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037Y1 -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037Y1
KR200344037Y1 KR20-2003-0038790U KR20030038790U KR200344037Y1 KR 200344037 Y1 KR200344037 Y1 KR 200344037Y1 KR 20030038790 U KR20030038790 U KR 20030038790U KR 200344037 Y1 KR200344037 Y1 KR 200344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supply tank
vacuum
filter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순호
Original Assignee
차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순호 filed Critical 차순호
Priority to KR20-2003-0038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0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automa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을 이용하는 분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송 및 배출전환이 즉시로 이루어짐으로 작업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필터막힘이 자동으로 해소되어 관리 및 운용을 현저히 용이하게 하며, 과립, 고체뿐만 아니라 미립자 파우더형태의 분체 이송도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종래 기술에서 수반되었던 분진수집조가 배제되어 관리인력 및 제작비용을 걸감토록 하는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에 임펠러(11)가 구비되어 진공 흡입력을 형성하기 위한 블로어(10), 상기 블로어(10)에 연통되고 하방에 개폐판(23)이 장착된 배출구(21)가 구비되며 일측으로는 유입이송관(30)이 연결되는 수급조(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에 있어서, 임펠러(11)의 입구에 필터(30)가 구비되며 정/역회전되는 블로어(10)와, 상기 필터(40)를 내부에 수용하며 블로어(10)에 일체로 장착되는 수급조(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블로어(10)의 역회전은 수급조(20)에 이송물 적체를 체크하는 센서(5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급조(20)의 배출구 개폐장치(24)는 블로어(10)의 역회전 전환시 배출구(21)를 개방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A VACUUMTYPE PULVERULENT BODY TRANSFER APPARATUS }
본 고안은 진공을 이용하는 분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송 및 배출전환이 즉시로 이루어짐으로 작업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필터막힘이 자동으로 해소되어 관리 및 운용을 현저히 용이하게 하며, 과립, 고체뿐만 아니라 미립자 파우더형태의 분체 이송도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종래 기술에서 수반되었던 분진수집조가 배제되어 관리인력 및 제작비용을 걸감토록 하는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과 같은 과립 및 분체의 이송은 일반적으로 버켓 컨베이어 또는 진공흡입력을 이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버켓 컨베이어를 통한 분체의 이송은 이송물이 버켓에 담겨져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이송되며, 다시 쏟아내는 과정이 따르게 됨으로 이송 중 이물질이 혼입될 염려가 있으며, 이송물이 낙하되는 등으로 로스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진공흡입력을 이용하는 방식은 이송물이 밀폐관로를 타고 이송되어 외부로부터의 오염 및 로스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어 그 사용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 기술의 진공을 이용하는 분체 이송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임펠러가 구비되어 진공흡입력을 형성하는 블로어(110)와 블로어에 연결되며 일측으로는 송급부와 연결되는 유입이송관(130)이 연결되는 수급조(120)와 상기 블로어(110)와 수급조(120) 사이에 설치되는 분진수집조(170)로 구성된다.
