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710Y1 - 폐차 파쇄기 - Google Patents

폐차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710Y1
KR200344710Y1 KR20-2003-0040019U KR20030040019U KR200344710Y1 KR 200344710 Y1 KR200344710 Y1 KR 200344710Y1 KR 20030040019 U KR20030040019 U KR 20030040019U KR 200344710 Y1 KR200344710 Y1 KR 200344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case
coupled
crush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봉
Original Assignee
(주)뉴코리카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코리카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뉴코리카산업개발
Priority to KR20-2003-0040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7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7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83Feed means us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2018/162Shape or inner surface of shredder-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차와 같은 대형 금속 피파쇄물을 잘게 파쇄하기 위하여 금속 재생처리공정에 설치되는 폐차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폐차를 일정두께로 압착하여 배출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대(10)와, 일정 높이의 지지대(21)의 상부에 안착된 본체케이스(20)와, 상기 본체케이스(20) 내부에 장착되며 구동모터(31)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파쇄롤(30)과, 상기 파쇄롤(30)의 하부에 배치되어 파쇄작용을 하는 한 개 이상의 고정날(40)과, 파쇄된 스크랩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대(50)와, 상기 본체케이스(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개폐용 실린더(63)에 의하여 상기 본체케이스(20)의 상부가 개폐되는 본체커버(60)로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폐차 파쇄기{shredder for disused car}
본 고안은 주로 승용차 등 소형차를 처리하기 위한 폐차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폐차와 같은 대형 금속 피파쇄물을 잘게 파쇄하기 위하여 금속 재생처리공정에 설치되는 폐차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마이카시대를 거쳐 국내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많은 자동차가 보급되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증가되는 폐차처리 문제가 점차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차는 주로 강도가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잡하고 수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일일이 수작업으로 해체하고 소망하는 크기로 파쇄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스크랩을 생산하는데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어 있으며 나날이 늘어나는 폐차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폐차를 소망하는 크기의 스크랩으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폐차용 파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차 파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예시한 파쇄롤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차 파쇄기의 작동상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공급대 11; 피딩롤러 12; 요철 20; 본체케이스
21; 지지대 30; 파쇄롤 31; 구동모터 32; 구동축
33; 회전축 34; 디스크 35; 홈부 36; 파쇄날
37; 슬립라이닝 38; 구멍 39; 고정봉 40; 고정날
50; 배출대 60; 본체커버 61; 통로입구 62; 힌지
63; 개폐용 실린더 64; 회수통로 65; 후크 66; 힌지
67; 후크작동용 실린더 70; 게이트 71; 게이트작동용 실린더
본 고안은, 하향 경사상으로 설치되며 폭방향으로 1개 이상의 피딩롤러(11)가 장착되어 폐차를 일정두께로 압착하여 배출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대(10)와, 상기 공급대(10)의 배출측에 연이어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지지대(21)의 상부에 안착된 본체케이스(20)와, 상기 본체케이스(20) 내부에 장착되며 구동모터(31)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파쇄롤(30)과, 상기 파쇄롤(30)의 하부에 상기 파쇄롤(30)의 회전윤곽을 따라 배치되어 파쇄작용을 하며 파쇄된 스크랩이 하부로 낙하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상기 본체케이스(20)에 설치한 한 개 이상의 고정날(40)과, 상기 고정날(40) 및 본체케이스(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파쇄된 스크랩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대(50)와, 상기 공급대(10)의 배출측으로부터 공급되는 폐차가 진입될 수 있도록 통로입구(61)를 갖도록 상기 본체케이스(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개폐용 실린더(63)에 의하여 상기 본체케이스(20)의 상부가 개폐되는 본체커버(60)로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차 파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예시한 파쇄롤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차 파쇄기의 작동상태 측단면도
상기 공급대(10)는 하향 경사상으로 설치된 것으로 폐차공급용 컨베이어(1)를 통하여 공급된 폐차가 공급대(10)에 도달하면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하였으며 이 공급대(10)에는 3개의 피딩롤러(11)를 설치하여 폐차가 통과하면 일정두께로 압착되어 배출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피딩롤러(11)들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그 외주면에는 평기어와 같은 요철(12)이 무수히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첫 번째 피딩롤러(11)는 폐차의 상부를 일차적으로 압축시키기 위한 것이고 한쌍으로 된 두 번째 피딩롤러(11)는 폐차의 상하부에서 최대한 압축하여 소망하는 두께의 피파쇄물로 형성하여 배출측의 통로입구(61)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케이스(20)는 일정 높이의 지지대(21)에 안착되어 공급대(10)의 배출측과 연이어 설치된 것으로, 이 본체케이스(20) 내부에는 구동모터(31)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파쇄롤(3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파쇄롤(30)은 구동모터(31)의 구동축(32)과 직결되는 회전축(33)과 상기 회전축(33)상에 중첩되게 결합한 복수개의 디스크(34)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크(34)의 일측면에는 대략 삼각형상으로된 복수개의 홈부(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35)에는 파쇄날(35)과 슬립라이닝(37)이 교번으로 결합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홈부(35)의 중간에는 각각 구멍(38)이 형성되고 상기 파쇄날(35)과 슬립라이닝(37)에 끼움공을 형성하여 고정봉(39)으로 동축상에 결합시켰다. 이때, 상기 슬립라이닝(37)의 외단부는 디스크(34)의 외단부 보다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디스크(34)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파쇄날(35)은 슬립라이닝(37) 보다 더 돌출되게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홈부(35)에서 상기 고정봉(39)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서 파쇄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디스크(34)는 회전축(33)상에 용접하거나 키박음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예시한 슬립라이닝(37)은 파쇄날(35)이 결합되지 않은 디스크(34)의 홈부(35)를 커버(60)링하면서 디스크(34)의 외측단면이 마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RUG합하였으며 파쇄날(35)과 마찬가지로 교체 가능한 소모성 부품이다.
