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664Y1 -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664Y1
KR200344664Y1 KR20-2003-0039165U KR20030039165U KR200344664Y1 KR 200344664 Y1 KR200344664 Y1 KR 200344664Y1 KR 20030039165 U KR20030039165 U KR 20030039165U KR 200344664 Y1 KR200344664 Y1 KR 200344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guide
transfer
punching press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형
이승호
손상기
Original Assignee
박진형
손상기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형, 손상기, 이승호 filed Critical 박진형
Priority to KR20-2003-0039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6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6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는, 펀치 다이에 놓인 가공 대상재를 펀치로 타공하여 소정 형상의 홀을 만드는 펀치 유닛과, 대상재를 클램핑하여 펀치 다이와 펀치 사이에 위치시키는 이송 가이드와, 전동 구동에 의해 이송 가이드를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전동이송수단과, 전동 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 가이드를 X축 방향과 수직인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전동이송수단과, X,Y축 전동이동수단을 자동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타공 작업 후 복귀하는 펀치에 대상재가 붙어서 따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상방지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상기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는, 자동으로 이송 가이드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펀칭된 대상재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NC Automatic Punching Press Apparatus}
본 고안은 금속소재 등에 프레스(Press) 가공을 하는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상재를 수치 제어에 의하여 자동으로 펀칭(Punching)하는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Numerical control automatic punching press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펀칭 프레스 장치는 철판 등의 소재에 원하는 형상의 홀(Hole)을 천공하는 것과 같이 전단가공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단가공에 사용되는 펀칭 프레스 장치로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바와 같은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펀칭 프레스 장치의 본체 프레임(Body frame;110)에는 펀치 유닛(Punch unit;140)과 대상재의 이송 유닛(Transfer unit;180)이 구비되어 있다.
먼저, 상기 펀치 유닛(140)은 상기 펀칭 프레스 장치의 본체 프레임(110) 상부에 설치되는 펀치부(120)와, 이에 대응되도록 그 하방에 설치된 펀치 다이(130)를 포함한다.
상기 펀치부(120)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110) 내부에 장착되는 실린더(Cylinder;121)와, 이 실린더(121)에 내장되는 램(Ram;122)과, 이 램(122)에 장착되며 펀치(124)가 결합되는 펀치 클램퍼(Punch clamper;123) 및 이 펀치 클램퍼(123)에 결합되는 펀치(124)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121) 내의 유압 작용에 의하여 램(122)은 펀치(124)를 펀치 다이(130)쪽으로 밀어내고, 이 펀치 다이(130)에 놓인 대상재(미도시)는 펀치(124)에 의하여 펀칭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 유닛(180)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110)의 하부에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50)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50) 상에 장착되어 베드(Bed;160)를 슬라이드(Slide) 되게 하는 Y축 가이드 레일(Y axis guide rail;151)과, 대상재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클램퍼(Clamper;17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드(160) 상면에 장착된 이송 가이드(Transfer guide;170)와, 이 베드(160) 상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 가이드(170)를 슬라이드 되게 하는 X축 가이드 레일(X axis guide rail;161) 및 상기 이송 가이드(170)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X축가이드 레일(161)에 접촉하여 상기 이송 가이드(170)를 슬라이드 되게 하는 이송 블록(Transfer block;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 가이드(170)는 가공될 대상재를 상기 본체 프레임(110)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이송하여 적절히 가공되게 한다.