상기 블로어(110)는 전동모터의 축에 날개가 형성된 회전판이 장착되고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수급조(120)의 뚜껑에 해당되는 상부 내부에는 분진이 블로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망체판으로 된 필터(125)가 구비된다. 그러나 연속하여 일방향으로 흡입력이 작용되는 상기 구성에서 수급조(120)의 필터(125)만으로는 역부족이기 때문에 상기 분진수집조(17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분진수집조(170)는 블로어(110)로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필터링장치로서 블로어(110)와 수급조(120)로 연통되는 연결관(171,172)이 각각 설치되고 블로어(110)로 연통되는 연결관(171)측으로는 필터(173)가 형성되며 그 하방에는 탈착 가능한 분진저장통(175)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기술의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블로어(110)가 구동되어 일련의 진공 이송라인에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면 송급부로부터 유입이송관(130)을 타고 수급조(120)로 이송물이 흡입이송되고 이송물이 수급조(120)에 모아지는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블로어(110)의 구동을 정지시켜 수급조의 하방에 구비된 배출구(121)를 개방하여 이송물을 낙하시킴으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수급조(120)에 이송물이 모아지고 배출단계로 전환시 수급조(120)에는 진공흡입압력이 작용되고 있음으로 즉시로 배출구(120)를 개방할 수 없다. 따라서 수급조(120) 내의 진공압이 소멸되기까지 기다린 후 배출구(121)를 개방해야 됨으로 시간이 지체되어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수급조(120)의 필터(125) 및 분진수집조(170)의 필터(173)는 분진에 의하여 그 통기공이 막히게 되고 이러한 필터 통기공의 막힘은 블로어(110)의 진공흡입력 저하로 직결되기 때문에 별도의 콤프레셔를 연결하여 주기적으로 필터청소를 수행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이와 같은 필터(125, 173)의 막힘 때문에 과립 또는 고체만 이송이 가능할뿐, 미립자 파우더형태의 분체는 이송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블로어(110)와 수급조(120) 사이에 각각 연결관(171,172)이 연결 설치되는 분진수집조(170)가 구비됨으로써 필터청소는 물론이고 분진 비우기 등의 관리에 인력과 시간이 허비되며, 부품 및 설치공수가 복잡하게 되어 제조원가를 증대시키고 별도의 공간을 점유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블로어에 수급조가 직접 취부되고 블로어의 회전구동이 정역전환 제어됨으로써 이송 및 배출전환이 즉시로 이루어짐으로 작업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토록 하는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블로어의 역회전 전환에 의하여 필터막힘이 자동으로 해소됨으로 필터 청소작업이 불필요하여 장치의 관리 및 운용을 현저히 용이하도록 하는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막힘이 즉시 자동으로 해소됨으로써 과립, 고체뿐만 아니라 미립자 파우더형태의 분체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수반되었던 분진수집조가 배제됨으로써 관리인력이 절감되며, 부품 및 설치공수가 감축되어 제조원가를 현저히 걸감시키고, 설치공간을 줄여 공간활용에 기여하도록 하는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결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 10: 블로어
11: 임펠러 11a: 연결부
12: 연결부 13: 임펠러 하우징
13a: 외기 출입공 20: 수급조
21: 배출구 23: 개폐판
24: 개폐장치 30: 유입이송관
40: 필터 50: 센서
100: 종래 기술의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 170: 분진수집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는,
일측에 임펠러가 구비되어 진공 흡입력을 형성하기 위한 블로어, 상기 블로어에 연통되고 하방에 개폐판이 장착된 배출구가 구비되며 일측으로는 유입이송관이 연결되는 수급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에 있어서,
임펠러의 입구에 필터가 구비되며 정/역회전되는 블로어와, 상기 필터를 내부에 수용하며 블로어에 일체로 장착되는 수급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로어의 역회전은 수급조에 이송물 적체를 체크하는 센서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급조의 배출구 개폐장치는 블로어의 역회전 전환시 배출구를 개방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단면도, 도 3은 도 2의 결합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1)는, 일측에 임펠러(11)가 구비되어 진공 흡입력을 형성하기 위한 블로어(10), 상기 블로어(10)에 연통되고 하방에 개폐판(23)이 장착된 배출구(21)가 구비되며 일측으로는 송급부로부터 유입이송관(30)이 연결되는 수급조(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임펠러(11)의 입구에 필터(30)가 구비되며 정/역회전되는 블로어(10)와, 상기 필터(40)를 내부에 수용하며 블로어(10)에 일체로 장착되는 