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806Y1 -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806Y1
KR200343806Y1 KR2019980025502U KR19980025502U KR200343806Y1 KR 200343806 Y1 KR200343806 Y1 KR 200343806Y1 KR 2019980025502 U KR2019980025502 U KR 2019980025502U KR 19980025502 U KR19980025502 U KR 19980025502U KR 200343806 Y1 KR200343806 Y1 KR 200343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information
frequency
pass filter
intermediat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506U (ko
Inventor
황재홍
Original Assignee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25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80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5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5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8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using analogue/digital converters of the type with conversion of voltage or current into frequency and measuring of this frequ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량기의 송수신 기능을 향상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에 결함이 있어 검침 정보를 공중으로 송출하기 위해 변조하는 과정에서 검침 정보에 잡음이 삽입되거나 검침 정보가 왜곡될 경우 검침기는 정확한 검침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또한, 계량기가 검침기의 요구를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는 검침기가 공중으로 전송하는 검침을 요구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해야 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검침기로 검침 정보 전송시 전송할 검침 정보를 저역 통화 필터링시키고 주파수 변조시킨 후, 증폭시키고 대역 통과 필터링시키도록 한다. 또한, 검침기로부터 변조된 검침 요구 정보 수신시 수신된 검침 요구 정보를 대역 통과 필터링시키고 저잡음 증폭시킨 후,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키고 복조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계량기의 송수신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
본 고안은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계량기의 송수신 기능을 향상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검침 시스템(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 AMRS)이란 검침원이 가정을 방문하지 않고 원격지에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계량기의 사용량을 자동으로 읽어내는 서비스로,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검침 및 고지서 발부의 자동화에 따른 인건비 절감
2) 신속, 정확한 검침을 사용한 부하 특성 판단
3) 계량기 설치 위치가 자유롭고 배관, 배선의 경제적 시공 가능
4) 수용가의 이사, 전입시 즉시 정산 가능
5) 검침원을 가장한 범죄 예방
6) 검침 실수로 인한 요금 징수 예방
7) 정확한 검침으로 도전 예방
종래의 계량기는 검침기의 검침 정보 요구에 의거하여 사용 전력량을 검침해서 이 검침 정보를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시켜 검침 정보를 요구한 검침기로 전송한다. 이때, 검침기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계량기에 설치된 송수신 장치를 사용한다.
따라서,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 성능이 좋아야 검침 정보가 검침기로 정확하게 전송된다. 만일,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에 결함이 있어 검침 정보를 공중으로 송출하기 위해 변조하는 과정에서 검침 정보에 잡음이 삽입되거나 검침 정보가 왜곡될 경우 검침기는 정확한 검침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또한, 계량기가 검침기의 요구를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는 검침기가 공중으로 전송하는 검침을 요구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해야 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검침기로 검침 정보 전송시 전송할 검침 정보를 저역 통화 필터링시키고 주파수 변조시킨 후, 증폭시키고 대역 통과 필터링시키도록 하는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검침기로부터 변조된 검침 요구 정보 수신시 수신된 검침 요구 정보를 대역 통과 필터링시키고 저잡음 증폭시킨 후,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키고 복조시키도록 하는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검침 정보를 주파수 변조시키는 주파수 변조부; 기절정된 안테나와 일 단이 접속되어 상기 송수신 장치가 사용하는 공중파에 해당하는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 송신 모드시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타 단과 상기 주파수 변조부의 출력단을 스위칭시키고 수신 모드시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타 단과 특정 단을 스위칭시키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특정 단을 통해 제공되는 주파수 변조된 검침 정보 요구 신호를 제공받아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중간 주파수 발생부; 상기 중간 주파수 발생부로부터 중간 주파수를 제공받아 복조시키는 복조부; 상기 복조부로부터 제공되는 복조된 검침 요구 정보를 원래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량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수신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3 : 검침부 44 : 마이콤
45 : 송수신부 46 : 안테나
47 : 저장부 48 : 표시부
52, 70 : 저역 통과 필터 54 : 주파수 변조부
56 : 주파수 체배부 58 : 전력 증폭부
60 : 스위칭부 62 : 대역 통과 필터
64 : 저잡음 증폭부 66 : 중간 주파수 발생부
68 : 복조부 72 : 신호 변환부
이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량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검침부(43), 마이콤(44), 송수신부(45), 안테나(46), 저장부(47), 그리고 표시부(48)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검침부(43)는 사용 전력량을 검침하여, 이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해서 마이콤(44)으로 제공한다.
마이콤(44)은 검침부(43)로부터 디지탈 검침 신호를 제공받아 저장부(47)에 저장한다. 또한, 마이콤(44)은 저장부(47)로부터 기저장된 검침 데이터를 추출하여, 송수신부(45) 및 안테나(46)를 검침기(도면 중에 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한다.
