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955Y1 -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 - Google Patents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955Y1
KR200343955Y1 KR20-2003-0037093U KR20030037093U KR200343955Y1 KR 200343955 Y1 KR200343955 Y1 KR 200343955Y1 KR 20030037093 U KR20030037093 U KR 20030037093U KR 200343955 Y1 KR200343955 Y1 KR 200343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roove
pins
pin
telepho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식
Original Assignee
김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식 filed Critical 김철식
Priority to KR20-2003-0037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9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9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에 관한 것으로, 가입자선과 국선을 연결 또는 단락가능하게 구성되는 단자핀(150) 및 가입자선캡(140)이 복수개 배열되어 있는 단자판(100)으로써; 몸체(120)와; 상기 몸체의 전방의 중심에는 국선핀(157)이 삽설되는 장착공(127)이 포함되도록 외벽이 성형되며, 저부 외벽에는 다수의 국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선이 삽입되는 삽입공(122c)이 구비되며, 절연재인 액상의 수지가 충진되어 경화되는 장홈부(122)와; 단자핀을 이루는 가입자핀(153), 테스트핀(155), 국선핀(157)이 각각 삽설되는 다수개의 장착공(123,125,127)과, 단자너트(N2)가 안착되는 안착홈(G2)과, 가입자선캡의 다리부(141)가 관통되는 통공(121)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배면홈부(128)와; 상기 배면홈부(128)를 개폐하는 배면커버(130); 그리고, 상기 장홈부(122)의 전방을 개폐하는 정면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배면커버(130)를 개방시켜 단자너트(N2)나 단자핀(150)의 이상을 쉽게 확인하여 교체할 수 있고, 에폭시의 충진범위를 장홈(122)으로 한정하여 경화시간을 단축시키고, 경량의 단자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Terminal board for telephone line box}
본 고안은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국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용 케이블(이하, 전화국선이라 칭하기로 함)을 연결하여 각각의 가입자선에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분기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단자핀 및 단자캡들이 배열되어 있는 단자판에 경화수지인 에폭시가 충진되는 범위를 축소하는 것에 의하여, 경량의 단자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접속불량이 발생되는 단자핀이나 단자너트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판은, 전화선 단자함의 내부에 조립되어, 전화국에서 전달된 신호를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등으로 전달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전화국선을 각각 분기하여 연결시키고, 각각 분기된 전화국선과 가입자선을 연결 또는 단락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은, 단자판에 배열되어 있는 다수개의 단자핀 및 단자캡들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단자판(10)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가입자선캡(2)과 국선캡(4)이 쌍을 이루어 길이방향으로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조립된다.
상기 단자판(10)의 후방은, 개방된 홈(12)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측벽면(14)에서 내측으로 이격되게 각각 지지편(15)이 성형되며, 상기 지지편(15)과 벽면(14) 사이의 장홈(13)에는 가입자선캡(2)의 다리부(2a)가 삽입되는 통공(1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판(10)의 전방은, 가입자선캡(2)이 단자볼트(B1)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공(18)이 구비되고, 상기 조립공(18)의 상하에는 각각 가입자핀(6a)이 돌설되는 제1삽입공(19a)이 성형된다. 상기 제1삽입공(19a)의 내측에는 테스트핀(6b)이 삽입되어 돌출되도록 제2삽입공(19b)이 성형되어 있다.
한편, 단자판(10)의 저부 벽면(16)에는 원형의 케이블 삽입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단자판(10)에 단자핀(6:6a,6b,6c) 및 단자캡(2)이 조립된 상태를 도 3에 도시한 단면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제1삽입공(19a)과 제2삽입공(19b)을 통하여 단자핀의 가입자핀(6a)과 테스트핀(6b)이 각각 삽입되어 돌출되도록 위치시키고, 가입자선캡(2)과 국선캡(4)을 체결한다. 이 때, 상기 가입자선캡(2)의 다리부(2a)를 통공(13a)을 통하여 삽입시키고, 홈(12)을 통하여 조립공(18)의 저부에 단자너트(N)를 위치시켜 단자볼트(B1)를 조여주는 것에 의하여 가입자선캡(2)으로 가입자핀(6a)을 덮어주게 된다.
