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343Y1 - 피난유도등 - Google Patents

피난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343Y1
KR200345343Y1 KR20-2003-0040420U KR20030040420U KR200345343Y1 KR 200345343 Y1 KR200345343 Y1 KR 200345343Y1 KR 20030040420 U KR20030040420 U KR 20030040420U KR 200345343 Y1 KR200345343 Y1 KR 200345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display panel
fluorescent
fluorescent tub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화성방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성방재(주) filed Critical 화성방재(주)
Priority to KR20-2003-0040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3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3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2Emergency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22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난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함체에 설치되는반투명재질의 표시판과, 형광관과 상기 형광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밀폐스템과 상기 각 밀폐스템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형광관의 내부로부터 상기 각 밀폐스템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2쌍의 접촉핀을 가지고 상기 형광관이 상기 표시판의 후방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형광등과, 상기 형광등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형광등의 접촉핀과 상기 전원공급부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소켓을 갖는 피난유도등에 있어서, 안내판부와 상기 안내판부로부터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반사판부를 가지고, 상기 안내판부가 상기 표시판에 나란하고 상기 반사판부가 상기 형광등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분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표시판의 전면휘도에 기여하는 유효광량이 증가되어 표시판의 전면의 휘도가 적정값으로 유지되도록 형광등을 발광시키기 위한 소비전력이 감소된다.

