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136Y1 - 보조미러가 장착된 룸미러 - Google Patents

보조미러가 장착된 룸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136Y1
KR200344136Y1 KR20-2003-0038189U KR20030038189U KR200344136Y1 KR 200344136 Y1 KR200344136 Y1 KR 200344136Y1 KR 20030038189 U KR20030038189 U KR 20030038189U KR 200344136 Y1 KR200344136 Y1 KR 200344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room mirror
room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진석
Original Assignee
호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진석 filed Critical 호진석
Priority to KR20-2003-0038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1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1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룸미러에 형성된 수납공간 내에 삽입되어 필요에 따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조미러를 설치하여 차량의 후방은 물론 차량 실내의 뒷좌석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 보조미러가 장착된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조미러가 장착된 룸미러{Room mirror with auxiliary mirror}
본 고안의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룸미러에 형성된 수납공간 내에 삽입되어 필요에 따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조미러를 설치하여 차량의 후방은 물론 차량 실내의 뒷좌석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 보조미러가 장착된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전함에 있어서 전방 주시와 함께 좌우측의 상황과 후방의 상황을 세심하게 살펴보며 상황변화를 감안하여 운전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차량에는 좌우측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일명 사이드미러와 후방측을 감시할 수 있는 룸미러가 설치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룸미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외부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미러에서 확인이 불가능한 중앙부의 후방을 감시하기 위하여, 도 4의 (a) 및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 중앙 상부에 룸미러(100)를 장착하고 있는 바, 이는 미러 몸체(110)에 거울(120)을 부착하여 구성하되, 홀더(130)에 의하여 운전석 앞부분의 차량 천정 또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고정되어 있다.
특히, 홀더(130)와 미러 몸체(110)는 볼 조인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 홀더(130)의 단부에 고착된 볼조인트(200)에 의하여 미러 몸체(110)가 사방으로 회전됨으로써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룸미러(100)는 볼조인트(200)에 의해 각도를 조절하여 자동차의 중앙 후방을 감시하여 차량의 안전 운행에 도움을 주거나 뒷좌석의 상태를 관찰하여 탑승자의 안전사고을 예방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룸미러는 차량의 후방을 관측하기에 적합한 각도로 조절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뒷좌석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룸미러를 조작하여 각도를 조절해서 사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운전 중의 각도 조절 동작으로 인한 안전의 위험성은 물론 원래의 후방 관측 상태로 되돌리는 경우에도 안전의 문제와 정확한 원 각도로의 복귀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1996-36132호가 제안되었다. 도 5는 위 출원에서의 차량의 보조 룸미러를 나타내는 구성도(a)와 사용상태도(b)로서, 이를 살펴보면, 상단에 레일삽입부(303)가 형성되어, 룸미러하우징(301)에 설치된 장착브라켓(304)의 안내레일(30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이 레일삽입부(303)의 양쪽 측면에는 걸림돌기(307)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브라켓(304)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306)에 끼워져 설치되어, 룸미러와 보조룸미러를 통해 후방의 뒷좌석은 물론 차량의 후방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게 됨으로써, 룸미러를 조절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따라서 사고의 위험도 줄어들게 되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개량 고안은 주된 룸미러의 각도를 조절함이 없이 보조 미러를 통하여 간편하게 차량의 뒷좌석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하였으나, 장공(306)을 갖는 장착브라켓(304)의 구성으로 인해제작의 곤란성 또는 공정수 증가에 따른 제작비 상승이란 현실적 문제점으로 인하여 채택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룸미러에 대한 개량으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1996-37257호가 제안되었다. 도 6은 위 출원에서의 보조미러가 설치된 룸미러를 나타내는 사시도(a)와 배면사시도(b)로서, 이를 살펴보면, 미러몸체(401a) 양측에 설치되어 사각지대의 발생을 억제하는 보조미러(7,7a)와, 상기 보조미러(7,7a)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재(6a,6b)와, 미러몸체(1a)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바(2,2a)로 구성되어, 미러몸체(401a)의 양측에 설치된 각도조절이 가능한 보조미러(7,7a)를 통하여 넓은 후방 시야의 확보는 물론 동시에 뒷좌석의 시야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고안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개량 고안도 생산비의 증대에 따른 현실적 적용의 어려움과 전방 시야를 좁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과 간편한 사용 상태로 인해 전방 시야의 손상 없이 후방 시야의 극대화와 뒷좌석 관찰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비사용시 외관의 손상없이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미러가 장착된 룸미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룸미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미러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미러가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룸미러를 도시한 사시도 (a)와 측단면도 (b),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의 보조 룸미러를 나타내는 구성도(a)와 사용상태도(b),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보조미러가 설치된 룸미러를 나타내는 사시도(a)와 배면사시도(b).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룸미러 본체, 12...관통부,
20...연결부, 22...원봉상객체,
24...힌지체, 26...구형 결합구,
30...보조미러, 32...조절돌기,
34...회동결합부, 36...공동.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보조미러가 장착된 룸미러는 룸미러 본체, 연결부 및 보조미러로 구성되며, 상기 룸미러 본체는 내부에 공동이 있고, 일측 하부 종단면에 내외를 관통하는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다수개의 원봉상객체가 결합된 안테나 형태로서, 일측 종단에는 힌지체를 구비하고, 타측 종단은 절곡되어 절곡된 종단면에 구형 결합구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미러는 평판상체의 틀 내부 전면에 거울이 부착되고, 상부 종단 적소에 외향 돌출하는 조절돌기가 구비되며, 후면 중앙에 외향 돌출하는 회동결합부가 구비되되, 상기 회동결합부는 일측이 개구되는 형태로 내부에 공동을 갖는 원통형 중공체이며, 상기 연결부는 힌지체를 통하여 룸미러 본체의 내부면 적소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보조미러는 회동결합부와 구형 결합구의 끼움 결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룸미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미러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미러가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룸미러는 종래 사용되어 온 통상의 룸미러와 일반적인 형태와 설치 방법은 동일하다.