이렇게 하여, 다수개의 단자핀이 단자판(10)에 배열된 후에는, 에폭시를 이용하여 홈(12)을 채우게 된다. 이 때, 1차적으로 농도가 진한 에폭시(8a)를 충진하여 경화시키고, 케이블(C)의 국선(L)을 국선핀(6c)에 연결시킨 후, 2차로 농도가옅은 에폭시(8b)로 충진하여 경화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단자핀이 조립되는 제1삽입공(19a)과 제2삽입공(19b)의 미세한 틈새를 통하여 경화되기 전의 에폭시 수지액이 누출되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미세한 틈새를 통하여 흘러내리지 않는 고농도의 에폭시(8a)를 충진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경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농도가 옅은 에폭시(8b)로 마무리를 하는 것은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하여 완성된 단자판(10)은, 상하 양측으로 연장성형된 조립부(11)를 볼트를 이용하여 단자함(도시 생략)의 내벽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서로 농도가 다른 에폭시(8a,8b)를 개방되어 있는 후방의 홈에 충진하여 각각 경화시킨다는 것은, 단자판(10)을 제조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모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또한, 경화된 에폭시(8a,8b)가 외부의 영향에 따라 단자판의 내벽 사이에 균열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균열을 통하여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침투하여 단자핀의 부식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바다근처에 설치된 단자함일 경우에는 염분이 균열된 틈새로 스며들어 단자핀과 단자너트 등을 부식시키는 문제점으로 작용된다.
이로 인한, 국선(L)이나 국선핀(6c)의 부식으로 접점불량이 발생될 경우에 경화된 에폭시로 인하여 국선핀(6c) 등의 부품을 교체한다는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어, 해당 단자핀의 사용을 포기하고 사용되고 있지 않는 다른 단자핀을 이용하여 연결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뿐만 아니라, 하나의 단자판에 구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단자핀이나 단자너트 등의 상당수가 불량인 경우에는 다른 단자판으로 교체를 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단자판으로 교체를 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연결된 전화선을 단락시키고, 다른 단자판에서 재연결시켜야 되는 것은 물론이고,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자너트의 불량이나 국선과 국선핀의 접점불량이 발생될 경우에 경화된 에폭시를 제거하지 않고도 부품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단자판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에폭시가 충진되는 공간을 축소하여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는 단자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통신용 단자함의 단자판을 보이기 위한 배면도.
도 2는 종래의 통신용 단자판의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통신용 단자판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화선 단자판을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B부를 확대한 부분 사시도.
도 7는 본 고안에 의한 전화선 단자판의 배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전화선 단자판의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단자판 110 ..... 정면커버
120 ..... 몸체 122 ..... 장홈
122c ..... 케이블삽입공 123,125,127 ..... 장착공
128 ..... 배면홈 129 ..... 가이드리브
130 ..... 배면커버 139 ..... 지지홈
140 ..... 가입자선캡 150 ..... 단자핀
B2 ..... 단자볼트 G2 ..... 안착홈
H2 ..... 삽입통공 N2 ..... 단자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가입자선과 국선을 연결 또는 단락가능하게 구성되는 단자핀 및 가입자선캡이 복수개 배열되어 있는 단자판으로써;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 중심에는 국선핀이 삽설되는 장착공이 포함되도록 외벽이 성형되며, 저부 외벽에는 다수의 국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선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구비되며, 외벽의 내부에서 액상의 수지가 경화된 절연재로 충진된 장홈부와; 단자핀을 이루는 가입자핀, 테스트핀, 국선핀이 각각 삽설되는 다수개의 장착공과, 단자너트가 안착되는 안착홈과, 가입자선캡의 다리부가 관통되는 통공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배면홈부와; 상기 배면홈부를 개폐하는 배면커버; 그리고, 상기 장홈부의 전방을 개폐하는 정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에는, 다수개의 장착공중 가입자핀이 돌설되는 장착공의 가장자리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성형된 가이드리브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리브에는 가입자핀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홈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의 내경은, 다각형의 형태로 성형되며; 상기 안착홈에 위치하는 단자너트의 형상과 대응되게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홈부를 개폐하는 배면커버는, 일측에 탄성돌기를 성형하고, 상기 탄성돌기가 삽탈가능한 요홈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면홈부를 개폐하는 배면커버는, 별도의 조립공을 성형하여 조임나사를 이용하여 착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배면커버에는 단자핀의 연결부가 안착가능한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정면커버는 상하부에 조립돌기를 성형하고, 몸체에 성형된 조립홈에 끼우는 것에 의하여 조립된다.
