와, 상기 수평 이동부의 하부에 다수의 상부 너클이 결합되고, 상기 각 너클에는 상부 레그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 레그의 하단에는 하부 너클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 너클에는 하부 레그가 결합된 동시에, 상기 각각의 상부 레그와 하부 레그 사이에는 유압 실린더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 레그가 하부 너클을 중심축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수평 이동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중 하부 레그에 다수의 하부빔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빔의 하부로서 상기 하부 레그 각각에는 요크를 통하여 다수의 바퀴가 결합되며, 상기 하부빔의 하부 전방에는 전방 바퀴를 조향할 수 있도록 조향부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빔의 하부 후방에는 후방 바퀴에 구동력을 전달 수 있도록 구동력 전달부가 결합되며, 상기 하부빔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조향부, 구동력 전달부, 유압 실린더, 횡행 모터, 권상 모터 등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엔진, 유압 및 전기 유닛이 결합된 동력 제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 제공부의 조향부는 상기 전방 바퀴와 유압 유닛 사이에 결합되어 선회 동력을 제공하는 조향 시스템이 장착되고, 상기 조향 시스템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조향 핸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제공부의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유압 유닛에 주행 시스템이 결합되고, 상기 주행 시스템과 상기 후방 바퀴 사이에는 체인이 결합되어, 상기 유압 유닛의 구동력이 상기 후방 바퀴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하부빔의 상부에는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캐빈이 결합되어, 상기 수평 이동부의 높이가 낮아질 경우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은 버켓이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움직임으로써, 작업 범위가 매우 커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버켓이 결합된 권상 승강부 및 수평 이동부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이동중 육교 등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의 바퀴를 설치하고, 후방 바퀴에는 주행 시스템을 장착함으로써, 공사 현장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전방 바퀴에 조향 시스템을 장착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조향(또는 선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권상 승강부 및 수평 이동부의 높이가 낮아질 때, 이를 조작하는 캐빈이 수평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평 이동부와 상기 캐빈이 상호 중첩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10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를 참조하면, 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c를 참조하면, 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100)의 이동 상태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를 참조하면, 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c를 참조하면, 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100)은 크게 버켓(17)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권상 승강부(10)와, 상기 권상 승강부(10)를 수평하게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20)와, 상기 수평 이동부(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30)와, 상기 각종 구조물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조향 및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력 제공부(40)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권상 승강부(10)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다수(바람직하게는 4개지만 이것으로 본 고안은 한정하는 것은 아님)의 횡행 롤러(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횡행 롤러(11)는 수평 이동 프레임(12)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이동 프레임(12)의 상부에는 다수(바람직하게는 2개지만 이것으로 본 고안은 한정하는 것은 아님)의 권상 모터(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권상 모터(13)에는 권상 감속기(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권상 감속기(14)에는 브레이크(15)가 설치된 동시에 다수(바람직하게는 4개지만 이것으로 본 고안은 한정하는 것은 아님)의 드럼(16)이 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 드럼(16)에는 와이어(18)가 권취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18)의 단부에는 흙을 담는 버켓(17)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권상 모터(13)의 작동에 의해 권상 감속기(14) 및 드럼(16)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와이어(18)에 결합된 버켓(17)이 상,하로 일정 거리 승강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드럼(16)에는 와이어(18)를 상호 중첩시켜 감기도록 하지 않고, 그 표면을 따라 1회씩 권취되도록 함으로써 버켓(17)의 각도가 항상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이동부(20)는 상기 권상 승강부(10)의 횡행 롤러(11) 하부에 결합되도록 직선 형태의 가이드 레일(2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21)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1) 및 상기 권상 승강부(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바람직하게는 2개지만 이것으로 본 고안은 한정하는 것은 아님)의 상부빔(22)이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상부빔(22)의 전방과 후방에는 일정 형태로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전방빔(23) 및 후방빔(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빔(22)의 후단에는 횡행 모터(25)가 설치된 동시에, 감속기(26)를 통하여 상부빔(22) 외측에 구동 롤러(27)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롤러(27)의 일측에는 보조 롤러(2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 롤러(27)와 보조 롤러(28)는 와이어(29a)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빔(22)의 전단에는 피동 롤러(2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 롤러(29)와 구동 롤러(27) 사이에는 와이어(29a)가 결합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권상 승강부(10)의 일측에는 고정판(19)이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피동 롤러(29)와 구동 롤러(27) 사이의 와이어(29a) 일단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횡행 모터(25)가 작동하면, 감속기(26) 및 구동 롤러(27)가 작동하고, 이에 따라 와이어(29a)가 소정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결국 상기 권상 승강부(10)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감속기(26)로서 웜기어 및 시브(도시되지 않음)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평 이동부(20)가 일정 각도 경사져 있어도 상기 권상 승강부(10)가 자중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빔(22)의 전단 및 후단에는 각각 스토퍼(29b)가 돌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권상 승강부(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30)는 먼저 상기 상부빔(22)의 하부에 다수의 상부 너클(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상부 너클(31)의 하부에는 그 상부 너클(31)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한 상부 레그(3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상부 레그(32) 하단에는 하부 너클(33)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너클(33)에는 하부 레그(34)가 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 상부 레그(32)는 상기 하부 너클(33)을 회전 중심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접힐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각각의 상부 레그(32)와 하부 레그(34) 사이에는 유압 실린더(35)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유압 실린더(35)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 레그(32)가 하부 너클(33)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수평 이동부(20)의 높이가 조절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6,37은 상기 레그(32,34)들 사이의 강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상부지지빔(36) 및 하부 지지빔(37)이다.