수급조(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블로어(10)의 역회전은 수급조(20)에 이송물 적체를 체크하는 센서(5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급조(20)의 배출구 개폐장치(24)는 블로어(10)의 역회전 전환시 개폐판(23)을 열어 배출구(21)를 개방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 개폐장치(24)는 개폐판(23)의 일측에 연결되는 레버(24a) 및 솔레노이드(24b)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센서(50)는 수급조에 이송물이 채워지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작동되는 타이머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블로어(10)의 임펠러 하우징(13)과 수급조(20) 사이에는 임펠러의 하우징(13) 또는 수급조(20)의 상부가 연장되며 별도의 고정프레임(60)에 장착되기 위한 단턱(12a)이 형성된 연결부(12)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블로어의임펠러 하우징(13)과 연결부(12) 및 수급조(20)의 접속부에는 패킹(미도시)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로어(10)의 임펠러(11) 회전판 일측에는 통기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11a)과 연통되는 외기 출입구(13a)가 임펠러 하우징(13)의 타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40)는 바닥면과 주연부로 형성되는 다공체 원통으로 구성되며, 입펠러(11)의 공기출입구(15)를 커버하고, 그 고정은 임펠러 하우징(13) 하부를 가로질러 고정되는 수평지지봉(42a)과 상기 수평지지봉의 중앙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나사봉(42b)에 너트(43)를 이용하여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블로어(10)는 임펠러(11)를 하방으로하여 수직설치되고 그 하방으로 필터(40)와 수급조(20)가 순차적으로 수직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1)의 작동 및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분체를 수급조(20)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먼저 블로어(10)를 정회전시킴으로 수급조(20) 및 유입이송관(30)에 진공흡입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분체 등의 이송물이 송급부로부터 수급조(20)로의 이송단계가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 예컨대 60초동안 진행된다. 이 때 블로어(10)의 임펠러(11) 입구에 설치된 필터(40)에는 이송물에 포함된 분진이 증착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수급조(20)에 이송물이 채워지는 시간의 경과를 체크하는 센서(50)인 타이머 신호에 의하여 수급조(20)의 배출구 개폐장치(24)가 작동되어 개폐판(23)이 열림과 동시에 블로어(10)가 역회전으로 전환되어 배출단계로 들어간다. 이와 같은 블로어(10)의 역회전은 필터(40)에 증착되고 있던 분진을 일소하여 필터(40)의 통기공을 원상으로 회복시킴과 동시에 수급조(20)에 모아진 이송물을 수급조 배출구(21)를 통하여 외부로 순식간에 밀어낸다. 이와 같은 배출단계 진행시간은 대략 1∼2초 내외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급조(20)의 배출구(21) 하방에 구비되어 이송물이 담겨지게 되는 이송물받이(미도시)는 분체의 비산이 저지되는 포집기능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분체의 이송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1 회 싸이클이 완료되면 타이머 신호에 의하여 블로어(10)는 다시 정회전으로 전환됨과 동시에 수급조의 배출구 개폐장치(24)가 작동되어 배출구(21)를 폐쇄하고 다음 싸이클의 이송단계에 진입하며 연이어 후속단계로 이어지게 된다.
상기 이송단계와 배출단계의 타이머 설정은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블로어(10)에 수급조(20)가 직접 취부되고 블로어의 회전구동이 타이머 신호에 의하여 정역전환 제어됨으로써 수급조(20)의 진공소멸을 기다릴 필요없이 즉시로 배출전환이 이루어짐으로 이송 속도가 획기적으로 향상되어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블로어(10)의 역회전 전환에 의하여 필터막힘이 자동으로 해소됨으로 종래 콤퓨레셔가 수반되었던 번거로운 필터막힘 청소작업이 불필요하여 장치의 관리 및 운용이 현저히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필터막힘이 즉시 자동으로 해소됨으로써 과립, 고체뿐만 아니라 미립자 파우더형태의 분체도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수반되었던 블로어(10)와 수급조(20) 사이에 각각의 연결관을 통하여 연결 설치되었던 분진수집조가 배제됨으로써 필터청소 및 분진 비우기 등의 관리인력이 불필요하며 수급조, 필터, 양측의 연결관 등의 부품 및 설치공수가 감축되어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시켜주고 설치공간도 줄여주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는,
첫째, 블로어에 수급조가 직접 취부되고 블로어의 회전구동이 정역전환 제어됨으로써 이송 및 배출전환이 즉시로 이루어짐으로 작업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다.
둘째, 블로어의 역회전 전환에 의하여 필터막힘이 자동으로 해소됨으로 필터 청소작업이 불필요하여 장치의 관리 및 운용을 현저히 용이하게 한다.