본 고안에 의한 룸미러는 룸미러 본체(10), 연결부(20) 및 보조미러(30)로 구성된다.
상기 룸미러 본체(10)는 종래의 룸미러와 형태 및 구조는 동일하되, 일측 하부 종단면에 룸미러의 내외를 관통하는 관통부(12)가 형성된다. 즉, 룸미러의 내부는 특별한 장치가 없는 공동 구조이므로, 일측 하부 종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12)를 통하여 후술하는 보조미러(30)가 출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12)는 보조미러(30)의 단면형상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20)는 룸미러 본체(10)와 보조미러(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20)는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다수개의 원봉상객체(22)가 결합된 형태, 즉 차량용 안테나와 같은 형상체로서 사용상태에 따라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봉상객체(22)를 3개로 구성하였으나, 룸미러의 크기나 사용자 요구에 따라 2개 이상의 복수라면 어떤 개수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20)의 일측 종단으로 상기 원봉상객체 중 직경이 가장 큰 것(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 부호 22-1에 해당하는 원봉상객체)의 종단에는 힌지체(24)를 구비하여 상기 룸미러 본체(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며, 타측 종단은 적절한 각도 예컨대, 90°정도로 절곡한 후 절곡된 종단면에 구형 결합구(26)를 설치한다. 상기 구형 결합구(26)는 연결부(20)의 타측 종단면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그 결합력이 유지되는 형태라면 접착에 의한 결합, 용접에 의한 결합도 무방하며, 상기 원봉상객체 중 직경이 가장 작은 것,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 부호 22-3에 해당하는 원봉상객체(2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보조미러(30)는 평판상체의 틀 내부 전면에 거울이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부 종단 적소에는 외향 돌출하는 조절돌기(32)를 구비하며, 후면 중앙에는 외향 돌출하는 회동결합부(34)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결합부(34)는 일측이 개구되는 형태로 내부에 공동(36)을 갖는 원통형 중공체로서, 개구부는 공동의 지름보다 조금 작은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20)에 형성된 구형 결합구(26)가 강압에 의해 끼움결합되는 것은 가능하되 결합된 이후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보조미러(30)의 조절돌기(32)가 설치된 종단면과 반대되는 종단면은 보조미러(30)의 단면보다 전후좌우측의 크기를 조금 더 연장하여 구성함으로써 보관상태에서 상기 룸미러 본체(10) 하단에 형성된 관통부(12)를 폐색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보조미러가 장착된 룸미러는 우선 룸미러 본체(10)의 내부면 적소에 상기 연결부(20)의 힌지체(24)를 통하여 연결부(20)와 룸미러 본체(10)가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힌지결합에 의하여 XY축 기준의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20)의 타측 종단에 설치된 구형 결합구(26)는 보조미러(30)의 후면에 형성된 회동결합부(34)의 공동에 강압에 의한 끼움결합방식을 통하여 결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음은 물론 XYZ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보조미러가 장착된 룸미러는 일반적인 경우, 즉 보조미러를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룸미러로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조미러를 룸미러 본체(10)의 내부에 수납하여 두면 된다. 즉, 보조미러(30)에 형성된 조절돌기(32)를 이용하여 조절돌기(32)가 형성된 종단면이 하부를 향하도록 회동시킨 후, 연결부(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원봉상객체(22)를 차례로 접어 길이를 줄인 다음, 그 전체를 상기 관통부(12)를 통해 룸미러 본체(10) 내부에 수납하면 된다. 상기 연결부(20)는 다수의 원봉상객체(22)가 차량용 안테나와 같은 형상으로 끼움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보관시에는 길이가 최소화되도록 접어 둘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사용 상황에 따라 펼침으로써 적당한 길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수납에 있어서, 조절돌기(32)가 형성된 종단면의 반대 종단면이 크기가 보조미러(30)의 단면보다 약간 큰 경우에는 상기 관통부(12)을 완벽히 폐색함으로써 룸미러 본체(10)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 등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조미러(3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 수납동작과 반대로 보조미러(30)를 외부로 노출시키면 된다. 