상기 동력 제공부(40)는 우선 상기 하부 레그(34)에 대략 사각 프레임 형태로 결합된 하부빔(41)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빔(41)의 상부에는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한 회전판(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판(42)의 상부에는 상기 권상 승강부(10), 수평 이동부(20) 및 높이 조절부(30) 등을 제어하는 캐빈(4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회전판(42)에는 회전 시스템(46)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높이 조절부(30)의 높이가 낮아질 경우 상기 캐빈(44)이 자동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캐빈(44)과 상기 수평 이동부(20)가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빔(41)의 하부로서 상기 하부 레그(34) 각각에는 전방 및후방 요크(47a,48e)를 통하여 다수의 전방 및 후방 바퀴(47b,48d)가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비록 한쌍의 바퀴가 2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한개씩 또는 두개 이상씩 설치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전방 바퀴(47b)에는 그것을 조향할 수 있도록 조향부(47c)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후방 바퀴(48d)에는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력 전달부(48a)가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조향부(47c)는 상기 전방 바퀴(47b)의 전방 요크(47a)와 하기할 유압 유닛(49) 사이에 조향 시스템(47d)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향 시스템(47d)은 조향 핸들(47e)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향 핸들(47e)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방 바퀴(47b)의 조향(또는 선회)이 가능해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7f는 조향 및 주행 조작부이다. 또한, 상기 구동력 전달부(48a)는 상기 유압 유닛(49)에 주행 시스템(48b)이 결합되고, 상기 주행 시스템(48b)과 상기 후방 바퀴(48d) 사이에는 체인(48c)이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다. 물론, 상기 후방 바퀴(48d)는 하부 레그(34)의 하단에 설치된 후방 요크(47a)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바퀴(48d)로는 상기 주행 시스템(48b) 및 체인(48c)에 의한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캐리 리프트형 크레인(100)은 자주 이동이 가능해진다. 더불어, 상기 하부빔(41)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조향부(47c), 구동력 전달부(48a), 유압 실린더(35), 횡행 모터(25), 권상 모터(13) 등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엔진, 유압 유닛 및 전기 유닛(49)이 결합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하부빔(41)에는 다수의 높이조절잭(49a)이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크레인(100)의 수평 위치 조절이 용이해지고, 작업중 상기 바퀴(47b,48d)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바퀴를 보호하고 보다안정적인 크레인(100)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여기서는 크게 버켓(17)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권상 승강부(10), 상기 권상 승강부(10)를 수평하게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20), 상기 수평 이동부(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30), 상기 각종 구조물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조향 및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력 제공부(40)의 작동 순서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권상 승강부(10)의 작동은 먼저 권상 모터(13)가 작동한다. 그러면, 상기 권상 모터(13)에 결합된 감속기(14)가 작동하고, 상기 감속기(14)에 의해 드럼(16)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드럼(16)에 권취된 와이어(18)의 하단에는 버켓(17)이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버켓(17)은 상,하로 일정 거리 이동한다. 물론, 상기 감속기(14)에는 브레이크(15)가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소정 위치에서 상기 드럼(16)의 회전을 멈추게 하여, 상기 버켓(17)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수평 이동부(20)의 하부에 트럭이 위치하면, 상기 트럭에 상기 버켓(17)의 흙을 담게 된다.