그런데, 상기된 바와 같이 종래의 펀칭 프레스 장치에 의한 펀칭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이송 가이드(170)를 본체 프레임(110)에 대하여 전후, 좌우로 이동되게 하려면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사람의 수작업에 의하여 작업을 하게 되면 생산성도 저하되고, 만일 다수의 펀칭 프레스 장치가 있는 경우 그 장치 수에 따라 그 만큼 작업 인원도 요구되므로 인건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둘째, 상기 클램퍼(171)에 고정된 대상재를 상기 펀치 다이(130)에 놓고 펀칭하는 경우 대상재에 인접한 양 끝만 클램퍼(171)로 고정되기 때문에 펀칭 후 대상재의 천공된 부분과 펀치가 끼어 펀치(124)가 위로 복원되는 경우 상기 펀칭된 대상재의 고정되지 않은 양 끝도 따라 올라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펀치(124)에 끼어있는 대상재를 빼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세째, 상기 펀칭 프레스 장치에는 상기 이송 가이드(170)에 장착된 상기 클램퍼(171)의 높이를 조절하는 부재가 없어 상기 펀치 다이(130)와 펀치(124) 사이의 간격이 변동될 경우 그에 대한 상기 클램퍼(171)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이송 가이드가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전후, 좌우로 X,Y축 전동이송수단에 의하여 X,Y축 방향을 따라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대상재의 펀칭 작업 후 펀치가 원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상기 대상재가 펀치에 끼어 따라 올라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더욱이, 펀치와 다이의 간격 변동에 대응하여 대상재가 고정되는 클램퍼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펀칭 프레스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중 이송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중 높이조절수단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중 전동이송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중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중 이송 블록을 나타낸 저면도,
도 8은 도 6 및 도 7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중 부상방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부상방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작동 과정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레일과 이송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본체 프레임 330... 높이조절수단
340... 이송 가이드 341... 클램퍼
343... 너트 하우징 350... 베드
353, 373... 이송 스크류 352, 372... 모터 구동부
370... 베이스 플레이트 390... 부상방지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펀치 다이에 놓인 가공 대상재를 펀치로 타공하여 소정 형상의 홀을 만드는 펀치 유닛과, 상기 대상재를 클램핑하여 상기 펀치 다이와 펀치 사이에 위치시키는 이송 가이드와, 전동 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 가이드를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전동이송수단과, 전동 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 가이드를 상기 X축 방향과 수직인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전동이송수단과, 상기 X,Y축 전동이송수단을 자동 제어하는 콘트롤러(Controller) 및 타공 작업 후 복귀하는 상기 펀치에 상기 대상재가 붙어서 따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상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X축 전동이송수단은 상기 이송 가이드를 X축 방향으로 직접 이송시키고, 상기 Y축 전동이송수단은 상기 X축 전동이송수단을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이송 가이드를 이송시키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X축 전동이송수단은 상기 이송 가이드에 구비된 너트 하우징(Nut housing)과 결합하는 이송 스크류(Transfer screw)와, 상기 이송 스크류를 구동하는 모터(Motor) 구동부와, 베드 위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 가이드가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이송 가이드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는 이송 블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Y축 전동이송수단은 상기 베드에 구비된 너트 하우징과 결합하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와,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장착되어 상기 베드를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베드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는 이송 블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 블록은 내부에 형성된 서큘러 아크(Circular arch) 홈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 볼(Slide ball)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사각봉 모양에 상기 슬라이드 볼과 접촉하는 부분이 서큘러 아크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원형봉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상방지수단은 상기 펀치의 외주면과 미소 갭(Gap)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상기 펀치가 타공 후 복귀될 때 그 펀치에 붙어서 따라가는 대상재의 부상 경로를 막는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상방지수단은 펀치 양측에 대칭 배치되어 압축 공기에 의하여 상기 펀치가 복귀될 때 그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며 상기 대상재를 가압하는 간섭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 가이드에는 상기 대상재를 클램핑하는 클램퍼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클램퍼에 결합된 연결봉과, 상기 클램퍼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된 한 쌍의 하우징과, 상기 각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에 상승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연결봉에 조임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에는, 대상재를 펀칭하는 펀치 유닛(320)과, 대상재를 클램핑하여 펀칭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 가이드(340)와, 이 이송 가이드(340)를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X,Y축 전동이송수단(360)(380)과, 이 X,Y축 전동이송수단(360)(380)을 자동 제어하는 콘트롤러(200) 및 펀칭된 대상재의 부상 방지를 위한 부상방지수단(390)이 구비되어있다.
