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527B1 -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527B1
KR101741527B1 KR1020170013891A KR20170013891A KR101741527B1 KR 101741527 B1 KR101741527 B1 KR 101741527B1 KR 1020170013891 A KR1020170013891 A KR 1020170013891A KR 20170013891 A KR20170013891 A KR 20170013891A KR 101741527 B1 KR101741527 B1 KR 101741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underground distribution
underground
passage portion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보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보활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보활선
Priority to KR102017001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배전선접속부재에 결합된 지중배전선이 자체 하중에 의해 지중배전선접속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밴드가 걸림턱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밴드의 회전에 따른 지중배전선접속부재로부터 지중배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고정밴드의 불량 등에 따른 하자 발생시에도 지중배전선이 배전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Connector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배전선접속부재에 결합된 지중배전선이 자체 하중에 의해 지중배전선접속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밴드가 걸림턱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밴드의 회전에 따른 지중배전선접속부재로부터 지중배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고정밴드의 불량 등에 따른 하자 발생시에도 지중배전선이 배전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는 지중 또는 지상에 설치된 배전기에 지중배전선을 접속하거나 탈속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1통로부(110)와, 제1통로부(110)와 수직으로 연통되어 외부로 개구되는 제2통로부(120)를 갖춘 절연재질의 케이스(100); 케이스(100)의 제1통로부(110)에 회전가능하면서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전기(B)의 부싱단자(b1)에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전도체 재질의 커넥터단자(200); 케이스(100)의 제2통로부(120)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W)과 커넥터단자(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 재질의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중배전선(W)은 고압의 전력케이블로써 전류가 흐르는 도선(w1)과 도선(w1)의 겉을 절연물질로 감싸서 외부로 전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피복(w2)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지중배전선(W)은 고압의 전력선으로 소정 부피 및 하중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중배전선(W)이 단순히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에 압입되어 고정되면, 초반에는 고정력이 높지만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지중배전선(W)의 하중으로 인해 도선(w1)이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중배전선(W)이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로부터 이탈되면, 누전 및 감전 등의 전기안전사고뿐만 아니라 단전이 발생되면서 사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69596호(2008.11.21.)에는 '지중전선 인입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배전 기술분야에 적용되는 전압은 발전 및 배전 기술의 발달, 발전 및 배전 용량의 대용량화, 배전효율 제고, 전력수요 증가 등등의 현실을 반영하기 위하여 변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154 KV급 이상의 전압에 사용되는 변압기를 포함하는 장치, 시스템 등도 배전 기술 분야에 포함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중전선 인입커넥터는 안착부가 걸림턱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밴드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등에 의해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지중전선이 배전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69596호(2008.11.21.)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배전선접속부재에 결합된 지중배전선이 자체 하중에 의해 지중배전선접속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밴드가 걸림턱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밴드의 회전에 따른 지중배전선접속부재로부터 지중배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고정밴드의 불량 등에 따른 하자 발생시에도 지중배전선이 배전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1통로부(110)와, 제1통로부(110)와 수직으로 연통되어 외부로 개구되는 제2통로부(120)를 갖춘 절연재질의 케이스(100); 케이스(100)의 제1통로부(110)에 회전가능하면서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상배전함(B)의 부싱단자(b1)에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전도체 재질의 커넥터단자(200); 케이스(100)의 제2통로부(120)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W)과 커넥터단자(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 재질의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 및 상기 제2통로부(120)의 개구부에 내경이 축소된 걸림턱(121)이 형성되되, 걸림턱(121)의 개구공(121a)이 타원형을 이루는 한편, 상기 지중배전선(W)의 둘레면을 감싸며 고정되어 걸림턱(121)의 개구공(121a)에 삽탈되는 타원형의 고정밴드(500)를 포함하는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로써, 상기 고정밴드(500)가 상기 걸림턱(121)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중배전선(W)을 상기 제2통로부(120)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6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속부(600)는, 상기 제2통로부(1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동에 따라 지중배전선(W)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가압수단(610); 및 상기 가압수단(610)이 지중배전선(W)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압수단(610)을 지중배전선(W)으로 압착하여 상기 가압수단(610)과 지중배전선(W)을 결속하는 결속수단(620)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610)은, 상기 제2통로부(120)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제2통로부(1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가압바(611); 및 상기 한 쌍의 가압바(611)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지중배전선(W)을 감싸는 압착바(612)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수단(620)은, 상기 가압수단(6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통로부(120)의 외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속링(621)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링(621)은, 상기 가압수단(610)이 지중배전선(W)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압바(61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압수단(610)을 지중배전선(W)으로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지중배전선접속부재에 결합된 지중배전선이 자체 하중에 의해 지중배전선접속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음으로써 지중배전선접속부재와 지중배전선의 결합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함께 전기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고정밴드가 걸림턱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밴드의 회전에 따른 지중배전선접속부재로부터 지중배전선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지중배전선이 배전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셋째, 고정밴드의 불량 등에 따른 하자 발생시에도 중배전선이 배전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의 작동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에서 결속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에서 가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869596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869596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869596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지중전선'은 '지중배전선'으로 대체하며, 고정밴드가 걸림턱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중배전선을 제2통로부에 결속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869596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는 케이스(100), 커넥터단자(200),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 캡(400) 및 고정밴드(5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와 같은 절연물질로 형성되고, 수평방향의 제1통로부(110) 및 수직방향의 제2통로부(120)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관으로써, 대체로 'T'자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1통로부(110)에는 커넥터단자연결부(320)의 상단이 배치되는 홈(111)이 제1통로부(110)와 제2통로부(120)가 교차되는 내측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제1통로부(110)의 일단은 배전기(B)의 부싱(b)에 결합되고, 타단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캡(400)이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제2통로부(120)는 제1통로부(110)와 수직으로 연통되며, 그 하단에 지중배전선(W)의 삽탈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외부로 개구된다.