상기 수평 이동부(20)의 작동은 먼저 횡행 모터(25)가 작동한다. 그러면, 상기 횡행 모터(25)에 결합된 감속기(26)가 작동하고, 이에 따라 구동 롤러(27)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보조 롤러(28) 및 피동 롤러(29)도 같이 회전함으로써, 그것에 연결된 와이어(29a)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와이어(29a)에는 권상 승강부(10)의 고정판(19)이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결국 상기 권상 승강부(10)의 횡행 롤러(11)가 그 하부의 가이드 레일(21)을 따라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권상 승강부(10)가 수평 이동부(20)의 가이드 레일(21)을 따라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권상 승강부(10)는 수평 이동부(20)중 상부빔(22)의 전,후방에 설치된 스토퍼(29b)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높이 조절부(30)의 작동은 먼저 상부 레그(32)와 하부 레그(34) 사이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35)가 작동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레그(32)는 상기 하부 레그(34)에 대하여 하부 너클(3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꺽여져 있는 위치를 초기 상태로 가정한다. 즉, 상기 수평 이동부(20)의 위치가 최대로 낮춰진 상태를 초기 상태로 가정한다. 상기와 같이 유압 실린더(35)가 작동하면, 상기 하부 너클(33)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30)가 대략 상기 하부 레그(34)와 일직선 상태를 유지한다. 더불어, 상부 너클(3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수평 이동부(20)도 소정 방향으로 회전(물론, 상기 수평 이동부(20)의 수평 상태는 변함이 없음)하면서 그 높이가 상승한다. 이때, 상기 유압 실린더(35)도 상기 상부 레그(32) 및 하부 레그(34)에 대략 수평하게 위치된다. 한편, 상기 수평 이동부(20)가 최대 높이로 될 때, 동력 제공부(40)의 상부에 설치된 캐빈(44)은 회전판(42)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캐빈(44)에 용이하게 들어가 각종 조작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유압 실린더(35)가 역으로 작동하여 수평 이동부(20)가 하강할 경우에는 상기 캐빈(44)이 소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평 이동부(20)가 상호 중첩하지 않도록 된다.
상기 동력 제공부(40)의 작동은 크게 조향부(47c)와 동력 전달부(48a)의 작동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상기 조향부(47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향 시스템(47d) 및 조향 핸들(47e)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조향 핸들(47e)을 조작함에 따라 유압 유닛(49)과 전방 바퀴(47b) 사이에 연결된 조향 시스템(47d)이 작동함으로써, 상기 전방 바퀴(47b)에 결합된 요크(47a)를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전방 바퀴(47b)도 소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이동시 조향 또는 선회가 가능해진다. 더불어, 상기 동력 전달부(40)는 유압 유닛(49)에 일단이 결합된 주행 시스템(48b)과 후방 바퀴(48d)에 결합된 체인(48c)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유압 유닛(49)의 구동력은 상기 주행 시스템(48b)에 전달되며, 그러면 체인(48c)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후방 바퀴(48d)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100)이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조향부(47c), 구동력 전달부(48a), 유압 실린더(35), 횡행 모터(25), 권상 모터(13) 등에의 동력은 동력 제공부(40)에 설치된 엔진, 유압 유닛 및 전기 유닛(49)에 의해 제공된다. 더불어, 상기 동력 제공부(40)에 설치된 다수의 높이조절잭(49a)에 의해, 크레인(100)의 수평 위치 조절이 용이해지고, 작업중 상기 바퀴(47b,48d)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바퀴를 보호하고 보다 안정적인 크레인(100)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은 버켓이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움직임으로써, 작업 범위가 매우 커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버켓이 결합된 권상 승강부 및 수평 이동부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이동중 육교 등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의 바퀴를 설치하고, 후방 바퀴에는 주행 시스템을 장착함으로써, 공사 현장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방 바퀴에 조향 시스템을 장착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조향(또는 선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권상 승강부 및 수평 이동부의 높이가 낮아질 때, 이를 조작하는 캐빈이 수평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평 이동부와 상기 캐빈이 상호 중첩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다수의 횡행 롤러(11)가 결합되고, 그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상 모터(13)가 구비되어, 각각에 감속기(14)를 통하여 드럼(16)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16)에는 와이어(18)가 다수회 권취되고, 상기 와이어(18)의 하단에는 버켓(17)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권상 모터(13)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수직 이동 가능한 권상 승강부(10);상기 권상 승강부(10)의 횡행 롤러(11) 하부에 가이드 레일(21)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21) 및 상기 권상 승강부(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상부빔(22)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빔(22)의 