이 중에서, 상기 펀치 유닛(320)에는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310) 내측에 장착된 실린더(321)와, 이 실린더(321)에 내장된 램(322)과, 이 램(322)의 하측에 장착되며 펀치(324)를 고정하는 펀치 클램퍼(323)와, 이 펀치 클램퍼(323)에 장착되는 펀치(324) 및 이 펀치(324)에 대향하여 대상재(미도시)가 놓이는 펀치 다이(325)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321) 내의 유압에 의하여 상기 램(322)이 밀려나오면, 이 램(322)에 고정된 펀치(324)는 상기 펀치 다이(325)에 놓여진 대상재를 타발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이송 가이드(34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상기 이송 가이드(340)에 설치된 높이조절수단(33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가이드(340)에는, 상면에 장착되어 대상재를 고정하는 다수의 클램퍼(341)와, 이 클램퍼(341)와 연결봉(342)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클램퍼(341)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33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수단(330)은 상기 클램퍼(341)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된 한 쌍의 하우징(334)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334)에는 상기 연결봉(342)에 상승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33)와, 상기 탄성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연결봉(342)에 조임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하우징(334)에 결합된 볼트(3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333)와 볼트(331) 사이에 상기 연결봉(342)이 연결봉 고정부재(332)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클램퍼(341)의 높이를 올리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체(333)가 팽창되어 상기 연결봉(342)이 위로 올라가도록 상기볼트(331)를 풀고, 상기 클램퍼(341)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서는 상기 볼트(331)를 조여 상기 탄성체(333)가 수축되면서 상기 연결봉(342)이 아래로 내려가게 하면 원하는 높이의 클램퍼(341)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상기 X,Y축 전동이송수단(360)(380)을 보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상기 이송 블록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도 6과 도 7의 결합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Y축 전동이송수단(360)(380)에는, 상기 이송 가이드(340)를 X축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X축 전동이송수단(360)과, 상기 이송 가이드(340)를 Y축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Y축 전동이송수단(380)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은 수치제어를 수행하는 상기 콘트롤러(200)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이송 가이드(340)를 원하는 위치로 보내게 된다. 상기 X축 전동이송수단(360)에는, 상기 이송 가이드(340)의 너트 하우징(343)과 결합하여 상기 이송 가이드(340)를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이송 스크류(353)가 있고, 이 X축 이송 스크류(353)의 일측에 장착되어 이 X축 이송 스크류(353)의 동작을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35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Y축 전동이송수단(380)에는, 상기 베드(350)의 너트 하우징(미도시)과 결합하여 상기 이송 가이드(340)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 스크류(373)가 있고, 이 Y축 이송 스크류(373)의 일측에 장착되어 이 Y축 이송 스크류(373)의 동작을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37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X,Y축 전동이송수단(360)(380)에는 상기 이송 가이드(340)를 상기 본체 프레임(310)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가이드 레일(420)과 이송 블록(400)도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42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70)와 상기 베드(350) 상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블록(400)은 상기 베드(350)와 상기 이송 가이드(340)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420)은 사각봉 모양에 후술할 슬라이드 볼(410)과 접촉하는 부분이 서큘러 아크(Circular arch) 구조로 되어 상기 슬라이드 볼(410)과 1점 접촉이 되어 이송 저항값을 낮추어 상기 슬라이드 볼(410)이 잘 미끄러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 블록(400)은 하면에 서큘러 아크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큘러 아크 홈에 슬라이드 볼(410)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볼(410)은 상기 서큘러 아크 홈과 상기 가이드 레일(420)에 2점 접촉을 하고 있어 상기 슬라이드 볼(410)이 미끄러지는 경우 종래의 4점 접촉보다 이송 저항값이 작게 되어 잘 미끄러지게 된다.
도 9는 상기 부상방지수단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상방지수단(390)에는, 상기 펀치(324)의 외주면과 약간의 갭(Gap)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펀치(324)가 타공된 후 복귀될 때 그 펀치(324)에 붙어서 따라 올라가는 대상재의 부상을 막는 간섭부재(39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간섭부재(391)는 상기 펀치(324)를 "ㄷ"자 형으로 둘러싸고 있어 펀칭 후 복귀되는 펀치(324)는 상기 간섭부재(391)를 통과할 수 있으나, 상기 펀치(324)에 붙어서 따라 올라오는 대상재는 상기 간섭부재(391)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펀치(324)에서 떨어져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대상재의 펀칭 작업시에는 먼저, 상기 이송 가이드(340)에 장착된 상기 클램퍼(341)에 대상재를 고정한 후 상기 대상재의 두께에 맞게 상기 높이조절수단(330)를 조작하여 상기 클램퍼(341)의 적정 높이를 세팅한다. 그 후 상기 대상재의 펀칭될 위치를 선택하고 상기 모터 구동부(352)(372)를 작동하여 상기 X,Y축 이송 스크류(353)(373)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X,Y축 이송 스크류(353)(373)에 결합된 상기 이송 가이드(340)는 전후,좌우로 이송되어 상기 대상재를 상기 펀치 다이(325)에 적절히 위치시켜 타발되게 한다.
도 10은 부상방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상방지수단(500)에는, 펀치 유닛(510)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유압에 의하여 펀치(514)가 복귀될 때 그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는 간섭부재(5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간섭부재(520)는 상기 펀치(514)가 타발된 후 원위치로 복귀될 때 유압에 의하여 돌출되어 상기 펀치 다이(540) 위에 있는 대상재(530)를 누르고 상기 펀치(514)는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펀치(514)에 끼어 있던 상기 대상재(530)는 상기 펀치(514)가 복귀되더라도 상기 간섭부재(520)에 의하여 떨어지게 된다.
