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811Y1 - 책갈피 - Google Patents

책갈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811Y1
KR200343811Y1 KR20-2003-0026245U KR20030026245U KR200343811Y1 KR 200343811 Y1 KR200343811 Y1 KR 200343811Y1 KR 20030026245 U KR20030026245 U KR 20030026245U KR 200343811 Y1 KR200343811 Y1 KR 200343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plate
plate member
bookmark
natural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을화
Original Assignee
정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을화 filed Critical 정을화
Priority to KR20-2003-0026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8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8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lase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1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 B42D9/004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removably attached to the boo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무, 자개 등과 같은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책갈피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중심에 위치되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중심부재(11, 21)와; 상기 중심부재(11, 21)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박판부재(12, 22)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판부재(12, 22)에는 소정의 문양 및 문자가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책갈피{Book-mark}
본 고안은 나무, 자개 등과 같은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책갈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무결 무늬가 살아있는 나무소재 혹은 천연 자개소재의 표면 상에 레이저가공, 디지털 평판 프린트와 같은 인쇄방법 혹은 상감기법과 같은 가공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문양 및 문자를 표현함에 의해 자연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굽힘에 의한 천연소재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늬목 및 자개를 이용한 책갈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두께가 얇은 장식물, 예컨대 책갈피, 열쇠고리, 핸드폰줄 등과 같은 장식물은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소재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금속소재로 만들어지는 장식물의 경우에 있어서 표면에 문양이나 문자를 표현하는 방법으로서는, 단순히 금속표면에 요철이나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방법, 약품에 의해 금속표면을 산화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들로는 표현에 한계가 있고, 특히 금속표면을 약품에 의해 산화시키는 방법은 수질오염을 일으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금속소재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장식물을 나무소재로 만드는 경우에는 나무의 건조시 수축이나 뒤틀림과 같은 변형이 발생되고, 최종 제품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통상 0.5㎜ ∼ 1.2㎜) 견고성이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며, 특히 전단응력에 대한 강도가 현저히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나무 혹은 자개소재의 표면 상에 레이저가공, 디지털 평판 프린트와 같은 인쇄방법 혹은 상감기법과 같은 가공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문양 및 문자를 표현함에 의해 자연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나무 혹은 자개소재의 일측면에 강도, 신축성 등이 우수한 소재를 접착시켜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굽힘에 의한 천연소재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늬목 및 자개를 이용한 책갈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책갈피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책갈피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책갈피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책갈피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21 : 중심부재 12, 22 : 박판부재
13 : 문양 및 문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중심에 위치되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박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판부재에는 소정의 문양 및 문자가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중심부재는 0.5 ∼ 1.0㎜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박판, 탄성중합체, 합판 및 MDF(중밀도 섬유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박판부재는 0.15 ∼ 0.03㎜의 두께를 가지는 천연무늬목일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박판부재에 표현되는 문양 및 문자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박판부재의 표면에 천연무늬목이나 천연자개로 이루어진 또 다른 박판부재를 덧붙이거나 상감기법을 행하여 문양 및 문자를 표현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중심부재는 탄성중합체이며, 상기 박판부재는 0.15 ∼ 0.03㎜의 두께를 가지는 천연자개일 수도 있으며, 이 때 상기 박판부재에 표현되는 문양 및 문자는 프린팅 장치에 의해 인쇄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박판부재 상에는, 아교용액에 의한 1차 코팅층과, 소정의 문양 및 문자가 인쇄된 인쇄층과, 2차 코팅액에 의한 2차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1차 코팅을 위한 아교용액은, 고체상태의 아교를 대략 100℃ 정도로 가열한 후 물과 아교를 1 : 1의 비율로 섞어 희석시킨 다음 교반시켜 만들어지며, 상기 2차 코팅을 위한 코팅액은, 라커 또는 우레탄 용액과 경화제를 2 : 1의 비율로 섞어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무늬목 및 자개를 이용한 책갈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은 도 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는, 중심에 위치되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중심부재(11)와, 이 중심부재(11)의 전면 및 배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박판부재(12)로 이루어진다.