외부로 노출된 보조미러(30)는 감시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게 보조미러(30)에 형성된 조절돌기(32)을 이용하여 보조미러(30)를 회동시키며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래의 룸미러를 통해 차량 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본 고안에 의한 보조미러를 본래의 룸미러로 감시할 수 있는 위치 이외의 위치, 예컨대 차량의 실내 중 후방좌석의 일정 부분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후방과 차량 실내 전부를 완벽하게 감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미러(30)는 3축 기준의 회전운동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자가 거울의 사용을 필요로 할 경우 룸미러를 회전시키거나 햇볕가리개의 내측에 구비된 거울을 사용하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 보조미러를 사용자 위치까지 이동시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룸미러 구조를 크게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간단한 구조물을 부착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간편하게 운전자의 후방 상황을 완벽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시와 수납시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 편의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 사용이 가능하므로 외관미의 손상없이 설비의 사용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룸미러에 있어서,
    상기 룸미러는 룸미러 본체, 연결부 및 보조미러로 구성되며,
    상기 룸미러 본체는 내부에 공동이 있고, 일측 하부 종단면에 내외를 관통하는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다수개의 원봉상객체가 결합된 안테나 형태로서, 일측 종단에는 힌지체를 구비하고, 타측 종단은 절곡되어 절곡된 종단면에 구형 결합구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미러는 평판상체의 틀 내부 전면에 거울이 부착되고, 상부 종단 적소에 외향 돌출하는 조절돌기가 구비되며, 후면 중앙에 외향 돌출하는 회동결합부가 구비되되, 상기 회동결합부는 일측이 개구되는 형태로 내부에 공동을 갖는 원통형 중공체이며,
    상기 연결부는 힌지체를 통하여 룸미러 본체의 내부면 적소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보조미러는 회동결합부와 구형 결합구의 끼움 결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미러가 장착된 룸미러.
KR20-2003-0038189U 2003-12-08 2003-12-08 보조미러가 장착된 룸미러 KR200344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189U KR200344136Y1 (ko) 2003-12-08 2003-12-08 보조미러가 장착된 룸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189U KR200344136Y1 (ko) 2003-12-08 2003-12-08 보조미러가 장착된 룸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136Y1 true KR200344136Y1 (ko) 2004-03-10

Family

ID=4934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189U KR200344136Y1 (ko) 2003-12-08 2003-12-08 보조미러가 장착된 룸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1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6799B2 (ja) 車両ドアのヒンジアッセンブリ
CA2375389C (en) Modular extending mirror
KR200344136Y1 (ko) 보조미러가 장착된 룸미러
US11794650B2 (en) Folding joint for rear view display device
KR100472667B1 (ko) 자동차용 대화형 미러
JP4366665B1 (ja) ドア開閉機構
EP1457385B1 (en) Improved actuator for rear-view mirrors
KR100610376B1 (ko) 자동차용 이중 접이식 리어 배너티미러
KR200303364Y1 (ko) 보조미러가 구비된 차량용 룸미러의 결합구조
JP4620096B2 (ja) 車両ドア動作機構
KR20140124573A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CA2438058C (en) Improved actuator for rear-view mirrors
CN110843678B (zh) 汽车后视镜及其使用方法
US20240123902A1 (en) Folding joint for rear view display device
KR0131415Y1 (ko) 자동차용 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
JPS6037856Y2 (ja) 自動車用ミラ−装置
CN217495985U (zh) 遮物帘总成及车辆
KR200206623Y1 (ko) 자동차 후방용 안전미러
KR100505888B1 (ko) 다목적 레저용 차량의 리어시트 삽입장치
JPH09220968A (ja) 乗物用折りたたみ式ベッド
JPH0331625Y2 (ko)
JP3475616B2 (ja) 車両用後写鏡装置
KR100633933B1 (ko) 차량의 에이브이 모니터 장착구조
KR200188066Y1 (ko) 자동차용 룸 밀러
KR970009144B1 (ko) 차량용 룸미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