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992B1 -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992B1
KR100866992B1 KR1020080063521A KR20080063521A KR100866992B1 KR 100866992 B1 KR100866992 B1 KR 100866992B1 KR 1020080063521 A KR1020080063521 A KR 1020080063521A KR 20080063521 A KR20080063521 A KR 20080063521A KR 100866992 B1 KR100866992 B1 KR 100866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wire
underground wire
connection structure
distribu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주)호남전기설계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남전기설계감리 filed Critical (주)호남전기설계감리
Priority to KR102008006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4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1통로부(110)와, 제1통로부(110)와 수직으로 연통되어 외부로 개구되는 제2통로부(120)를 갖춘 절연재질의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제1통로부(110)에 회전가능하면서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상배전함(B)의 부싱단자(b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전도체 재질의 커넥터단자(200); 케이스(100)의 제2통로부(120)에 설치되어, 지중전선(W)과 커넥터단자(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 재질의 지중전선접속부재(300)를 갖춘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통로부(120)의 개구부에 내경이 축소된 걸림턱(121)이 형성되되, 걸림턱(121)의 개구공(121a)이 타원형을 이루고 걸림턱(121)의 상면에는 지중전선회전방지홈(121b)이 형성되는 한편; 하면에 걸림턱(121)의 지중전선회전방지홈(121b)에 삽입되어 맞물리는 지중전선회전방지돌기(511)를 갖추고서, 지중전선(W)의 둘레면을 감싸며 고정되어 걸림턱(121)의 개구공(121a)에 삽탈되는 타원형의 고정밴드(500)가 보강구비되어, 지중전선접속부재와 지중전선의 결합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안정적인 전력공급 및 전기안전사고가 예방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 Connection Structure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전기에 지중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탈착하는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는, 지중 또는 지상에 설치되어진 배전기에 지중전선을 접속하거나 탈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1통로부(110)와, 제1통로부(110)와 수직으로 연통되어 외부로 개구되는 제2통로부(120)를 갖춘 절연재질의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제1통로부(110)에 회전가능하면서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전기(B)의 부싱단자(b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전도체 재질의 커넥터단자(200); 케이스(100)의 제2통로부(120)에 설치되어, 지중전선(W)과 커넥터단자(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 재질의 지중전선접속부재(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중전선(W)은 고압의 전력케이블로서, 전류가 흐르는 도선(w1)과 도선(w1)의 겉을 절연물질로 감싸서 외부로 전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피복(w2)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지중전선(W)은 고압의 전력선으로서, 소정 부피 및 하중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접속구조와 같이, 상기 지중전선(W)이 단순히 지중전선접속부재(300)에 압입되어 고정되면, 초반에는 고정력이 높지만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지중전선(W)의 하중으로 인해 도선(w1)이 지중전선접속부재(30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는, 상기 지중전선(W)이 지중전선접속부재(300)로부터 이탈되면, 누전 및 감전 등의 전기안전사고 뿐만 아니라 단전 또한 발생되어 수용가들이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전선접속부재에 결합된 지중전선이 그 하중에 의해 지중전선접속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는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1통로부와, 제1통로부와 수직으로 연통되어 외부로 개구되는 제2통로부를 갖춘 절연재질의 케이스와; 케이스의 제1통로부에 회전가능하면서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상배전함의 부싱단자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전도체 재질의 커넥터단자; 케이스의 제2통로부에 설치되어, 지중전선과 커넥터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 재질의 지중전선접속부재를 갖춘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통로부의 개구부에 내경이 축소된 걸림턱이 형성되되, 걸림턱의 개구공이 타원형을 이루고 걸림턱의 상면에는 지중전선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한편; 하면에 걸림턱의 지중전선회전방지홈에 삽입되어 맞물리는 지중전선회전방지돌기를 갖추고서, 지중전선의 둘레면을 감싸며 고정되어 걸림턱의 개구공에 삽탈되는 타원형의 고정밴드가 보강된 구조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서, 지중전선접속부재와 지중전선의 결합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안정적인 전력공급 및 전기안전사고가 예방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인 도 2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를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는, 케이스(100), 커넥터단자(200), 지중전선접속부재(300), 캡(400) 및 고정밴드(5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와 같은 절연물질로 형성되고, 수평방향의 제1통로부(110) 및 수직방향의 제2통로부(120)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관으로서, 대체로 'T'자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통로부(110)에는 커넥터단자연결부(320)의 상단이 배치되는 홈(111)이 제1통로부(110)와 제2통로부(120)가 교차되는 내측 상방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통로부(110)의 일단은 배전기(B)의 부싱(b)에 결합되고, 타단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캡(400)이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제2통로부(120)는 제1통로부(110)와 수직으로 연통되며, 그 하단에 지중전선(W)의 삽탈을 위한 개 구부가 형성되어 외부로 개구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통로부(120)는 개구부에 내경이 축소된 걸림턱(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21)은 중앙에 지중전선(W)이 관통할 수 있도록 타원형의 개구공(121a)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는, 지중전선회전방지홈(121b)이 개구공(121a)의 단축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켜 걸림턱(121)의 상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단자(200)는 전도체이며, 케이스(100)의 제1통로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전기(B)의 부싱단자(b1)에 통전되도록 나사산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중전선접속부재(300)는 지중전선고정부(310)와 커넥터단자연결부(320)로 이루어져서, 지중전선고정부(310)가 제2통로부(120)에 배치되도록 제1통로부(110)와 제2통로부(120)가 교차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선삽입홈(311)에 도선(w1)이 배치되면 지중전선고정부(310)의 외부면을 가압하여 선(w1)이 지중전선고정부(310)에 압입되어 지중전선(W)이 지중전선접속부재(3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단자연결부(320)는 지중전선고정부(310)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커넥터단자(200)가 삽입되어 통전되는 커넥터단자통과공(321)이 구비되고서 상단이 홈(111)에 배치되도록 제1통로부(110)에 배치된다.