Description

피난유도등{Exit Light}
본 고안은 피난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피난경로의 위치와 피난방향을 알려주는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화재 등의 비상상태가 발생하면 사람들은 안전지대로 신속하게 대피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사람들을 안전지대로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피난유도등을 비상문, 복도, 통로 바닥 등에 설치하고 있다.
도6은 종래의 피난유도등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피난유도등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상 단면의 함체(110)와, 함체(110)의 전면에 설치된 표시판(160)과, 함체(110)의 내부에서 세로방향을 따라 설치된 형광등(130)과, 형광등(130)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와,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와 형광등(130)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도선(151)을 통해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한 쌍의 소켓(120)과, 각 소켓(120)을 함체(110)에 고정지지하는 소켓지지부(140)를 갖고 있다.
함체(110)는 전면이 개방된 본체(111)와, 본체(111)의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112)를 갖고 있다. 커버(112)의 중앙영역에는 장방형상의 개구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판(160)은 개구부(112a)를 통해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커버(112)에 설치되고, 대피방향을 안내하는 달리는 사람형상(161)이 도안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표시판(160)은 반투명재질로 제작된다.
형광등(130)은 형광관(131)과, 형광관(13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밀폐스템(134)과, 각 밀폐스템(134)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베이스(133)와, 형광관(131)의 내부로부터 각 밀폐스템(134)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2쌍의 접촉핀(132)을 갖고 있다.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는 본체(111)의 내부 형광등(130)의 우측영역에 설치된 충전배터리(155)와, 상용교류전압 또는 충전배터리(155)의 출력전압을 발진시켜 형광등(130)에 고주파 전압을 공급하는 발진회로(도시되지 않음)와, 충전배터리(155)의 출력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회로(도시되지 않음)와, 충전배터리(155)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발진회로(도시되지 않음), 충전회로(도시되지 않음), 인버터회로(도시되지 않음)는 본체(111)의 내부 형광등(130)의 좌측영역에 설치된 피시비(153)상에 구현되어 있다.
각 소켓(120)은 상측영역에 대략 원형단면의 장착홈(121b)이 형성된 등결합부(121)와, 등결합부(121)의 장착홈(121b)에 삽입된 한 쌍의 접촉암(123)을 갖고 있다.
각 등결합부(121)는 하단 중앙영역에 "역T자" 형상의 지지편(121d)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홈(121b)의 내부에는 한 쌍의 반원형단면의 접촉돌기(12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홈(121b)의 상측에는 삽입개구(121c)가 형성되어 있다.
각 등결합부(121)는 지지편(121d)이 후술하는 지지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됨으로써 한 쌍의 고정블록(142)에 각각 고정된다.
각 접촉암(123)은 접촉돌기(121a)와 협조하여 형광등(130)의 접촉핀(132)을 압착할 수 있도록 반원호형상의 곡선부(123a)를 갖고 있다. 각 접촉암(123)은 도선(151)을 통해 발진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소켓(120)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형광등(130)이 장착된다.
먼저 접촉핀(132)을 삽입개구(121c)를 통해 접촉돌기(121a)사이로 삽입한 후, 대략 90도 정도 회전시킨다. 형광등(130)이 회전함에 따라 접촉핀(132)은 접촉돌기(121a)와 곡선부(123a)사이에 압착되고, 이에 따라 형광등(130)은 접촉암(123)을 통해 발진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 소켓지지부(140)는 본체(111)의 바닥면 형광등(130)의 베이스(133)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4개의 고정리브(141)와, 한 쌍의 고정리브(141)에 각각 하나씩 억지 끼움되는 한 쌍의 고정블록(142)을 갖고 있다.
각 고정리브(141)는 기역자형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2개씩 조를 이루며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블록(142)은 외측면에 고정리브(141)의 종단에 형상 맞춤되는 고정홈(142a)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측면에 지지편(121d)에 형상 맞춤되는 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고정블록(142)은 한 쌍씩 각 조의 고정리브(141)에 억지 끼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피난유도등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진회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형광등(130)에 고주파의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형광등(130)은 소정의 발광메카니즘에 따라 발광한다. 상용교류전압이 차단될 때 발진회로(도시되지 않음)는 충전배터리(155)의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고주파의 동작전압을 생성한다.
형광등(130)의 발광동작에 따라 생성된 빛은 표시판(160)의 배면으로부터 전면으로 관통하여 진행한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표시판(160)에 도안된 사람형상(161)을 시각적으로 인식하여 사람형상(161)이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표시판(160)의 배면의 조도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형광등(130)으로부터의 이격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입사각의 코사인에 비례한다.
여기서 화재 등 비상사태가 발생할 때 피난유도등의 인접영역은 보통 시계(視界)가 불량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표시판(160)의 전면은 전 영역에 걸쳐 멀리서도 잘 보일 수 있도록 충분한 휘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표시판(160)의 주변영역 배면에는 가능한 많은 양의 빛이 가능한 작은 입사각을 갖도록 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의 피난유도등에 따르면, 형광등(130)에서 발광된 빛은 그대로 직진하여 표시판(160)의 배면에 도달하여 형광등(130)의 외표면 중 표시판(160)에 대향하는 영역으로부터 발광된 빛만이 표시판(160)의 주변영역에 큰 입사각으로 도달하기 때문에 형광등(13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 중 표시판(160)의 전면휘도에 기여하는 유효광량이 적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표시판(160)의 전면휘도를 적정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형광등(130)의 소비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표시판의 전면휘도에 기여하는 유효광량이 증가되도록 한 피난유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등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등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2의 일 광분산판의 설치상태도,
도4는 도2의 다른 광분산판의 설치상태도,
도5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6은 종래의 피난유도등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함체 11, 111 : 본체
12, 112 : 커버 20, 120 : 소켓
30, 130 : 형광등 40, 140 : 소켓지지부
53, 153 : 피시비 55, 155 : 충전배터리
60, 160 : 표시판 70 : 광분산판
71 : 안내판부 72 : 반사판부
73 : 지지판부 121 : 등결합부
123 : 접촉암 141 : 고정리브
142 : 고정블록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함체에 설치되는 반투명재질의 표시판과, 형광관과 상기 형광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밀폐스템과 상기 각 밀폐스템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형광관의 내부로부터 상기 각 밀폐스템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2쌍의 접촉핀을 가지고 상기 형광관이 상기 표시판의 후방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형광등과, 상기 형광등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형광등의 접촉핀과 상기 전원공급부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소켓을 갖는 피난유도등에 있어서, 안내판부와 상기 안내판부로부터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반사판부를 가지고, 상기 안내판부가 상기 표시판에 나란하고 상기 반사판부가 상기 형광등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분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등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형광등으로부터 발광되는 빛 중 표시판의 전면휘도에 기여하는 유효광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광분산판은 상기 형광등의 양측에 하나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함체 내부에서의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광분산판은 상기 반사판부로부터 경사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고 연부에는 도선안내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등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일 광분산판의 설치상태도이며, 도4는 도2의 다른 하나의 광분산판의 설치상태도이며, 도5는 도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등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상 단면의 함체(10)와, 함체(10)의 전면에 설치된 표시판(60)과, 함체(10)의 내부에서 세로방향을 따라 설치된 형광등(30)과, 형광등(30)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와,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와 형광등(30)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도선(51)을 통해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한 쌍의 소켓(20)과, 각 소켓(20)을 함체(10)에 고정지지하는 소켓지지부(40)를 갖고 있다.
함체(10)는 종래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 본체(11)와 커버(12)를 갖고 있다. 그리고 본체(11)의 좌우 측벽 내표면 상단에는 각각 형광등(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3개의 상부걸림홈(11a)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1)의 바닥면 중앙영역에는 4개의 하부걸림홈(11b)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하부걸림홈(11b)은 2개씩 한 조를 이루며 형광등(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표시판(60)은 종래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고 있으며, 형광등(30)은 종래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 형광관(31), 밀폐스템(34), 베이스(33)와 접촉핀(32)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는 종래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 충전배터리(55), 발진회로(도시되지 않음), 인버터회로(도시되지 않음), 충전회로(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고, 발진회로(도시되지 않음), 충전회로(도시되지 않음), 인버터회로(도시되지 않음)는 본체(11)의 내부 형광등(30)의 좌측영역에 설치된 피시비(53)상에 구현되어 있다.
각 소켓(20)과 소켓지지부(40)는 종래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
각 광분산판(70)은 장방형상의 안내판부(71)와, 안내판부(71)로부터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반사판부(72)와, 반사판부(72)로부터 경사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 지지판부(73)를 갖고 있다.
안내판부(71)는 상부걸림홈(11a)에 형상맞춤되는 상부걸림돌기(71a)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판부(73)에는 하부걸림홈(11b)에 형상맞춤되는 하부걸림돌기(73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부(73)의 하단 연부 중앙영역에는 도선안내홈(73b)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이 도선안내홈(73b)을 통해 피시비(53)와 충전배터리(55)사이의 연결도선이 배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각 광분산판(70)은 각 상부걸림돌기(71a)를 상부걸림홈(11a)에 삽입하고 각 하부걸림돌기(73a)를 하부걸림홈(11b)에 삽입함으로써 본체(11)에 설치된다. 이 때 광분산판(70)은 안내판부(71)가 표시판(60)에 평행하도록 설치된다(도5 참조).
각 광분산판(70)은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등의 합성수지재로 제작할 수 있으며, 표면에는 반사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등은 아래와 같은 광분산판(70)의 동작을 제외하고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형광등(30)의 발광동작에 따라 생성된 빛 중 일부는 그대로 직진하여 표시판(60)의 배면으로부터 진행하는 반면, 일부는 반사판부(72)에서 반사된 후 표시판(60)의 배면으로부터 진행한다. 그리고 반사판부(72)에서 반사된 후 표시판(60)의 배면으로부터 진행한 빛 중 일부는 안내판부(71)와 표시판(60)에서 반사를 반복하면서 표시판(60)의 주변영역으로 진행하게 된다. 안내판부(71)와 표시판(60)에서의 반사에 의해 표시판(60)의 배면 주변영역에 도달하는 빛의 입사각은 작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형광등(3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반사시켜 보다 작은 입사각으로 표시판(60)의 주변영역으로 안내하도록 광분산판(70)을 본체(11)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형광등(3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 중 표시판(60)의 전면휘도에 기여하는 유효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광분산판(70)을 형광등(30)의 양측에 하나씩 설치함으로써, 형광등(3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 중 표시판(60)의 전면휘도에 기여하는 유효광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광분산판(70)에 도선안내홈(73b)을 형성함으로써, 충전배터리(55)와 피시비(53)사이의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광분산분판(70)에 지지판부(73)를 마련하여 본체(11)의 바닥면에 광분산판(70)이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반사판부(72)의 양단에 형광등(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를 본체(11)의 상방측벽과 하방측벽에 고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광분산판(70)을 본체에 지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형광등의 주위에 광분산판을 설치하여 형광등으로부터 발광되는 빛 중 표시판의 전면휘도에 기여하는 유효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표시판의 전면의 휘도가 적정값으로 유지되도록 형광등을 발광시키기 위한 소비전력이 감소된다.

