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376Y1 - 스트럿 추가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럿 추가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376Y1
KR200345376Y1 KR20-2003-0034870U KR20030034870U KR200345376Y1 KR 200345376 Y1 KR200345376 Y1 KR 200345376Y1 KR 20030034870 U KR20030034870 U KR 20030034870U KR 200345376 Y1 KR200345376 Y1 KR 200345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uckle
spring
impact
tubular
spr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환
Original Assignee
김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환 filed Critical 김도환
Priority to KR20-2003-0034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3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3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의 너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현가장치는 자동차의 상하 방향으로만 유연하여 상하 충격만을 억제하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고안을 적용하면 바퀴가 상하뿐만 아니라,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도 운동할 수 있게 하여 유연성이 증대되어 승차감이 향상된다. 상기 고안은 기존의 현가장치의 스트럿(14)에 장착된 너클브라켓(15)과 너클(16)을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링크하고, 너클연결부(19)와 쇽옵저버스프링일체형의 스프링(11) 아래쪽에 설치한 튜브형스프링지지체(12)의 중심과 링크하여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유연성을 제공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스트럿 추가 현가장치{ additional strut suspension }
본 고안은 맥퍼슨형 현가장치의 너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기존의 현가장치의 상하 방향의 충격억제 작용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의 충격억제도 가능하게 하는 고안이다. 일반적인 현가장치의 중요한 기능은 자동차의 상하 방향으로 유연성을 제공하여 노면의 요철로 인한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하여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의 현가장치는 바퀴를 상하 방향으로만 움직이며 충격을 완화했다. 하지만 자동차가 주행 시 노면의 요철에 의해 바퀴가 받는 충격방향은 차속이 빠르면 빠를수록 상하 방향이 아닌, 전후 방향의 충격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만 유연한 기존의 현가장치들은 고속 주행 시 노면의 요철에 의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자동차의 상하전후 방향에 유연한 현가장치를 만들어 승차감 증대를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적용해 보인 우측 사시도,도 2는 본 고안을 적용해 보인 좌측 사시도,도 3은 본 고안을 적용해 보인 배면도.*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10; 쇽옵저버11; 스프링12; 튜브형스프링지지체13; 튜브형완충재14; 스트럿15; 너클브라켓16; 너클17; 너클링크18; 스핀들19; 너클연결부20; 스트럿링크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의 스트럿(14)에 너클브라켓(15)을 장착한다. 같은 길이의 2개의 너클링크(17)를 상하의 차이를 두어 너클브라켓(15)과 너클(16)의 안쪽과 바깥쪽에 연결하되, 너클(16)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너클브라켓(15)과 링크(17)의 연결 부분을 축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한다. 이때 링크(17)는 너클(16)을 지지하고 너클브라켓(15)과 연결해 준다. 쇽옵저버스프링일체형의 스프링(11) 아래부분에 스프링을 받쳐주는 튜브형스프링지지체(12)를 장착하고, 튜브형스프링지지체(12)와 기존 현가장치의 쇽옵저버(10) 사이에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튜브형완충재(13)를 삽입한다. 너클연결부(19)는 튜브형스프링지지체(12)의 중심과 링크한다. 주행시 바퀴에 전달된 충격이 너클에 연결된 스핀들(18)을 통해 전해져 오면, 상하의 충격은 대부분 기존의 현가 장치가 흡수한다. 전후 방향의 충격은 너클브라켓(15)와 너클링크(17)의 연결 부분을 축으로하는 너클(16)의 모멘트로 변하고, 이 모멘트는 너클링크부(19)와 링크되어 있는 튜브형스프링지지체(12)로 힘이 전달되어 스프링이 상하운동을 하며 이 충격을 완화 시킨다. 또한, 튜브형 스프링지지체(12)와 기존의 쇽옵저버(10)의 접촉 시 생기는 충격은 튜브형완충재(13)가 흡수한다. 이에 충격의 방향에 따라 충격을 분산해 완화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전후 방향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구조를 기존의 현가장치에 적용하여 동시에 자동차의 상하전후 방향으로 바퀴의 운동을 완화시켜 유연성이 기존의 현가장치보다 증대되어 승차감이 향상된다.

Claims (2)

  1. 맥퍼슨식 현가장치의 너클 연결구조에 있어서, 스트럿(14)에 장착되어 너클(16)과 링크되어 너클(16)을 고정해주는 너클브라켓(15)과, 상기 너클브라켓(15)과 너클(16)이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해주고 지지하는 링크부와, 쇽옵저버스프링일체형의 스프링(11)밑에 장착되어 스프링을 받쳐주는 튜브형스프링지지체(12)와, 상기 튜브형스프링지지체(12)의 중심과 너클(16)을 지지하고 연결해주는 링크부와, 튜브형스프링지지체(12)와 쇽옵저버(10) 사이에 장착되어 충격을 완화해 주는 튜브형완충재(13)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노면의 충격 완화시 기존 현가장치가 상하의 충격을 억제함과 동시에, 너클브라켓(15)과 너클링크(17)의 연결부분을 축으로 한 너클(16)의 회전운동을 너클(16)과 링크된 튜브형스프링지지체(12)의 상하운동으로 변화시켜 스프링(11)이 완화하여 전후 방향의 충격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
KR20-2003-0034870U 2003-11-07 2003-11-07 스트럿 추가 현가장치 KR200345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70U KR200345376Y1 (ko) 2003-11-07 2003-11-07 스트럿 추가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70U KR200345376Y1 (ko) 2003-11-07 2003-11-07 스트럿 추가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376Y1 true KR200345376Y1 (ko) 2004-03-18

Family

ID=4942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870U KR200345376Y1 (ko) 2003-11-07 2003-11-07 스트럿 추가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3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520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31299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0131300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JP2924306B2 (ja) 車輪独立懸架装置
KR0139521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1461916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RU2713263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подвеска оси для задней ос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5456486A (en) Rear wheel suspension for vehicle
KR200345376Y1 (ko) 스트럿 추가 현가장치
KR200350298Y1 (ko) 링크식 일체 현가장치
KR200345373Y1 (ko) 스트럿용 추가 현가장치
KR200350300Y1 (ko) 연결식 일체 현가장치
KR200345375Y1 (ko) 링크식 추가 현가장치
KR200350297Y1 (ko) 링크식 이중 현가장치
KR200350299Y1 (ko) 연결식 이중 현가장치
KR200342655Y1 (ko) 자동차용 2중 완충장치
KR200350296Y1 (ko) 더블 위시본형 완충장치
KR20070100465A (ko) 자동차의 프런트 현가장치
JPH02241811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422550B1 (ko) 차량용 속업소버의 상부체결구조
KR0131297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100192404B1 (ko) 2중링크식 리어서스펜션
KR0131296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20030026022A (ko) 소형 상용차의 리어 서스펜션
KR19980024176U (ko) 자동차의 멀티 링크 서스펜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