또한, 상기 정면커버의 가장자리는 단턱과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체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단자판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단자판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전화선 단자판의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화선 단자함용 단자판(100)은, 다수개의 단자핀(150)과 가입자선캡(140)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국선과 가입자선을 연결 또는 단락시키는 몸체(120)와, 상기 몸체(120)의 전방에 성형된 장홈부(122)를 개폐하는 정면커버(110)와, 그리고 몸체(120)의 배면홈부(128)를 개폐하는 배면커버(13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20)는, 모서리에 조립공(126)이 성형되어 있고, 전방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성형된 장홈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장홈부(122)의 양측으로는 다수개의 가입자선캡(14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장홈부(122)의 외벽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122d)이 성형되고, 하측외벽에는 케이블선(C2)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공(122c)이 파이프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 삽입공(122c)의 전방에는 한쌍의 제2조립공(122a)이 성형되고, 상기 한쌍의 제2조립공(122a)의 사이에는 오목한 홈형태의 접지선 안착홈(122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120)의 후방에는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배면홈부(128)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배면홈부(128)에는 단자핀(150)을 이루는 가입자핀(153), 테스트핀(155), 국선핀(157)이 각각 삽설되는 다수개의장착공(123,125,127)이 전방까지 관통된 상태로 성형된다. 그리고, 단자너트(N2)가 안착되는 안착홈(G2)과, 가입자선캡(140)의 다리부(141)가 관통되는 통공(121)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 때, 상기 안착홈(G2)의 중심에는 단자볼트(B2)가 단자너트(N2)의 내경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삽입통공(H2)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핀(153)이 삽설되는 장착공(123)이 형성된 몸체(120)의 전방에는 가입자핀(153)의 양측을 잡아주는 가이드리브(129)가 돌출되게 성형되어 있다. 도 6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리브(129)에는 가이드홈(129a)이 형성되어 있어 판형의 가입자핀(153)이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가입자선캡(140)이 단자볼트(B2)에 의하여 조여지는 과정에서 삽입공(143,145)에 삽입되어 있는 가입자선이 슬롯(152,154)에 삽입되어 피복이 절개되어 접속이 이루어지는데, 이 때, 가입자핀(153)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면 피복이 제대로 벗겨지지 않아 발생될 수 있는 접점불량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단자판(100)의 몸체(120)에 형성되어 있는 배면홈부(128)를 통하여 단자핀(150) 및 단자너트(N2)를 각각 장착공(123,125,127)과 안착홈(G2)에 삽입시키고, 배면커버(130)로 배면홈부(128)를 덮어주게 된다.
상기 배면커버(130)에는 단자핀(150)의 연결부(159)가 안착되도록 지지홈(139)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안착홈(G2)의 외주연을 감싸줄 수 있는 보강홈(1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G2)의 내주연은 단자너트(N2)의 외주연 형상에 대응되도록 성형되며,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단자볼트(B2)를 조이거나 푸는 과정에서 단자너트(N2)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배면커버(130)에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한 조립공(135)과 배면홈부(128)의 조립공(128a)을 통하여 나사를 조여주는 것에 의하여 배면커버(130)를 몸체(120) 배면홈부(128)에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단자핀(150)이 장착공(123,125,127)을 통하여 몸체(120)의 전방으로 돌출되면, 가입자핀(153)은 가이드리브(129)에 의하여 양측이 지지되고, 국선핀(157)은, 장홈부(12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장홈부(122)의 저부 외벽에 성형된 케이블 삽입공(122c)을 통하여 장홈부(122)에 위치하는 전화국선(L2)을 국선핀(157)의 슬롯(158)에 끼워 접속시킨다. 그리고, 접지선 안착홈(122b)에 접지선을 위치시키고, 접지선의 끝단이 장홈부(122)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경화수지인 에폭시를 충진하여 절연재(E)를 형성한다.