Claims (3)

  1.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함체에 설치되는 반투명재질의 표시판과, 형광관과 상기 형광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밀폐스템과 상기 각 밀폐스템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형광관의 내부로부터 상기 각 밀폐스템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2쌍의 접촉핀을 가지고 상기 형광관이 상기 표시판의 후방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형광등과, 상기 형광등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형광등의 접촉핀과 상기 전원공급부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소켓을 갖는 피난유도등에 있어서,
    안내판부와 상기 안내판부로부터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반사판부를 가지고, 상기 안내판부가 상기 표시판에 나란하고 상기 반사판부가 상기 형광등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분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산판은 상기 형광등의 양측에 하나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산판은 상기 반사판부로부터 경사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고, 연부에는 도선안내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등.
KR20-2003-0040420U 2003-12-29 2003-12-29 피난유도등 KR200345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420U KR200345343Y1 (ko) 2003-12-29 2003-12-29 피난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420U KR200345343Y1 (ko) 2003-12-29 2003-12-29 피난유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343Y1 true KR200345343Y1 (ko) 2004-03-18

Family

ID=4934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420U KR200345343Y1 (ko) 2003-12-29 2003-12-29 피난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3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3130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ибор, содержащий средства подвески, установленные на кронштейне прибора
KR200345343Y1 (ko) 피난유도등
JP4210808B2 (ja) 照明装置
CN110715258B (zh) 光导
JPH113605A (ja) 通路用誘導灯
JP3852687B2 (ja) 表示用照明器具
JP3040473U (ja) 発光表示器
KR200359217Y1 (ko) 피난유도등
KR200346990Y1 (ko) 피난유도등
JP3246555B2 (ja) 照明装置および誘導灯装置
JPH0982126A (ja) 照明器具
JP4139988B2 (ja) 誘導灯装置
EP1282893A1 (en) Illuminated sign with emergency lighting function
CN218763018U (zh) 间接照明灯具
CN218327625U (zh) 一种多功能的端盖连接器和条形灯
CN212565647U (zh) 照明灯具的出光罩及照明灯具
US20020009920A1 (e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with detachable connection cord
CN218268720U (zh) 一种平板灯
JPH11134931A (ja) 階段の照明装置
JP7442119B2 (ja) 照明器具
KR200243209Y1 (ko) 램프 어셈블리
KR200304906Y1 (ko) 피난구 유도등
JP2719232B2 (ja) 照明器具
EP1275102A1 (en) Sign cartridge
JP2014160641A (ja) 蛍光管ケース及び蛍光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