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054B1 -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 Google Patents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054B1
KR101786054B1 KR1020170059882A KR20170059882A KR101786054B1 KR 101786054 B1 KR101786054 B1 KR 101786054B1 KR 1020170059882 A KR1020170059882 A KR 1020170059882A KR 20170059882 A KR20170059882 A KR 20170059882A KR 101786054 B1 KR101786054 B1 KR 101786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wire
wire
underground
passage por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대
Original Assignee
(주)다은감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은감리단 filed Critical (주)다은감리단
Priority to KR102017005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6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clamping the armour of the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전선 인입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전선접속부재에 결합된 지중전선이 자체 하중에 의해 지중전선접속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중전선 인입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전선 인입커넥터{Connector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지중전선 인입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전선접속부재에 결합된 지중전선이 자체 하중에 의해 지중전선접속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중전선 인입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지중전선 인입커넥터는 지중 또는 지상에 설치된 배전기에 지중전선을 접속하거나 탈속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1통로부(110)와, 제1통로부(110)와 수직으로 연통되어 외부로 개구되는 제2통로부(120)를 갖춘 절연재질의 케이스(100); 케이스(100)의 제1통로부(110)에 회전가능하면서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전기(B)의 부싱단자(b1)에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전도체 재질의 커넥터단자(200); 케이스(100)의 제2통로부(120)에 설치되어 지중전선(W)과 커넥터단자(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 재질의 지중전선접속부재(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중전선(W)은 고압의 전력케이블로써 전류가 흐르는 도선(w1)과 도선(w1)의 겉을 절연물질로 감싸서 외부로 전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피복(w2)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지중전선(W)은 고압의 전력선으로 소정 부피 및 하중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중전선(W)이 단순히 지중전선접속부재(300)에 압입되어 고정되면, 초반에는 고정력이 높지만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지중전선(W)의 하중으로 인해 도선(w1)이 지중전선접속부재(30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중전선(W)이 지중전선접속부재(300)로부터 이탈되면, 누전 및 감전 등의 전기안전사고뿐만 아니라 단전이 발생되면서 사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69596호(2008.11.21.)에는 '지중전선 인입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중전선 인입커넥터는 고정밴드의 불안정한 결합상태와 함께 지중전선이 갖는 하중이 지중전선접속부재로 지속적으로 작용하면서 지중전선이 지중전선접속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69596호(2008.11.21.)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전선접속부재에 결합된 지중전선이 자체 하중에 의해 지중전선접속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중전선 인입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1통로부(110)와, 제1통로부(110)와 수직으로 연통되어 외부로 개구되는 제2통로부(120)를 갖춘 절연재질의 케이스(100); 케이스(100)의 제1통로부(110)에 회전가능하면서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상배전함(B)의 부싱단자(b1)에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전도체 재질의 커넥터단자(200); 케이스(100)의 제2통로부(120)에 설치되어, 지중전선(W)과 커넥터단자(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 재질의 지중전선접속부재(300); 및 상기 제2통로부(120)의 개구부에 내경이 축소된 걸림턱(121)이 형성되되, 걸림턱(121)의 개구공(121a)이 타원형을 이루는 한편, 상기 지중전선(W)의 둘레면을 감싸며 고정되어 걸림턱(121)의 개구공(121a)에 삽탈되는 타원형의 고정밴드(500)를 포함하는 지중전선 인입커넥터로써, 상기 지중전선(W)의 하중에 의해 상기 지중전선(W)이 상기 지중전선접속부재(3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지지부(6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지지부(600)는, 상기 제2통로부(1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중전선(W)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610); 상기 제2통로부(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620); 상기 롤러(620)의 하부에 위치되는 무게추(630); 및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6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무게추(630)에 연결되며, 양단부 사이가 상기 롤러(620)에 지지되는 지지줄(640)을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630)는, 일정 하중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줄(640)을 하방향으로 당기며, 상기 지중전선(W)은, 상기 무게추(630)가 상기 지지줄(640)을 하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상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지중전선접속부재(30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전선 인입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전선접속부재에 결합된 지중전선이 고정밴드의 불안정한 결합 상태나 자체 하중에 의해 지중전선접속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음으로써 지중전선접속부재와 지중전선의 결합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함께 전기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지중전선 인입커넥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인입커넥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인입커넥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인입커넥터의 작동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인입커넥터에서 보강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869596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869596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869596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지중전선이 지중전선접속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869596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인입커넥터는 케이스(100), 커넥터단자(200), 지중전선접속부재(300), 캡(400) 및 고정밴드(5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와 같은 절연물질로 형성되고, 수평방향의 제1통로부(110) 및 수직방향의 제2통로부(120)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관으로써, 대체로 'T'자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1통로부(110)에는 커넥터단자연결부(320)의 상단이 배치되는 홈(111)이 제1통로부(110)와 제2통로부(120)가 교차되는 내측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제1통로부(110)의 일단은 배전기(B)의 부싱(b)에 결합되고, 타단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캡(400)이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제2통로부(120)는 제1통로부(110)와 수직으로 연통되며, 그 하단에 지중전선(W)의 삽탈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외부로 개구된다.