예시한 파쇄날(35)은 크롬, 니켈, 망간이 포함된 고강도 합금강으로 주조된 것으로 그 외측 단면이 통상의 헤머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날(40)은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한 파쇄날(35)과 같은 재질로서 파쇄롤(30)의 하부에 파쇄롤(30)의 회전윤곽을 따라 파쇄롤(3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이 고정날(40)은 파쇄롤(30)의 회전시에 파쇄작용을 하게되며 파쇄된 스크랩이 하부로 낙하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상기 본체케이스(20)에 설치한다. 상기 고정날(40)이 한 개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통로입구(61) 쪽에만 설치된다.
배출대(50)는 고정날(40) 및 본체케이스(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 배출대(50)는 완충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대(21)와 함께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배출대(50)의 하부에 고정된 진동모터의 작동으로 스크랩이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출대(50)를 통하여 배출된 스크랩은 스크랩이송용 컨베이어(2)에 의하여 금속과 비금속을 분리하는 작업을 위한 설비로 이송된다.
본체커버(60)는 공급대(10)의 배출측으로부터 공급되는 폐차가 진입될 수 있도록 통로입구(61)를 갖도록 본체케이스(20)의 상부에 힌지(62)로 결합된 것으로, 개폐용 실린더(63)에 의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가 힌지(62)를 중심으로 개폐된다.
상기 본체커버(60)는 평상시에 스크랩과 분진이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파쇄롤(30)의 수리나 부품의 교체시에 개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케이스(20)의 양측면에는 각각 힌지(66)로 결합된 후크(65)가 구비되고 이 후크(65)는 후크작동용 실린더(67)에 의하여 상기 본체 커버(60)를 본체케이스(20)에 안전하게 록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본체케이스(20)의 정면 상단에는 게이트(7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게이트(70)를 게이트작동용 실린더(71)의 작동에 따라 상기 통로입구(61)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미설명 부호 64는 본체케이스(20) 및 본체커버(60) 내부에 형성된 '회수통로' 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폐차공급용 컨베이어(1)에 의하여 차례로 이송되는 폐차는 공급대(10)에 이르러 자체 중량에 의하여 하부로 미끄러져 내려간 후에, 회전되는 첫 번째 피딩롤러(11) 및 한쌍의 피딩롤러(11)를 통과하면서 폐차는 적당한 두께로 압축된다. 압축된 폐차는 공급대(10)의 배출측을 통하여 통로입구(61)로 진입된다. 이때 구동모터(31)에 의하여 회전되는 파쇄롤(30)의 파쇄날(35)과 고정날(40)의 파쇄작용에 의하여 일정두께의 폐차는 작은 크기의 이때, 헤머형태로 형성된 파쇄날(35)의 외측단부는 고정날(40)을 기반으로 압축된 폐차를 타격함으로 폐차가 작은 크기로 조각나고, 이때 과도한 힘이 파쇄날(35)에 전달되면 파쇄날(35)은 고정봉(39)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홈부(35)가 형성된 구간)패쇄롤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무리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같이 파쇄롤(30)에 의하여 분쇄된 스크랩은 본체케이스(20)의 하부로 낙하되며, 파쇄롤(30)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향으로 비산된 스크랩은 본체케이스(20) 및 본체커버(60) 내부에 형성된 회수통로를 통하여 배출대(50)로 낙하된다.
