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748Y1 -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748Y1
KR200345748Y1 KR20-2003-0036863U KR20030036863U KR200345748Y1 KR 200345748 Y1 KR200345748 Y1 KR 200345748Y1 KR 20030036863 U KR20030036863 U KR 20030036863U KR 200345748 Y1 KR200345748 Y1 KR 200345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al intervals
present
conveyed
cylindric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to KR20-2003-0036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7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99Conveyor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긴 원통형의 피이송체를 경사면 또는 평면의 위에서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피이송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그 사이각이 120°인 3개의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각 날개 사이의 호는 피이송체의 외면과 접하는 프로펠러부재를 양단에 구비한 회전축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비교적 간편한 장치를 이용하여 원통형의 긴 부재를 수평면 또는 경사면에서 등간격으로 원활하고 정교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Apparatus for conveying cylindrical members with equal spacing}
본 고안은 긴 원통형의 피이송체를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 끝단의 직경이 동일하거나 직경이 서로 다른 모든 원통형 피이송체의 경우에 적용되며, 이송되는 면 또한 수평면이거나 경사진 면 모든 면에 적용될 수 있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경사진 면상에서 원통형 피이송체를 위에서 공급하여 아래로 굴러 내려서, 아래에서 이를 수령하여 타 공정으로 이송하는 장치 또는 이송방법이 있다.
이 때 도 1의 (a)와 같이 원통형 피이송체(1)의 양 끝단부의 직경이 일정한 경우에는 자유낙하의 방법으로 굴러 내려도 서로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아래로 굴러 내려가게 할 수 있으나, 양 끝단부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그렇지 못하다.
즉, 도 1의 (b)와 같이 긴 원통형의 피이송체(2)의 양 끝단부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굴러 내려가지 못하고 직경이 작은 쪽으로 피이송체(2)가 쏠리게 되어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평면상에서 피이송체를 등간격으로 정교하게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복잡한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사면 또는 수평면에서 양끝단의 직경이 서로 다른 긴 원통형의 물체를 등간격으로 유지하며 이송한다든지, 수평면상에서 긴 원통형의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비교적 간편하면서도 정교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이송체의 이송개략도
(a) 직경이 일정한 피이송체의 경우
(b) 직경이 서로 다른 피이송체의 경우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일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일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일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펠러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로펠러부재 20 : 회전축
21, 22 : 치차 23 : 모터
30, 35 : 피이송체
본 고안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이각이 120°인 3개의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각 날개사이의 호는 피이송체의 외면과 접하는 프로펠러부재를 양단에 구비한 회전축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유지하며 이송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회전축들이 서로 치차로 연결되거나,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모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회전축들이 서로 치차로 연결된 경우 최외각 회전축을 제외한 내부에 위치한 타회전축이 중간에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장치가 장착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그림들이다.
도 2의 (a)에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기본구조가 나타나 있으며, 본 고안의 장치는 다수개의 회전축(20)이 피이송체(30)의 직경에 맞춘 간격에 대응하여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20)의 양단에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 3개의 날개를 가진 프로펠러부재(10)가 각각 장착되고, 이 때 인접한 프로펠러부재(10)들은 그 크기에 따라 서로 맞닿지 않도록 간격을 두고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로펠러부재(10)는 3개의 날개 사이의 호가 피이송체의 외주면과 접하는 형상을 취하며, 프로펠러부재의 이러한 형상은 피이송체가 등간격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프로펠러부재의 형상은 도 5에서 상세하게 후술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회전축(20)은 베어링으로 축지지하여 회전을 원활하게 하며, 상기 베어링이 장착되는 베어링하우징은 피이송체(30)의 움직임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미도시된 프레임에 적절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펠러부재(10)는 경량재료를 사용하여 중력에 의한 마찰을 작게 하여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 장치가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 위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피이송체(30)는 자유낙하방식에 의하여 무동력으로 연속적으로 굴러 내리게 되며, 그 움직임에 따라 프로펠러부재(10)의 움직임이 연동된다.
본 일실시예의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피이송체(30)는 긴 원통형의 것으로서 한쪽 끝단(31)이 원통형의 타부분보다 직경이 크며 서로 맞닿아 있게 되고, 따라서 다른 쪽 끝단(32)은 그 직경의 차이만큼 벌어지게 되므로 이 양단을 프로펠러부재(10)로 감싸서 회전시킴으로써 피이송체(30)는 등간격으로 이송되게 된다.
또한, 도 2의 (b)에서는 본 고안 장치가 끝단(36)의 직경이 서로 동일한 피이송체(35)에 적용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끝단의 직경이 동일한 피이송체의 경우에도 직경이 다른 경우와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여 등간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의 (a)의 실시예는 도 2의 장치를 기본으로 하여 회전축(20)의 끝단에 각각 치차를 장착하여 회전축(20)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치차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회전축(20)의 양끝단에 치차1(22)을 각각 장착하고, 그 사이사이에 치차2(22)를 장착하게 되는데, 피이송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기 위한 전체적인 장치의 형상으로 인하여 이러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모든 회전축들이 연결될 수도 있으나, 그림과 같이 최외각의 회전축(20)이 연결되면, 다른 프로펠러부재(10)들은 치차(21, 22)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므로, 다른 회전축들은 서로 분리되어 각각 베어링하우징에 의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절히 축지지되면, 전체적인 움직임이 한결 부드러워진다.