본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11)로서는 두께 0.5 ∼ 1.0㎜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박판, PVC나 비닐소재와 같은 탄성중합체(본 명세서에서 탄성중합체란 천연 및 합성 고분자화합물을 총칭하는 것이다), 또는 합판이나 MDF(중밀도 섬유판 : Medium Density Fiberboard)와 같은 목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박판부재(12)로서는 두께 0.15 ∼ 0.03㎜의 천연무늬목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서,상기 중심부재(11)의 두께는 0.6㎜, 상기 박판부재(12)의 두께는 0.1 ∼ 0.0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중심부재(11)가 MDF인 경우,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중심부재(11)로 사용하고자 하는,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되어 있는 MDF를 둥근톱 등에 의해서 대략 1㎜ 내외의 두께로 절단한 후, 다듬질을 통하여 필요한 치수에 맞도록 가공한다. MDF는 나무를 가공할 때 생기는 톱밥이나 자투리 나무에서 섬유질만 뽑아 압축한 목재로서, 작업하기가 편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나무의 질감이 살아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계속해서, 필요한 치수의 두께로 가공된 MDF 소재의 중심부재(11)의 전면 및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0.15 ∼ 0.03㎜의 두께로 가공된 천연 무늬목 박판부재(12)를 접착시킨다.
이와 같이,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중심부재(11)의 양면에 천연나무의 무늬를 가지는 박판부재(12)를 접착함으로써 외적인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동시에 충격이나 굽힘강도에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책갈피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중심부재(11)의 양면에 박판부재(12)를 접착시킨 후, 레이저 가공 등을 통하여 표면에 소정의 문양 및 문자(13)를 표현한다. 그 다음 적절한 형상으로 커팅한 후 끈이나 줄을 결합하는 등의 마무리 작업을 행함으로써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제조가 완료된다.
도 1에는 중심부재로서 MDF를 사용하고, 박판부재로서 천연무늬목을 사용한책갈피가 나타나 있지만, 각각의 재료가 그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부재의 양면에 천연무늬목으로 만들어진 박판부재를 접착하는 것 이외에도, 박판부재로서 천연자개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천연무늬목의 표면에 천연자개를 덧붙이거나 상감기법 등을 통하여 문양 및 문자를 표현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은 도 5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는, 중심에 위치되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중심부재(21)와, 이 중심부재(21)의 전면에만 또는 전면 및 배면 모두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박판부재(22)로 이루어진다.
본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21)로서는 PVC, 비닐 등과 같은 탄성중합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박판부재(22)로서는 두께 0.15 ∼ 0.03㎜의 천연자개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박판부재(22)의 두께는 0.1 ∼ 0.0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중심부재(21)로서 탄성중합체를 사용하는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필요한 치수의 두께를 가지는 탄성중합체 소재의 중심부재(21)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0.15 ∼ 0.03㎜의 두께로 가공된 천연자개 소재의 박판부재(22)를 접착시킨다.
이와 같이,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중심부재(21)의 양면에 천연의 무늬를 가지는 자개로 이루어진 박판부재(22)를 접착함으로써 외적인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동시에 충격이나 굽힘강도에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책갈피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중심부재(21)의 적어도 한쪽 면에 박판부재(22)를 접착시킨 후, 아교용액을 이용한 1차 코팅작업을 행하고 건조시킨다. 여기에서, 아교용액은, 고체상태의 아교를 대략 100℃ 정도로 가열한 후 물과 아교를 대략 1 : 1의 비율로 섞어 희석시킨 다음 100rpm의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시켜 만들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아교용액을 사용하여 붓으로 대략 0.01㎜의 두께를 가지도록 코팅한다. 이와 같은 아교용액에 의해 박판부재를 코팅하는 것은 후술하는 인쇄공정에서의 인쇄효과 및 표현효과를 높여 문양 및 문자가 선명하게 보여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해서, 박판부재의 표면이 건조된 후, 그 표면에 평면 실사 출력기와 같은 프린팅 장치를 사용하여 소정의 문양 및 문자를 표현한다.
소정의 문양 및 문자가 표현된 표면은 라커 또는 우레탄 용액과 경화제를 대략 2 : 1의 비율로 섞어 만들어지는 코팅액에 의해서 2차 코팅된다. 이러한 2차 코팅은 책갈피 표면의 광택 및 유연성과 표면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2차 코팅액이 건조된 다음 적절한 형상으로 커팅한 후 끈이나 줄을 결합하는 등의 마무리 작업을 행함으로써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제조가 완료된다.
도 4에는 중심부재로서 탄성중합체를 사용하고, 박판부재로서 천연자개를 사용한 책갈피가 나타나 있지만, 각각의 재료가 그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중심부재로서 나무결 무늬가 없는 MDF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책갈피를 제조시 중심부재의 양면에 모두 천연 무늬목 등의 박판부재를 접착시켰지만, 제2 실시예와 같이 중심부재로서 표면이 미려한 비닐 등의 탄성중합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중심부재의 한쪽 면에만 박판부재를 접착시켜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나무 혹은 자개소재의 표면 상에 레이저가공, 디지털 평판 프린트와 같은 인쇄방법 혹은 상감기법과 같은 가공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문양 및 문자를 표현함에 의해 자연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나무 혹은 자개소재의 일측면에 강도, 신축성 등이 우수한 소재를 접착시켜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굽힘에 의한 천연소재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늬목 및 자개를 이용한 책갈피가 제공된다.