본체케이스(20)의 하부로 낙하된 스크랩은 진동모터에 의하여 진동되는 배출대(50)에 의하여 배출되고, 배출대(50)와 연이어 설치된 스크랩이송용 컨베이어(2)를 통하여 이송되며, 이후 도시하지 않은 금속과 비금속을 분리하는 선별기로 공급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연속적으로 자동차를 일정 두께로 압축한 다음 잘게 부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장치의 점검 또는 부품의 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개폐용 실린더(63)를 작동시켜 본체커버(60)를 열면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폐차를 소망하는 크기의 스크랩으로 신속하게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폐차처리능력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단일한 파쇄롤(30)에 파쇄작용을 하게 됨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재활용하기에 적당한 작은 크기의 스크랩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폐차처리의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는 중요 설비로서 폐차처리분야의 발전에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하향 경사상으로 설치되며 폭방향으로 1개 이상의 피딩롤러(11)가 장착되어 폐차를 일정두께로 압착하여 배출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대(10)와,
    상기 공급대(10)의 배출측에 연이어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지지대(21)의 상부에 안착된 본체케이스(20)와,
    상기 본체케이스(20) 내부에 장착되며 구동모터(31)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파쇄롤(30)과,
    상기 파쇄롤(30)의 하부에 상기 파쇄롤(30)의 회전윤곽을 따라 배치되어 파쇄작용을 하며 파쇄된 스크랩이 하부로 낙하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상기 본체케이스(20)에 설치한 한 개 이상의 고정날(40)과,
    상기 고정날(40) 및 본체케이스(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파쇄된 스크랩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대(50)와,
    상기 공급대(10)의 배출측으로부터 공급되는 폐차가 진입될 수 있도록 통로입구(61)를 갖도록 상기 본체케이스(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개폐용 실린더(63)에 의하여 상기 본체케이스(20)의 상부가 개폐되는 본체커버(6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파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롤(30)은 구동모터(31)의 구동축(32)과 직결되는회전축(33)과 상기 회전축(33)상에 중첩되게 결합한 복수개의 디스크(34)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크(34)의 일측면에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된 복수개의 홈부(35)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홈부(35)에는 파쇄날(35)과 슬립라이닝(37)을 교번으로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파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35)의 중간에는 각각 구멍(38)을 형성하고 상기 파쇄날(35)과 슬립라이닝(37)에 끼움공을 형성하여 고정봉(39)으로 동축상에 결합시키되, 상기 슬립라이닝(37)의 외단부는 디스크(34)의 외단부 보다 돌출되게 결합하고, 상기 파쇄날(35)은 슬립라이닝(37) 보다 더 돌출되게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홈부(35)에서 상기 고정봉(39)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파쇄기.
KR20-2003-0040019U 2003-12-24 2003-12-24 폐차 파쇄기 KR200344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019U KR200344710Y1 (ko) 2003-12-24 2003-12-24 폐차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019U KR200344710Y1 (ko) 2003-12-24 2003-12-24 폐차 파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96011A Division KR100558141B1 (ko) 2003-12-24 2003-12-24 폐차 파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710Y1 true KR200344710Y1 (ko) 2004-03-18

Family

ID=49426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019U KR200344710Y1 (ko) 2003-12-24 2003-12-24 폐차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7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066B1 (ko) * 2009-10-27 2011-12-1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코킹 스트립 절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066B1 (ko) * 2009-10-27 2011-12-1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코킹 스트립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970B1 (ko) 회전 텀블러 및 금속 리클레이머
JP4204550B2 (ja) 粉砕装置
US4592516A (en) Coal breaker and sorter
US3887141A (en) Impact-attrition mill utilizing air flow
JPS5850139B2 (ja) ハンマ−・クラッシャ−
US3283698A (en) Refining apparatus
EP0894025B1 (en) Covered rotating drum grinding machine
KR101404440B1 (ko) 폐원자재 재활용 처리 장치
US5632380A (en) Ferrous material recovery system
KR200344710Y1 (ko) 폐차 파쇄기
KR100793167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 입도개선, 몰탈제거, 선별, 모래생산용눈막힘방지장치용 드럼벨
KR100570901B1 (ko)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KR100558141B1 (ko) 폐차 파쇄기
KR200371484Y1 (ko) 폐차 파쇄기
KR102418742B1 (ko) 분리 가능한 폐기물 분쇄기용 파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폐기물 분쇄기
KR100705773B1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KR102115578B1 (ko) 폐기물 분쇄기
KR200351358Y1 (ko) 파쇄력이 향상된 삼축 파쇄기
CN211160016U (zh) 一种金属物料的粉碎装置
KR20210154636A (ko) 폐차처리능력이 우수한 폐차 파쇄기
CN212595971U (zh) 一种建筑垃圾回收处理装置
RU2072262C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WO2000071257A1 (en) Reducer and separator for preparing gypsum board and other products for recycling
US3667691A (en) Method for crushing metal turnings
KR20120048405A (ko) 슈레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2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