상기 절연재(E)를 충진함에 있어, 국선핀(157)의 저부인 연결부(159)가 배면커버(130)의 지지홈(139)에 의하여 제자리에서 벗어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재(E)가 경화되어 장홈부(122)에 위치되는 전화국선(L2) 및 국선핀(157)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완전한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장홈부(122)에 절연재가 충진되어 경화된 후에는, 별도의 정면커버(110)를 이용하여 절연재(E)의 상부면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정면커버(11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성형되어 있는 제1조립돌기(114)와 제2조립돌기(112)를 몸체의 제1조립홈(124)과 제2조립홈(122a)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몸체(120)에 체결된다. 이 때, 한쌍의 제2조립홈(122a)에 제2조립돌기(112)를 삽입시킨 후에, 정면커버(110)의 가장자리(116)를 장홈부(122)의 단턱(122d)에 맞닿도록 눌러주면, 제1조립돌기(114)가 제1조립홈(124)에 걸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정면커버(110)의 가장자리(116)를 단턱(122d)에 밀착되도록 닫아주면, 내부의 충진된 절연재(E)에 미세한 균열이 생기더라도 수분이나 이물질로부터 국선핀(157)과 전화국선(L2)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입자핀(153)의 슬롯(152,154)을 통하여 가입자선을 연결 또는 단락시키는 가입자선캡(140)의 구성은 도 5에 확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입자선캡(140)의 양쪽에 탄성을 가지는 다리부(141)를 통공(121)에 삽입시키면, 일측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단자볼트(B2)가 삽입통공(H2)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단자볼트(B2)를 조여주면, 삽입통공(H2)의 내주연과 연통되는 단자너트(N2)의 내벽을 따라 성형된 나사산을 따라 고정된다. 상기 단자너트(N2)는 안착홈(G2)에 수납되어 단자볼트(B2)가 회전될 때,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단자볼트(B2)에 무리한 힘이 가하여 조립할 때 안착홈(G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면커버(130)에 별도로 보강홈(137)이 성형되어 안착홈(G2)의 외주연을 보강하게 된다.
그리고, 단자볼트(B2)가 조여짐에 따라 가입자선캡(140)의 다리부(141)가 배면커버(130)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도록 유동홈(131)을 성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단자판(100)은 몸체(120)의 모서리에 구성되어 있는 조립공(126)을 통하여 나사로 조여주는 것에 의하여 단자함(도시 생략)의 내부에 조립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자판(100)의 전방에 개방된 형태의 장홈부(122)를 구비하고, 배면홈부(128)에서 상기 장홈부(122)까지 관통되는 장착공(127)을 통하여 삽설된 국선핀(157)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국선핀(157)과 국선(L2)이 연결된 상태에서 장홈부(122)에 에폭시 수지액으로 충진하여 경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절연재(E)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배면커버(130)의 개폐에 의하여 단자핀(150)과 단자너트(N2)를 수납시키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자판(100)의 일부분만을 에폭시로 충진하는 것에 의하여 수지상태의 에폭시를 경화시키는 시간을 절약하여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에폭시를 충진시키는 것에 의하여 단자함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전주나 빌딩 등의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데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피로감을 줄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고안에서는 접점불량이 발생된 경우에 절연재(E)를 손상시키지 않고도 배면커버(130)를 개방하여 단자핀(150)이나 단자너트(N2)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고, 본 고안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단자핀이나 단자너트 등의 부품에 불량이 발생된 경우에 배면커버를 개방시켜 쉽게 확인하여 수선할 수 있어서, 제품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제공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에폭시가 충진되는 범위가 단자판의 일부인 장홈부로 한정되는 것에 의하여 경화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충진되는 에폭시의 양이 줄어드는 것에 의하여 종래에 비하여 단자판의 무게가 가벼워져 전주나 빌딩 등의 높은 곳에 설치할 때, 작업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에폭시가 충진되는 장홈부에는 국선핀이 돌출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착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장착홈에 국선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에폭시가 충진되므로 단자볼트나 단자너트 등의 부품으로 에폭시액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농도차이가 나는 에폭시를 수차례에 걸쳐 충진과 경화를 반복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자핀의 연결부가 배면커버의 지지홈에 의하여 고정되고, 가입자핀이 가이드리브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에 의하여, 충진재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단자핀이기울어지는 것은 우려하지 않아도 되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8)