한편, 도 6에서는 이송 블록을 슬라이드 시키는 가이드 레일로써 사각봉 모양을 예시하였으나, 그 외에도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원형봉(610)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이송 블록(620)은 상기 원형봉(610)과 접촉되는 면이 원형인 것을 이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이송 가이드가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전후, 좌우로 X,Y축 전동이송수단에 의하여 X,Y축 방향을 따라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으므로, 사람의 수작업에 의한 생산성 저하 및 다수의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에 대응하여 작업 인원이 증가되는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둘째, 대상재의 펀칭 작업 후 펀치가 원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상기 대상재가 펀치에 끼어 따라 올라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펀치에 끼어있는 대상재를 빼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인력의 낭비는 해결될 수 있다..
셋째, 펀치와 펀치 다이의 간격 변동에 대응하여 대상재가 고정되는 클램퍼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1)

  1. 펀치 다이에 놓인 가공 대상재를 펀치로 타공하여 소정 형상의 홀을 만드는 펀치 유닛과;
    상기 대상재를 클램핑하여 상기 펀치 다이와 펀치 사이에 위치시키는 이송 가이드와;
    전동 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 가이드를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전동이송수단과;
    전동 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 가이드를 상기 X축 방향과 수직인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전동이송수단과;
    상기 X,Y축 전동이송수단을 자동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타공 작업 후 복귀하는 상기 펀치에 상기 대상재가 붙어서 따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상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전동이송수단은, 상기 이송 가이드를 X축 방향으로 직접 이송시키고,
    상기 Y축 전동이송수단은, 상기 X축 전동이송수단을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이송 가이드를 이송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전동이송수단은, 상기 이송 가이드에 구비된 너트 하우징과 결합하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와;
    베드 위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 가이드가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및
    상기 이송 가이드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는 이송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Y축 전동이송수단은, 상기 베드에 구비된 너트 하우징과 결합하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와;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장착되어 상기 베드를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베드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는 이송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블록은, 내부에 형성된 서큘러 아크 홈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사각봉 모양에 상기 슬라이드 볼과 접촉하는 부분이 서큘러 아크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원형봉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방지수단은, 상기 펀치의 외주면과 미소 갭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상기 펀치가 타공 후 복귀될 때 그 펀치에 붙어서 따라가는 대상재의 부상 경로를 막는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방지수단은, 펀치유닛의 양측에 대칭 배치되어 유압에 의하여 상기펀치가 복귀될 때 그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며 상기 대상재를 가압하는 간섭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가이드에는, 상기 대상재를 클램핑하는 클램퍼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클램퍼에 결합된 연결봉과;
    상기 클램퍼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된 한 쌍의 하우징과;
    상기 각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에 상승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연결봉에 조임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KR20-2003-0039165U 2003-12-16 2003-12-16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KR2003446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165U KR200344664Y1 (ko) 2003-12-16 2003-12-16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165U KR200344664Y1 (ko) 2003-12-16 2003-12-16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921A Division KR20050060327A (ko) 2003-12-16 2003-12-16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664Y1 true KR200344664Y1 (ko) 2004-03-12

Family

ID=4934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165U KR200344664Y1 (ko) 2003-12-16 2003-12-16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6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559B1 (ko) * 2005-01-27 2006-10-13 이경근 항공기 동체용 판넬 드릴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559B1 (ko) * 2005-01-27 2006-10-13 이경근 항공기 동체용 판넬 드릴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92378B (zh) 一种用于金属加工的铜锭打孔设备
DE69932660T2 (de) Befestigungsvorrichtung des oberen Werkzeuges einer Biegepresse
CN210966579U (zh) 一种用于智能卡制造的冲孔设备
KR870001561B1 (ko) 펀치 프레스
JP2005096408A (ja) 折り曲げ形加工装置
CN105964763A (zh) 一种冲孔生产主机
KR200344664Y1 (ko)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KR900701425A (ko) 절곡기의 공구위치 제어장치
KR20050060327A (ko)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KR102033100B1 (ko) 프로그래시브 다이셋
US20090133592A1 (en) Stop Block for Stamping Presses
JP3167753B2 (ja) パンチプレス
CN216575072U (zh) 一种金属板材冲压机
CN211489222U (zh) 一种冲孔机
JP3618162B2 (ja) プレス装置
CN214556875U (zh) 一种用于板料加工的液压装置
CN217373575U (zh) 一种四柱结构具备上料方便的液压机
ITVE20010018U1 (it) Macchina punzonatrice per nastri di lamiera
CN210023418U (zh) 一种带收集功能的冲孔机
CN217595601U (zh) 一种高效的冲压机
CN218874359U (zh) 压合装置
CN220636127U (zh) 一种全自动压弧机防护装置
CN220240704U (zh) 一种汽车用金属板材的辅助定位装置
KR200346992Y1 (ko) 블랭킹용 프레스장치
CN209452593U (zh) 一种自动送料及落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