셋째, 필터막힘이 즉시 자동으로 해소됨으로써 과립, 고체뿐만 아니라 미립자 파우더형태의 분체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넷쩨, 종래 기술에서 수반되었던 분진수집조가 배제됨으로써 관리인력이 절감되며, 부품 및 설치공수가 감축되어 제조원가를 현저히 걸감시키고, 설치공간을 줄여 공간활용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측에 임펠러(11)가 구비되어 진공 흡입력을 형성하기 위한 블로어(10), 상기 블로어(10)에 연통되고 하방에 개폐판(23)이 장착된 배출구(21)가 구비되며 일측으로는 유입이송관(30)이 연결되는 수급조(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에 있어서,
    임펠러(11)의 입구에 필터(30)가 구비되며 정/역회전되는 블로어(10)와, 상기 필터(40)를 내부에 수용하며 블로어(10)에 일체로 장착되는 수급조(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10)의 역회전은 수급조(20)에 이송물 적체를 체크하는 센서(5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급조(20)의 배출구 개폐장치(24)는 블로어(10)의 역회전 전환시 배출구(21)를 개방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50)는 타이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10)의 임펠러 하우징(13)과 수급조(20) 사이에는 임펠러의 하우징 또는 수급조가 연장되는 연결부(1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40)는 바닥면과 주연부로 형성되는 다공체 원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10)의 임펠러(11) 회전판 일측에는 통기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11a)과 연통되는 외기 출입구(13a)가 임펠러 하우징(13)의 타측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
KR20-2003-0038790U 2003-12-12 2003-12-12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 KR200344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790U KR200344037Y1 (ko) 2003-12-12 2003-12-12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790U KR200344037Y1 (ko) 2003-12-12 2003-12-12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037Y1 true KR200344037Y1 (ko) 2004-03-10

Family

ID=4934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790U KR200344037Y1 (ko) 2003-12-12 2003-12-12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03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6272A (zh) * 2018-09-25 2018-12-14 张家港市沃尔特精密机械有限公司 结构可变式粉末上料器
CN116889776A (zh) * 2023-07-14 2023-10-17 营口市中日友协环保节能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湿式除尘回收系统及其设备和方法
KR102639581B1 (ko) 2022-12-23 2024-02-22 이강진 세척이 용이한 진공식 분체 이송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6272A (zh) * 2018-09-25 2018-12-14 张家港市沃尔特精密机械有限公司 结构可变式粉末上料器
CN108996272B (zh) * 2018-09-25 2024-05-17 张家港市沃尔特精密机械有限公司 结构可变式粉末上料器
KR102639581B1 (ko) 2022-12-23 2024-02-22 이강진 세척이 용이한 진공식 분체 이송 장치
CN116889776A (zh) * 2023-07-14 2023-10-17 营口市中日友协环保节能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湿式除尘回收系统及其设备和方法
CN116889776B (zh) * 2023-07-14 2024-05-10 营口市中日友协环保节能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湿式除尘回收系统及其设备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5127A1 (en) Coolant cleaning device for machine tool
WO2018107962A1 (zh) 吸料装置及具有其的尿素机
JPH07505811A (ja) 液体及び粒状物による食器類の洗浄装置
KR200344037Y1 (ko) 진공식 분체 이송장치
CN1044590C (zh) 连接到吸管的真空蓄能器
CN217621648U (zh) 编织袋破碎清洗装置
CN215694792U (zh) 机制砂加工用过滤装置
CN216910937U (zh) 一种多级筛分式茶叶加工用分选机
CN106582426B (zh) 吸料装置及具有其的尿素机
US6817475B2 (en) Multi-stage filter cleaning system with water recycling
CN219681165U (zh) 一种计量型挤出滚圆一体机
JP3770697B2 (ja) 粉体の搬送装置
CN212700789U (zh) 市政建设用生活废水过滤装置
CN213260301U (zh) 一种混凝土配料装置
CN217349914U (zh) 除尘组件以及集装箱拆箱装置
CN219635227U (zh) 离心机接料车
CN218344660U (zh) 一种全自动真空上料机
CN217599832U (zh) 一种颗粒物料自吸输送装置
CN217731995U (zh) 一种除尘器气力运灰装置
CN212277230U (zh) 一种高效锂离子电池浆料除杂装置及系统
CN217755925U (zh) 一种大米精度加工用高产量送料装置
CN220635631U (zh) 一种蚕茧加工用的输送装置
CN218872874U (zh) 一种环氧树脂加工装置
CN220827252U (zh) 一种房建市政工程排水过滤装置
CN211707196U (zh) 一种印刷机用喷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