상기 제2통로부(120)는 개구부에 내경이 축소된 걸림턱(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21)은 중앙에 지중배전선(W)이 관통할 수 있도록 타원형의 개구공(121a)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단자(200)는 전도체이며, 케이스(100)의 제1통로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전기(B)의 부싱단자(b1)에 통전되도록 나사결합된다.
상기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는 지중배전선고정부(310)와 커넥터단자연결부(320)로 이루어져서, 지중배전선고정부(310)가 제2통로부(120)에 배치되도록 제1통로부(110)와 제2통로부(120)가 교차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도선삽입홈(311)에 도선(w1)이 배치되면 지중배전선고정부(310)의 외부면을 가압하여 도선(w1)이 지중배전선고정부(310)에 압입되어 지중배전선(W)이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에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단자연결부(320)는 지중배전선고정부(310)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커넥터단자(200)가 삽입되어 통전되는 커넥터단자통과공(321)이 구비되고서 상단이 홈(111)에 배치되도록 제1통로부(110)에 배치된다.
상기 캡(400)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져서 제1통로부(110)의 타단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는 상기 피복(w2)을 압착하며 고정되는 고정밴드(500)가 보강 구비된다.
상기 고정밴드(500)는 외부에 타원형을 이루는 안착부(5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중배전선(W)을 끼울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지중배전선(W)이 통공에 끼워지면 가압하여 고정한다.
상기 고정밴드(500)는 개구공(121a)을 통과하되, 회전시키면 개구공(121a)의 단축에 안착부(510)가 걸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밴드(500)가 개구공(121a)의 상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밴드(500)가 고정된 지중배전선(W)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 안착부(510)가 걸림턱(121)에 걸리게 되어 지중배전선(W)이 커넥터에 고정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배전선(W)의 피복(w2)을 적정길이 제거한 후, 노출된 상기 도선(w1)의 하방에 위치한 피복(w2)의 둘레를 감싸서 고정밴드(500)를 고정한다.
상기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와 도선(w1)이 통전 가능해지도록 지중배전선(W)을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밴드(500)의 장축이 개구공(121a) 장축과 평행하게 배치한 뒤, 커넥터단자연결부(320)가 제1통로부(110)의 홈(111)에 배치되도록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를 제2통로부(120)의 상방으로 밀어넣으면, 고정밴드(500)가 걸림턱(121)의 상방에 배치된다.
도 5는 상기 고정밴드(500)의 장축 및 개구공(121a)의 장축이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그리고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배전선(W)을 측방으로 일정각도 일 예로 90도 회전시키면, 안착부(510)가 걸림턱(121)에 걸리게 된다.
그 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단자통과공(321)을 관통시켜 제1통로부(110)에 커넥터단자(200)를 배치하고서 부싱단자(b1)에 커넥터단자(200)를 고정시키면, 지중배전선(W)의 접속이 완료된다.
한편, 도 3은 상기 안착부(510)가 걸림턱(121)에 걸려 커넥터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2의 A-A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는 상기 케이스(100)에 걸림턱(121)이 더 형성되고 지중배전선(W)에 고정밴드(500)가 보강 구비된다.