상기 캡(400)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져서, 제1통로부(110)의 타단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밴드(500)는 외부에 타원형을 이루는 안착부(5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중전선(W)을 끼울 수 있도록 통공(미인출)이 형성되어, 지중전선(W)이 통 공에 끼워지면 가압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밴드(500)는 개구공(121a)을 통과하되, 회전시키면 개구공(121a)의 단축에 안착부(510)가 걸려 하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밴드(500)가 개구공(121a)의 상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밴드(500)가 고정된 지중전선(W)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 안착부(510)가 걸림턱(121)에 걸리게 되어 지중전선(W)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510)의 장축 하면에는 걸림턱(121)의 지중전선회전방지홈(121b)에 삽입되어 맞물리는 지중전선회전돌기(5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밴드(500)로 지중전선(W)을 고정시킨 뒤 개구공(121a)을 통과하여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 지중전선회전방지홈(121b)에 지중전선회전방지돌기(511)가 삽입되어 맞물려서 지중전선(W)이 비틀려져도 고정밴드(510)가 걸림턱(121)에서 빠지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전선(W)의 피복(w2)을 적정길이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지중전선회전방지돌기(511)가 상방으로 배치되도록 노출된 도선(w1)의 하방에 위치한 피복(w2)의 둘레를 감싸서 고정밴드(500)를 고정한다. 그리고서, 상기 지중전선접속부재(300)와 도선(w1)이 통전가능해지도록 지중전선(W)을 지중전선접속부재(300)에 결합한다. 그 다음에, 상기 고정밴드(500)의 장축이 개구공(121a) 장축과 평행하게 배치한 뒤, 커넥터단자연결부(320)가 제1통로부(110)의 홈(111)에 배치되도록 지중전선접속부재(300)를 제2통 로부(120)의 상방으로 밀어넣는다(도 5).
그리고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전선(W)을 일정각도(일 예로90도) 회전시켜, 지중전선회전방지돌기(511)가 지중전선회전방지홈(121b)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한다.
그 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단자통과공(321)을 관통시켜 제1통로부(110)에 커넥터단자(200)를 배치하고서 부싱단자(b1)에 커넥터단자(200)를 고정시킨 뒤 캡(400)을 제1통로부(110)의 타단에 고정하면 작업이 완료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는, 상기 케이스(100)에 걸림턱(121)이 더 형성되고 지중전선(W)에 고정밴드(500)가 보강구비된다. 따라서, 종래 상기 지중전선접속부재(300)로만 지지되었던 지중전선(W)의 하중을 걸림턱(121)이 이중으로 지지하므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지중전선(W)의 하중에도 도선(w1)과 지중전선고정부(310)의 고정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상기 지중전선(W)이 지중전선고정부(310)에 일정한 고정력으로 유지되므로, 지중전선(W)이 지중전선접속부재(300)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누전 및 감전 등의 전기안전사고뿐만 아니라 단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감소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는, 상기 지중전선회전방지돌기(511) 및 지중전선회전방지홈(121b)이 형성되어 지중전 선회전방지돌기(511)가 지중전선회전방지홈(121b)에 맞물려 있으므로, 진동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한 지중전선(W)의 비틀림에도 지중전선(W)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도 1은 종래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를 도시한 부분분해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분해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케이스, 110:제1통로부,
111:홈, 120:제2통로부, 121:걸림턱,
121a:개구공, 121b:지중전선회전방지홈,
200:커넥터단자, 300:지중전선접속부재,
310:지중전선고정부, 311:도선삽입홈,
320:커넥터단자연결부, 321:커넥터단자통과공,
400:캡, 500:고정밴드, 510:안착부,
511:지중전선회전방지돌기, B:배전기,
b:부싱, b1:부싱단자,
W:지중전선, w1:도선, w2:피복.