도 3의 (a)는 본 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끝단의 직경이 서로 다른 피이송체(30)에 적용한 경우이며, (b)는 직경이 서로 동일한 피이송체(35)에 적용한 경우이며 그 장치 및 동작은 동일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일실시예에 모터를 부가하여 구비한 경우이다.
모터(23)는 회전축(20)이 연결된 축에 설치되며, 직경이 서로 다른 피이송체(30)에 적용된 경우가 도 4 (a)이며, 직경이 서로 동일한 피이송체(35)에 적용된 경우가 도 4 (b)이다.
본 실시예가 경사면에서 실시되는 경우에는 회전축의 움직임을 자유낙하 대신에 동력을 이용함으로써 그 움직임을 더욱 역동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수평면상에서는 피이송체의 자유낙하가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본 실시예를 적용하여야 한다.
도 5는 각종 피이송체의 직경과 이송거리에 따른 프로펠러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a)는 피이송체(30)의 직경(d1)과 이송되는 간격(L1)이 동일한 경우이며, 도 5 (b)는 피이송체(30)의 직경(d2)이 이송되는 간격(L2)의 2배가 되는 경우이며, 도 5 (c)는 피이송체(30)의 직경(d3)이 이송되는 간격(L3)의 1/2이 되는 경우의 프로펠러부재의 형상이다.
3종의 실시예 공히 피이송체(30)의 외주면과 프로펠러부재(10)의 날개 사이의 호가 접하는 형상을 취한다. 특히 도 5 (a)의 경우에는 프로펠러부재(10)의 날개의 끝부분의 형상과 크기가 피이송체(30)와 동일하다.
다음은 본 고안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도 5 (a)의 장치의 작동을 10° 기울어진 경사면에서 피이송체를 이송하는 경우를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30°씩 단계별로 나타낸 그림이다.
즉, (a)는 초기위치이며, (b)는 30° 회전위치, (c)는 60° 회전위치, (d)는 90° 회전위치를 나타내며, 도시되지 않은 120° 회전위치는 초기위치와 등가위치이다.각 단계별로 피이송체(30)가 프로펠러부재(10)의 간섭없이 등간격을 유지하며 이송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a) 단계에서 피이송체(30)의 외면은 프로펠러부재(10)의 날개 사이의 호와 접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c) 단계에서는 피이송체(30)의 단면과 프로펠러부재(10)의 날개 끝의 평면적 형상이 동일하므로피이송체가 등간격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장치를 이용하여 직경이 일정하지 않은 원통형의 긴 부재를 등간격으로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평면상에서 구동력을 이용하여 원통형의 긴 부재를 등간격으로 원활하며 정교하게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사이각이 120°인 3개의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각 날개사이의 호는 피이송체의 외주면과 접하는 프로펠러부재를 양단에 구비한 회전축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서로 치차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모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최외각 회전축을 제외한 회전축이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
KR20-2003-0036863U 2003-11-26 2003-11-26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 KR200345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863U KR200345748Y1 (ko) 2003-11-26 2003-11-26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863U KR200345748Y1 (ko) 2003-11-26 2003-11-26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281A Division KR100592824B1 (ko) 2003-11-26 2003-11-26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748Y1 true KR200345748Y1 (ko) 2004-03-20

Family

ID=4934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863U KR200345748Y1 (ko) 2003-11-26 2003-11-26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7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08389A1 (en) Roller conveyor and conveyance control method
MX2008002195A (es) Sistemas y metodos para proporcionar un transportador de sincronizacion mejorada.
JP4178835B2 (ja) 分岐設備
KR200345748Y1 (ko)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
CN103373586B (zh) 传送装置
KR100592824B1 (ko) 원통형 물체를 등간격으로 이송하는 장치
JP3356526B2 (ja) パレット移送装置
EP1883319B1 (en) A unit for transferring sticks of rod material used to manufacture tobacco products
CA2308399A1 (en) Improved drive system for shrimp peeling apparatus
KR20030038242A (ko) 영구자석 기어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KR101904892B1 (ko) 대면적 기판의 이송장치
JP2616872B2 (ja) モータ内蔵ローラおよびローラコンベア装置
KR101899387B1 (ko) 대면적 기판의 이송장치
JP5162882B2 (ja) 搬送装置
CN110623127A (zh) 一种用于棒糖机的糖杆防卡输送机构
JP2001301934A (ja) カーブローラコンベヤ
JP2005233310A (ja) 駆動ユニット
JPH10114409A (ja) 行路変更用コンベア
KR20040035394A (ko) 글래스 반송용 콘베이어 장치
JP4137342B2 (ja) 帯状材の進行方向変更装置
JP4587203B2 (ja) ローラコンベヤ
KR20210001311A (ko) 이송스크류용 지지장치
KR970004115Y1 (ko) 캔디 제조용 롤링장치
CN113233107A (zh) 一种虾体的定向传送装置
JP2006027899A (ja) 分岐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