후단에는 횡행 모터(25)가 설치된 동시에 감속기(26)를 통해 구동 롤러(27)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 롤러(27)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부빔(22)의 전단에는 피동 롤러(29)가 결합되어 와이어(29a)가 상호 결합되며, 상기 구동 롤러(27)와 피동 롤러(29) 사이의 와이어(29a)에는 상기 권상 승강부(10)에 일단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횡행 모터(25)의 작동에 의해 상기 권상 승강부(1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20);상기 수평 이동부(20)의 하부에 다수의 상부 너클(31)이 결합되고, 상기 각 너클(31)에는 상부 레그(32)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 레그(32)의 하단에는 하부 너클(33)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 너클(33)에는 하부 레그(34)가 결합된 동시에, 상기 각각의 상부 레그(32)와 하부 레그(34) 사이에는 유압 실린더(35)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유압 실린더(35)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 레그(32)가 하부 너클(33)을 중심축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수평 이동부(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30); 및,상기 높이 조절부(30)중 하부 레그(34)에 다수의 하부빔(41)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빔(41)의 하부로서 상기 하부 레그(34) 각각에는 요크(47a,48d)를 통하여 다수의 바퀴(47b,48d)가 결합되며, 상기 하부빔(41)의 하부 전방에는 전방 바퀴(47b)를 조향할 수 있도록 조향부(47c)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빔(41)의 하부 후방에는 후방 바퀴(48d)에 구동력을 전달 수 있도록 구동력 전달부(48a)가 결합되며, 상기 하부빔(41)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조향부(47c), 구동력 전달부(48a), 유압 실린더(35), 횡행 모터(25), 권상 모터(13) 등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엔진, 유압 및 전기 유닛(49)이 결합된 동력 제공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제공부(40)의 조향부(47c)는 상기 전방 바퀴(47b)와 유압 유닛(49) 사이에 결합되어 조향 동력을 제공하는 조향 시스템(47d)이 장착되고, 상기 조향 시스템(47d)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조향 핸들(47e)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제공부(40)의 구동력 전달부(48a)는 상기 유압 유닛(49)에 주행 시스템(48b)이 결합되고, 상기 주행 시스템(48b)과 상기 후방 바퀴(48d) 사이에는 체인(48c)이 결합되어, 상기 유압유닛(49)의 구동력이 상기 후방 바퀴(48d)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 리프트형 버켓(17) 크레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빔(41)의 상부에는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캐빈(44)이 결합되어, 상기 수평 이동부(20)의 높이가 낮아질 경우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40718U KR200346584Y1 (ko) | 2003-12-30 | 2003-12-30 |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40718U KR200346584Y1 (ko) | 2003-12-30 | 2003-12-30 |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6584Y1 true KR200346584Y1 (ko) | 2004-04-03 |
Family
ID=4942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40718U KR200346584Y1 (ko) | 2003-12-30 | 2003-12-30 |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6584Y1 (ko) |
-
2003
- 2003-12-30 KR KR20-2003-0040718U patent/KR200346584Y1/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78682B2 (en) | Traveling crane | |
CA1117075A (en) | Industrial crane | |
KR20140057756A (ko) |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 |
CN110526137B (zh) | 一种自移动快速架设塔式起重机 | |
EP0099636B1 (en) | Access equipment | |
JP2971042B2 (ja) | 桁運搬機及び桁運搬方法 | |
CN111648232A (zh) | 桥梁现浇混凝土防撞护栏模板台车 | |
KR200346584Y1 (ko) |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 | |
US7204378B2 (en) | Goods transshipment apparatus | |
US3777898A (en) | Traction and steering device | |
JPH0789696A (ja) | 自走式クレーン車 | |
GB2053146A (en) | Movable ring supported lift crane | |
JP2005186745A (ja) | ターンテーブル装置 | |
KR101523530B1 (ko) |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 |
CN215629169U (zh) | 一种摊铺机 | |
JPS5844152Y2 (ja) | 門形作業機 | |
CN219194289U (zh) | 一种大起重量防爆柴油机履带式起重机 | |
JP6780908B1 (ja) | クレーン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CN213417444U (zh) | 一种轨道板运装设备 | |
CN214298965U (zh) | 无线操控起重装置 | |
CN210284358U (zh) | 一种台车转向装置以及台车 | |
JPH05306094A (ja) | 低高さ空間用作業機械 | |
JP3012068U (ja) | 多機能作業車 | |
JPH0144577Y2 (ko) | ||
GB2053147A (en) | Travelling attachment for ring supported lift cra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