상기 제2통로부(120)는 개구부에 내경이 축소된 걸림턱(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21)은 중앙에 지중전선(W)이 관통할 수 있도록 타원형의 개구공(121a)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단자(200)는 전도체이며, 케이스(100)의 제1통로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전기(B)의 부싱단자(b1)에 통전되도록 나사결합된다.
상기 지중전선접속부재(300)는 지중전선고정부(310)와 커넥터단자연결부(320)로 이루어져서, 지중전선고정부(310)가 제2통로부(120)에 배치되도록 제1통로부(110)와 제2통로부(120)가 교차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도선삽입홈(311)에 도선(w1)이 배치되면 지중전선고정부(310)의 외부면을 가압하여 도선(w1)이 지중전선고정부(310)에 압입되어 지중전선(W)이 지중전선접속부재(300)에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단자연결부(320)는 지중전선고정부(310)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커넥터단자(200)가 삽입되어 통전되는 커넥터단자통과공(321)이 구비되고서 상단이 홈(111)에 배치되도록 제1통로부(110)에 배치된다.
상기 캡(400)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져서 제1통로부(110)의 타단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인입커넥터는 상기 피복(w2)을 압착하며 고정되는 고정밴드(500)가 보강 구비된다.
상기 고정밴드(500)는 외부에 타원형을 이루는 안착부(5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중전선(W)을 끼울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지중전선(W)이 통공에 끼워지면 가압하여 고정한다.
상기 고정밴드(500)는 개구공(121a)을 통과하되, 회전시키면 개구공(121a)의 단축에 안착부(510)가 걸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밴드(500)가 개구공(121a)의 상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밴드(500)가 고정된 지중전선(W)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 안착부(510)가 걸림턱(121)에 걸리게 되어 지중전선(W)이 커넥터에 고정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지중전선 인입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전선(W)의 피복(w2)을 적정길이 제거한 후, 노출된 상기 도선(w1)의 하방에 위치한 피복(w2)의 둘레를 감싸서 고정밴드(500)를 고정한다.
상기 지중전선접속부재(300)와 도선(w1)이 통전 가능해지도록 지중전선(W)을 지중전선접속부재(300)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밴드(500)의 장축이 개구공(121a) 장축과 평행하게 배치한 뒤, 커넥터단자연결부(320)가 제1통로부(110)의 홈(111)에 배치되도록 지중전선접속부재(300)를 제2통로부(120)의 상방으로 밀어넣으면, 고정밴드(500)가 걸림턱(121)의 상방에 배치된다.
도 5는 상기 고정밴드(500)의 장축 및 개구공(121a)의 장축이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그리고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전선(W)을 측방으로 일정각도 일 예로 90도 회전시키면, 안착부(510)가 걸림턱(121)에 걸리게 된다.