따라서, 종래 상기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로만 지지되었던 지중배전선(W)의 하중을 고정밴드(500)가 걸림턱(121)에 걸려서 이중으로 지지되므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지중배전선(W)의 하중에도 도선(w1)과 지중배전선고정부(310)의 고정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는 상기 지중배전선(W)이 지중배전선고정부(310)에 일정한 고정력으로 유지되므로, 지중배전선(W)이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누전 및 감전 등의 전기안전사고뿐만 아니라 단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감소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밴드(500)가 상기 걸림턱(121)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중배전선(W)을 상기 제2통로부(120)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6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결속부(600)는 지중배전선(W)이 배전기(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510)가 상기 걸림턱(121)에 걸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의 가압이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등에 의한 상기 고정밴드(500)의 자동 회전에 따른 상기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로부터 상기 지중배전선(W)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600)는 상기 고정밴드(500)의 하자 발생시 상기 고정밴드(500)를 대신하여 지중배전선(W)이 배전기(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600)는 상기 제2통로부(1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동에 따라 지중배전선(W)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가압수단(610) 및 상기 가압수단(610)이 지중배전선(W)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압수단(610)을 지중배전선(W)으로 압착하여 상기 가압수단(610)과 지중배전선(W)을 결속하는 결속수단(620)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수단(610)은 상기 제2통로부(120)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제2통로부(1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가압바(611) 및 상기 한 쌍의 가압바(611)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지중배전선(W)을 감싸는 압착바(6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통로부(120)는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편(122)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압바(611)는 각각 상단부가 힌지축(615)에 의해 상기 고정편(1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바(613) 및 일단부가 상기 상부바(613)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압착바(612)에 연결되는 하부바(614)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바(611)는 상기 상,하부바(613,614)가 일체로 연결되면서 'ㄴ'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상부바(613)는 상단부에 상기 고정편(122)이 인입되는 결합홈(613a)이 형성되면서 상기 힌지축(615)에 의해 상기 고정편(1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바(612)는 지중배전선과 접하는 내측면이 곡면을 이루면서 지중배전선(W)의 둘레를 감싼다.
상기 가압수단(610)은 상기 압착바(612)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압착부재(6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재(616)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결속수단(620)의 결속에 따라 지중배전선(W)과 상기 압착바(612)의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안정적인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압착바(612)와 지중배전선(W) 간의 접촉에 의한 마모 등으로 인한 누전 등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수단(610)은 상기 한 쌍의 가압바(611)가 하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압착바(612)가 지중배전선(W)에 접하면서 상기 지중배전선(W)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610)은 상기 한 쌍의 가압바(611)가 상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지중배전선(W)이 배전기(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거나, 지중배전선(W)이 배전기(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부터 접속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속수단(620)은 상기 제2통로부(12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결속링(621)을 포함한다.
상기 결속링(621)은 상기 가압수단(6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통로부(120)의 외측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수단(610)이 지중배전선(W)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압바(61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압수단(610)을 지중배전선(W)으로 압착하여 상기 가압수단(610)과 지중배전선(W)을 결속한다.
상기 가압수단(610)은 상부바(613)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결속링(62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6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링(621)은 내주면에 상기 한 쌍의 가압바(611)가 인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62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결속링(621)은 상기 한 쌍의 가압바(6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가압수단(610)을 결속 또는 결속해제할 수 있다.
상기 결속수단(620)은 상기 결속링(621)이 상기 가압수단(610)을 결속한 상태에서 승,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승강방지수단(6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방지수단(622)은 상기 가이드홈(621a)을 이루는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잠금부재(623) 및 상기 제1잠금부재(623)에 대응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압바(611)에 구비되는 제2잠금부재(6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2방지부재(623,624)는 각각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2방지부재(623,624) 중 어느 하나의 방지부재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방지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결속부(600)는 상기 고정밴드(500)가 상기 걸림턱(12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밴드(500)의 회전에 따른 상기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로부터 지중배전선(W)의 이탈을 방지하여 지중배전선(W)이 배전기(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600)는 상기 고정밴드(500)의 하자 발생시 상기 고정밴드(500)를 대신하여 지중배전선(W)이 배전기(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100 : 케이스 110 : 제1통로부
111 : 홈 120 : 제2통로부
121 : 걸림턱 122 : 고정편
200 : 커넥터단자 300 : 지중전선접속부재