Claims (6)

  1. 중심에 위치되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중심부재(11)와;
    상기 중심부재(11)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천연무늬목 소재의 박판부재(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판부재(12)에는 소정의 문양 및 문자가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11)는 0.5 ∼ 1.0㎜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박판, 탄성중합체, 합판 및 MDF(중밀도 섬유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박판부재(12)는 0.15 ∼ 0.03㎜의 두께를 가지는 천연무늬목인 것과,
    상기 박판부재(12)에 표현되는 문양 및 문자(13)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부재(12)의 표면에 천연무늬목이나 천연자개로 이루어진 또 다른 박판부재를 덧붙이거나 상감기법을 행하여 문양 및 문자를 표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4. 중심에 위치되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중심부재(21)와;
    상기 중심부재(21)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천연자개 소재의 박판부재(22)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판부재(22)에는 소정의 문양 및 문자가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부재(22) 상에는, 아교용액에 의한 1차 코팅층과, 소정의 문양 및 문자가 인쇄된 인쇄층과, 2차 코팅액에 의한 2차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1차 코팅을 위한 아교용액은, 고체상태의 아교를 100℃ 정도로 가열한 후 물과 아교를 1 : 1의 비율로 섞어 희석시킨 다음 교반시켜 만들어지며,
    상기 2차 코팅을 위한 코팅액은, 라커 또는 우레탄 용액과 경화제를 2 : 1의 비율로 섞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21)는 탄성중합체이며, 상기 박판부재(22)는 0.15 ∼ 0.03㎜의 두께를 가지는 천연자개인 것과,
    상기 박판부재(22)에 표현되는 문양 및 문자는 프린팅 장치에 의해 인쇄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KR20-2003-0026245U 2003-08-14 2003-08-14 책갈피 KR200343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245U KR200343811Y1 (ko) 2003-08-14 2003-08-14 책갈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245U KR200343811Y1 (ko) 2003-08-14 2003-08-14 책갈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323A Division KR20050018463A (ko) 2003-08-14 2003-08-14 무늬목 및 자개를 이용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811Y1 true KR200343811Y1 (ko) 2004-03-04

Family

ID=4942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245U KR200343811Y1 (ko) 2003-08-14 2003-08-14 책갈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8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32807C (zh) 带有匹配表面的结构板
JPH11291203A (ja) 木質化粧板の製造方法
JP2008156893A (ja) 建築材の製造方法と建築材
JPH06307065A (ja) 木質系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43811Y1 (ko) 책갈피
KR200333640Y1 (ko) 무늬목 및 자개를 이용한 장식물이 부착된 장식소품
WO2005067466A3 (en) Printed vulcanized fibre-based product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KR20050018463A (ko) 무늬목 및 자개를 이용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JPS6357202A (ja) ライン模様化粧単板の製造方法
JP5444633B2 (ja) 色彩浮造り合板の製造方法
JP2013039745A (ja) 木質建材の製造方法
KR100899402B1 (ko) 가구용 도어 패널의 제조 방법 및 그 도어 패널
JP2002331501A (ja) 人工杢単板または人工杢板の製造方法
KR100517691B1 (ko) 입체문양이 형성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100490588B1 (ko) 장신구 가공용 목재의 제조방법 및 그 목재
JP3175150B2 (ja) 木質化粧板の製造方法
KR200302711Y1 (ko) 나무무늬 액자
JPH0970804A (ja) 木目を生かした曲げ木工法
CN2365314Y (zh) 一种新型贴面板
JP2002326205A (ja) 人工木目と天然木目をもつカラー木目板
KR20010069621A (ko) 저가 무늬목을 이용한 무늬목 가구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방법을 이용한 무늬목 가구
JPS59165652A (ja) 化粧単板の製法
JPH0577205A (ja) 木質化粧材の木目表現方法
JP2001315106A (ja) 高級感に富んだ木調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4404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