그 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단자통과공(321)을 관통시켜 제1통로부(110)에 커넥터단자(200)를 배치하고서 부싱단자(b1)에 커넥터단자(200)를 고정시키면, 지중전선(W)의 접속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전선(W)이 상기 지중전선접속부재(3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지지부(6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보강지지부(600)는 상기 고정밴드(500)의 불안정한 결합상태나 지중전선(W)이 갖는 하중이 지중전선접속부재(300)로 지속적으로 작용하면서 지중전선(W)이 지중전선접속부재(3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강지지부(600)는 상기 제2통로부(1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중전선(W)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610), 상기 제2통로부(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620), 상기 롤러(620)의 하부에 위치되는 무게추(630) 및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6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무게추(630)에 연결되며 양단부 사이가 상기 롤러(620)에 지지되는 지지줄(640)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610)는 상,하부가 개방되는 원형관 형태를 이루며, 내주면에 절연재질의 압착부재(6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프(610)는 상기 지중전선(W)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기되며, 양단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613)가 형성되면서 볼트,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614)에 의해 상기 지중전선(W)을 감싸며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프유닛(612)을 포함한다.
이는, 지중전선(W)으로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압착부재(611)는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클램프유닛(612)이 상기 지중전선(W)에 결합됨에 따라 압착되면서 상기 클램프(610)가 상기 지중전선(W)에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러(6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통로부(12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줄(640)은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단부 사이 중앙부가 상기 롤러(620)에 지지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클램프(610)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상기 무게추(630)가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클램프(610)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상기 지지줄(64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고리(6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리(615)는 상기 한 쌍의 클램프유닛(612)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630)는 일정 하중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줄(640)을 하방향으로 당겨 상기 클램프(610)로의 당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무게추(630)의 무게는 상기 지중전선(W)에서 작용하는 하중 등으로 고려하여 적정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중전선(W)은 상기 무게추(630)가 상기 지지줄(640)을 하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상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지중전선접속부재(3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지지부(600)는 상기 지지줄(64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수단(6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수단(650)은 외력 등에 의한 상기 지지줄(640)의 흔들림에 따라 상기 무게추(630)가 상기 지중전선(W)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유동방지수단(650)은 상기 지지줄(64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무게추(630)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호관(651) 및 상기 클램프(6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653)이 형성되어 상기 보호관(651)이 통과하는 유동방지부재(652)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관(651)은 상기 지지줄(640)을 보호하면서 상기 지지줄(640)의 흔들림에 따라 상기 지지줄(640)이 상기 클램프(6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652)는 상기 클램프(610)의 양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무게추(63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보호관(65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한편, 상기 보호관(651)이 상기 클램프(610) 및 상기 지중전선(W)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보강지지부(600)는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지중전선(W)의 하중에도 도선(w1)과 지중전선고정부(310)의 고정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지중전선접속부재(300)에 결합된 지중전선(W)이 자체 하중에 의해 지중전선접속부재(3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케이스 110 : 제1통로부
111 : 홈 120 : 제2통로부
121 : 걸림턱 122 : 고정편
200 : 커넥터단자 300 : 지중전선접속부재
310 : 지중전선고정부 311 : 도선삽입홈
320 : 커넥터단자연결부 321 : 커넥터단자통과공
500 : 고정밴드 501 : 잠금홈
510 : 안착부 600 : 보강지지부
610 : 클램프 611 : 압착부재
612 : 클램프유닛 613 : 플랜지
614 : 체결구 620 : 롤러
630 : 무게추 640 : 지지줄
650 : 유동방지수단 651 : 보호관
652 : 유동방지부재 653 : 중공

Claims (1)

  1.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1통로부(110)와, 제1통로부(110)와 수직으로 연통되어 외부로 개구되는 제2통로부(120)를 갖춘 절연재질의 케이스(100);
    케이스(100)의 제1통로부(110)에 회전가능하면서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상배전함(B)의 부싱단자(b1)에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전도체 재질의 커넥터단자(200);