310 : 지중전선고정부 311 : 도선삽입홈
320 : 커넥터단자연결부 321 : 커넥터단자통과공
500 : 고정밴드 501 : 잠금홈
510 : 안착부 600 : 결속부
610 : 가압수단 611 : 가압바
612 : 압착바 613 : 상부바
614 : 하부바 615 : 힌지축
616 : 압착부재 617 : 이탈방지턱
620 : 결속수단 621 : 결속링
621a : 가이드홈 622 : 승강방지수단
623 : 제1잠금부재 624 : 제2잠금부재

Claims (1)

  1.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1통로부(110)와, 제1통로부(110)와 수직으로 연통되어 외부로 개구되는 제2통로부(120)를 갖춘 절연재질의 케이스(100);
    케이스(100)의 제1통로부(110)에 회전가능하면서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상배전함(B)의 부싱단자(b1)에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전도체 재질의 커넥터단자(200);
    케이스(100)의 제2통로부(120)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W)과 커넥터단자(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 재질의 지중배전선접속부재(300); 및
    상기 제2통로부(120)의 개구부에 내경이 축소된 걸림턱(121)이 형성되되, 걸림턱(121)의 개구공(121a)이 타원형을 이루는 한편, 상기 지중배전선(W)의 둘레면을 감싸며 고정되어 걸림턱(121)의 개구공(121a)에 삽탈되는 타원형의 고정밴드(500)를 포함하는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로써,
    상기 고정밴드(500)가 상기 걸림턱(121)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중배전선(W)을 상기 제2통로부(120)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6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속부(600)는,
    상기 제2통로부(1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동에 따라 지중배전선(W)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가압수단(610); 및
    상기 가압수단(610)이 지중배전선(W)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압수단(610)을 지중배전선(W)으로 압착하여 상기 가압수단(610)과 지중배전선(W)을 결속하는 결속수단(620)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610)은,
    상기 제2통로부(120)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제2통로부(1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가압바(611); 및
    상기 한 쌍의 가압바(611)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지중배전선(W)을 감싸는 압착바(612)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수단(620)은,
    상기 가압수단(6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통로부(120)의 외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속링(621)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링(621)은,
    상기 가압수단(610)이 지중배전선(W)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압바(61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압수단(610)을 지중배전선(W)으로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
KR1020170013891A 2017-01-31 2017-01-31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 KR101741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891A KR101741527B1 (ko) 2017-01-31 2017-01-31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891A KR101741527B1 (ko) 2017-01-31 2017-01-31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527B1 true KR101741527B1 (ko) 2017-05-31

Family

ID=5905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891A KR101741527B1 (ko) 2017-01-31 2017-01-31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5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084B1 (ko) * 2017-12-14 2018-11-05 (주)한송엔지니어링 송전선로의 역섬락 예방시스템
CN109142981A (zh) * 2018-09-28 2019-01-04 四川能投云电科技有限公司 一种传输线路的故障定位装置
KR101973762B1 (ko) * 2018-11-06 2019-04-30 (주)신영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596B1 (ko) 2008-06-27 2008-11-21 태형전기(주)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KR101448140B1 (ko) 2014-06-11 2014-10-08 동재감리 주식회사 효과적인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639048B1 (ko) 2016-02-05 2016-07-13 (주)투-에스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연결을 위한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596B1 (ko) 2008-06-27 2008-11-21 태형전기(주)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KR101448140B1 (ko) 2014-06-11 2014-10-08 동재감리 주식회사 효과적인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639048B1 (ko) 2016-02-05 2016-07-13 (주)투-에스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연결을 위한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084B1 (ko) * 2017-12-14 2018-11-05 (주)한송엔지니어링 송전선로의 역섬락 예방시스템
CN109142981A (zh) * 2018-09-28 2019-01-04 四川能投云电科技有限公司 一种传输线路的故障定位装置
CN109142981B (zh) * 2018-09-28 2023-09-19 四川能投云电科技有限公司 一种传输线路的故障定位装置
KR101973762B1 (ko) * 2018-11-06 2019-04-30 (주)신영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527B1 (ko) 지중배전선 인입커넥터
US8827729B2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KR101689727B1 (ko) 고전압용 커넥터
KR101910462B1 (ko) 고 전류 어플리케이션용 안전 시스템
KR101742661B1 (ko) 지중선전 인입커넥터
CN109565120A (zh) 电连接器的套圈组件
CN109565129A (zh) 电力连接器系统
US8764467B2 (en) External connector for solid insulated load break switchgear
CA2654984A1 (en) Conductor connection
CN106663507B (zh) 电连接器
KR101666771B1 (ko) 전계완화가 가능한 폴리머 컷아웃 스위치
KR100866992B1 (ko) 누전 및 감전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
KR100869596B1 (ko)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KR100872556B1 (ko) 지중전선 연결형 배전기기
KR20180003199U (ko)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측정용 어댑터
KR100864106B1 (ko) 지상배전함에 대한 지중전선 커넥터
KR101597609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용 접속구조
KR101786054B1 (ko) 지중전선 인입커넥터
KR101973762B1 (ko)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
KR102046412B1 (ko) 밀폐형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JP2008267857A (ja) ブッシング用試験端子
US5318460A (en) Electrical connectors
KR101964311B1 (ko) 특고압 배전선로의 접속장치
CN107978501A (zh) 一种固体熔断器
KR101649863B1 (ko) 에폭시몰드 캐니스터 퓨즈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