  1. 가입자선과 국선을 연결 또는 단락가능하게 구성되는 단자핀 및 가입자선캡이 복수개 배열되어 단자판으로써;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 중심에는 국선핀이 삽설되는 장착공이 포함되도록 외벽이 성형되며, 저부 외벽에는 다수의 국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선이 삽입되는 케이블삽입공이 구비되며, 외벽의 내부에서 액상의 수지가 경화된 절연재로 충진되는 장홈부와;
    단자핀을 이루는 가입자핀, 테스트핀, 국선핀이 각각 삽설되는 다수개의 장착공과, 단자너트가 안착되는 안착홈과, 가입자선캡의 다리부가 관통되는 통공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배면홈부; 그리고,
    상기 배면홈부를 개폐하는 배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장홈부에는, 전방을 개폐할 수 있는 정면커버를 추가로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다수개의 장착공중 가입자핀이 돌설되는 장착공의 가장자리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가이드리브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에는, 가입자핀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홈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내경이 다각형의 형태로 성형되며, 단자너트의 형상과 대응되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커버는,
    조립공을 성형하여 조임나사를 이용하여 배면홈부에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커버에는,
    단자핀의 연결부가 안착가능한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커버는,
    상하부에 조립돌기를 성형하고, 몸체에 성형된 조립홈에 끼워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
KR20-2003-0037093U 2003-11-27 2003-11-27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 KR200343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093U KR200343955Y1 (ko) 2003-11-27 2003-11-27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093U KR200343955Y1 (ko) 2003-11-27 2003-11-27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955Y1 true KR200343955Y1 (ko) 2004-03-06

Family

ID=4942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093U KR200343955Y1 (ko) 2003-11-27 2003-11-27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9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152B1 (ko) * 2017-03-27 2018-06-29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절연 붐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152B1 (ko) * 2017-03-27 2018-06-29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절연 붐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0653B1 (en) Base for electrical outlet and related method
EP0781971A1 (en) Door handle assembly
US6261719B1 (en) Battery-connecting plate
CA3025358C (en) Composite crossarm and transmission pole
US5338213A (en) Submersible pump pothead test plug
KR200343955Y1 (ko) 전화선 단자함의 단자판
US4299434A (en) Watertight RF connector
KR20210111929A (ko) 차량의 배터리용 퓨즈 박스
KR100866992B1 (ko)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
US6074591A (en) Method of making an encapsulated electrical connector
KR101949683B1 (ko) 회전 방지 기능 및 절연유 누유 및 외부 수분침투 방지 기능을 갖는 저압부싱
KR20190044291A (ko) 정션블록 하우징
CN218633207U (zh) 一种密封接线盒
US4653092A (en) Telephone main distribution frame cutover system
KR102550191B1 (ko) 정션블록
KR100340146B1 (ko) 통신용 단자함
JPH08111217A (ja) 自動車用電池の出力端子構造及びそれに接続する配線コードの接続構造
JPH09112424A (ja) 電装部品の保護装置
KR200430965Y1 (ko) 케이블의 통전장치
US11476645B2 (en) Bus bar connecting device, switchgear, and method for connecting a bus bar connecting device
EP0419503B1 (de) Steckerhalter
KR100675564B1 (ko) 저압선로 분기함
JP2022163753A (ja) 絶縁カバーの修復方法
KR200246892Y1 (ko) 전선고정용 인류클램프 커버
KR200464582Y1 (ko) 누전 차단기용 압착식 전원 공급 연결 단자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