    케이스(100)의 제2통로부(120)에 설치되어, 지중전선(W)과 커넥터단자(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 재질의 지중전선접속부재(300); 및
    상기 제2통로부(120)의 개구부에 내경이 축소된 걸림턱(121)이 형성되되, 걸림턱(121)의 개구공(121a)이 타원형을 이루는 한편, 상기 지중전선(W)의 둘레면을 감싸며 고정되어 걸림턱(121)의 개구공(121a)에 삽탈되는 타원형의 고정밴드(500)를 포함하는 지중전선 인입커넥터로써,
    상기 지중전선(W)의 하중에 의해 상기 지중전선(W)이 상기 지중전선접속부재(3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지지부(6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지지부(600)는,
    상기 제2통로부(1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중전선(W)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610);
    상기 제2통로부(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620);
    상기 롤러(620)의 하부에 위치되는 무게추(630); 및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6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무게추(630)에 연결되며, 양단부 사이가 상기 롤러(620)에 지지되는 지지줄(640)을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630)는,
    일정 하중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줄(640)을 하방향으로 당기며,
    상기 지중전선(W)은,
    상기 무게추(630)가 상기 지지줄(640)을 하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상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지중전선접속부재(30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KR1020170059882A 2017-05-15 2017-05-15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KR101786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82A KR101786054B1 (ko) 2017-05-15 2017-05-15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82A KR101786054B1 (ko) 2017-05-15 2017-05-15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054B1 true KR101786054B1 (ko) 2017-10-18

Family

ID=6029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882A KR101786054B1 (ko) 2017-05-15 2017-05-15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331B1 (ko) * 2019-08-28 2019-11-06 이상규 지중 배전선로의 안정적 결합상태 유지 탈부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369B1 (ko) 2008-07-10 2008-10-13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기기의 커넥터
KR100864106B1 (ko) 2008-07-01 2008-10-17 (주)우림종합기술단 지상배전함에 대한 지중전선 커넥터
KR100869596B1 (ko) 2008-06-27 2008-11-21 태형전기(주)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KR100944670B1 (ko) 2009-10-30 2010-02-26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송전용 특고압 지중전선 접속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596B1 (ko) 2008-06-27 2008-11-21 태형전기(주)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KR100864106B1 (ko) 2008-07-01 2008-10-17 (주)우림종합기술단 지상배전함에 대한 지중전선 커넥터
KR100862369B1 (ko) 2008-07-10 2008-10-13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기기의 커넥터
KR100944670B1 (ko) 2009-10-30 2010-02-26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송전용 특고압 지중전선 접속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331B1 (ko) * 2019-08-28 2019-11-06 이상규 지중 배전선로의 안정적 결합상태 유지 탈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807B1 (ko)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ES2652312T3 (es) Conector aislado separable de dos materiales
KR102365477B1 (ko) 가공배전선 편의성 향상 고정기구
KR101785014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KR102381232B1 (ko) 피뢰구조장착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KR101742661B1 (ko) 지중선전 인입커넥터
KR102243941B1 (ko)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기초대
KR101786054B1 (ko)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KR100872556B1 (ko) 지중전선 연결형 배전기기
KR100866992B1 (ko)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
KR101741527B1 (ko)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
US4523054A (en) Line-past insulator support system, method of assembly thereof, and clamp for use therein
KR100869596B1 (ko)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KR102066691B1 (ko)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101818237B1 (ko) 지중 배전선 커넥터
KR200491327Y1 (ko) 연장형 인류클램프 절연커버(폴리머현수애자용)
CN104092144B (zh) 绝缘子更换工具
KR101210518B1 (ko) 가공 송배전 선로 지지용 절연 완철
KR102243944B1 (ko)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0864106B1 (ko) 지상배전함에 대한 지중전선 커넥터
KR101550852B1 (ko) 내전압 시험용 선로연결설비
KR101597609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용 접속구조
KR100862369B1 (ko) 지중배전기기의 커넥터
KR101597610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2041331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안정적 결합상태 유지 탈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