Claims (1)

  1.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1통로부(110)와, 제1통로부(110)와 수직으로 연통되어 외부로 개구되는 제2통로부(120)를 갖춘 절연재질의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제1통로부(110)에 회전가능하면서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상배전함(B)의 부싱단자(b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결합되는 전도체 재질의 커넥터단자(200); 케이스(100)의 제2통로부(120)에 설치되어, 지중전선(W)과 커넥터단자(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 재질의 지중전선접속부재(300)를 갖춘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통로부(120)의 개구부에 내경이 축소된 걸림턱(121)이 형성되되, 걸림턱(121)의 개구공(121a)이 타원형을 이루고 걸림턱(121)의 상면에는 지중전선회전방지홈(121b)이 형성되는 한편; 하면에 걸림턱(121)의 지중전선회전방지홈(121b)에 삽입되어 맞물리는 지중전선회전방지돌기(511)를 갖추고서, 지중전선(W)의 둘레면을 감싸며 고정되어 걸림턱(121)의 개구공(121a)에 삽탈되는 타원형의 고정밴드(500)가 보강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
KR1020080063521A 2008-07-01 2008-07-01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 KR100866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521A KR100866992B1 (ko) 2008-07-01 2008-07-01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521A KR100866992B1 (ko) 2008-07-01 2008-07-01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992B1 true KR100866992B1 (ko) 2008-11-05

Family

ID=4028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521A KR100866992B1 (ko) 2008-07-01 2008-07-01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9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02B1 (ko) 2008-10-23 2009-02-06 금오테크(주)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KR101597609B1 (ko) 2015-07-31 2016-03-07 김기동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용 접속구조
KR101832739B1 (ko) * 2017-04-13 2018-02-28 미래전기기술단(주) 지중전선 인입 커넥터
KR20180032096A (ko) 2016-09-21 2018-03-29 (주)성원이엔씨 지중배전선로 설치용 접속기구 장치
KR101964311B1 (ko) 2018-10-08 2019-04-01 (주)윤앤영이앤씨 특고압 배전선로의 접속장치
KR102041331B1 (ko) * 2019-08-28 2019-11-06 이상규 지중 배전선로의 안정적 결합상태 유지 탈부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3450A (ja) * 2001-04-09 2002-10-25 Osaka Gas Co Ltd 電気計測線取付具および電力変換方法
KR100859597B1 (ko) 2008-01-15 2008-09-23 주식회사 현대이앤아이 매설형 지중전선과 지상배전함의 통전공어뎁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3450A (ja) * 2001-04-09 2002-10-25 Osaka Gas Co Ltd 電気計測線取付具および電力変換方法
KR100859597B1 (ko) 2008-01-15 2008-09-23 주식회사 현대이앤아이 매설형 지중전선과 지상배전함의 통전공어뎁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02B1 (ko) 2008-10-23 2009-02-06 금오테크(주)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KR101597609B1 (ko) 2015-07-31 2016-03-07 김기동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용 접속구조
KR20180032096A (ko) 2016-09-21 2018-03-29 (주)성원이엔씨 지중배전선로 설치용 접속기구 장치
KR101872014B1 (ko) * 2016-09-21 2018-06-27 (주)성원이엔씨 지중배전선로 설치용 접속기구 장치
KR101832739B1 (ko) * 2017-04-13 2018-02-28 미래전기기술단(주) 지중전선 인입 커넥터
KR101964311B1 (ko) 2018-10-08 2019-04-01 (주)윤앤영이앤씨 특고압 배전선로의 접속장치
KR102041331B1 (ko) * 2019-08-28 2019-11-06 이상규 지중 배전선로의 안정적 결합상태 유지 탈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992B1 (ko)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
KR100869596B1 (ko)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KR100872556B1 (ko) 지중전선 연결형 배전기기
MXPA05014000A (es) Conector de cordon que tiene un sello resistente al agua.
KR101742661B1 (ko) 지중선전 인입커넥터
KR100943428B1 (ko) 배전선 지지용 절연애자
KR101818237B1 (ko) 지중 배전선 커넥터
KR100751518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0864106B1 (ko) 지상배전함에 대한 지중전선 커넥터
KR101741527B1 (ko)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
KR200491327Y1 (ko) 연장형 인류클램프 절연커버(폴리머현수애자용)
KR101597609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용 접속구조
KR100862369B1 (ko) 지중배전기기의 커넥터
KR102041331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안정적 결합상태 유지 탈부착장치
KR100722292B1 (ko) 현수애자 안착형 분기슬리브
KR10162614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KR100960153B1 (ko) 특고압 송전용 가공선 고정애자
KR100816282B1 (ko)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1786054B1 (ko)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KR101973762B1 (ko)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
KR102376664B1 (ko) 수배전반 케이블 헤드 커버형 감전예방 활선 표시 장치
KR101252008B1 (ko) 전선연결장치
KR102176418B1 (ko)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KR101964311B1 (ko) 특고압 배전선로의 접속장치
US3612750A (en) Cable-connecting adaptor for high voltage bushing of a pad-mounted transfor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