송수신부(45)는 안테나(46)를 통해 검침기와 통신한다.
저장부(47)는 전기 소거식 롬(Electrically Erasable Read Only Memory : EEROM) 등의 메모리로 이루어져, 마이콤(44)의 제어를 받는다.
표시부(48)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등으로 이루어져, 마이콤(44)의 제어에 의해서 현재까지 사용한 전력 사용량 등 검침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여, 검침원 또는, 수용가 주민 등이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수신부(45)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저역 통과 필터(52, 70), 주파수 변조부(54), 주파수 체배부(56), 전력 증폭부(58), 스위칭부(60), 대역 통과 필터(62), 저잡음 증폭부(64), 중간 주파수 발생부(66), 복조부(68), 그리고 신호 변환부(72)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저역 통과 필터(52)는 이후에 공중으로 송출할 신호의 대역폭을 줄이기 위해 마이콤(44)으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탈 검침 정보의 고조파 신호를 제거하여 상승 에지 부분 및 하강 에지 부분을 완만하게 변형시킨다.
주파수 변조부(54)는 가변 용량 다이오드, 수정 진동자, 그리고 오실레이터로 구성되어, 저역 통과 필터(52)로부터 제공되는 검침 정보를 주파수 변조시킨다.
주파수 체배부(56)는 제 1 대역 통과 필터, 주파수 체배기, 그리고 제 2 대역 통과 필터의 순으로 구성되어, 제 1 대역 통과 필터는 주파수 변조부(54)의 변조 출력 주파수를 통과시킨다. 주파수 체배기는 제 1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을 소정의 계수로 체배시켜 송수신부(45)가 사용하는 변조 주파수가 되도록 한다. 제 2 대역 통과 필터는 주파수 체배기의 체배된 주파수 신호를 통과시킨다.
전력 증폭부(58)는 주파수 체배부(56)의 체배된 주파수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켜 공중으로 송출할 출력 레벨을 설정한다.
대역 통과 필터(62)는 송수신 장치가 사용하는 공중파에 해당하는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킨다.
스위칭부(60)는 송신 모드시 대역 통과 필터(62)와 전력 증폭부(58)의 출력단을 스위칭시켜 전력 증폭부(58)의 출력이 대역 통과 필터(62) 및 안테나(46)를 통해 공중으로 송출되도록 한다. 또한, 스위칭부(60)는 수신 모드시 대역 통과 필터(62)와 저잡음 증폭부(64)의 입력단을 스위칭시켜 대역 통과 필터(62)의 출력이 저잡음 증폭부(64)에 제공되도록 한다.
저잡음 증폭부(64)는 대역 통과 필터(62)의 출력을 저잡음으로 증폭한다.
중간 주파수 발생부(66)는 믹서, 중간 주파수 증폭기, 그리고 대역 통과 필터로 구성되어, 믹서는 저잡음 증폭부(64)로부터 제공되는 주파수 변조된 검침 정보 요구 신호를 제공받아 소정의 국부 발진 주파수와 혼합시켜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킨다. 중간 주파수 증폭기는 믹서의 출력을 증폭시킨다. 대역 통과 필터는 중간 주파수 증폭기의 출력 중에 중간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만 통과시킨다.
복조부(68)는 중간 주파수 발생부(66)로부터 중간 주파수를 제공받아 복조시킨다.
저역 통과 필터(70)는 복조부(68)로부터 제공되는 복조된 신호 중에서 잡음을 차단시키고 원래의 검침 정보 요구 신호 만을 통과시킨다.
신호 변환부(72)는 저역 통과 필터(70)로부터 제공되는 검침 요구 정보를 원래의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서 마이콤(44)으로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검침기로 검침 정보 전송시 전송할 검침 정보를 저역 통화 필터링시키고 주파수 변조시킨 후, 증폭시키고 대역 통과 필터링시키도록 한다. 또한, 검침기로부터 변조된 검침 요구 정보 수신시 수신된 검침 요구 정보를 대역 통과 필터링시키고 저잡음 증폭시킨 후,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키고 복조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계량기의 송수신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검침 정보를 주파수 변조시키는 주파수 변조부;
    기절정된 안테나와 일 단이 접속되어 상기 송수신 장치가 사용하는 공중파에 해당하는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
    송신 모드시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타 단과 상기 주파수 변조부의 출력단을 스위칭시키고 수신 모드시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타 단과 특정 단을 스위칭시키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특정 단을 통해 제공되는 주파수 변조된 검침 정보 요구 신호를 제공받아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중간 주파수 발생부;
    상기 중간 주파수 발생부로부터 중간 주파수를 제공받아 복조시키는 복조부;
    상기 복조부로부터 제공되는 복조된 검침 요구 정보를 원래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
KR2019980025502U 1998-12-18 1998-12-18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 KR200343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502U KR200343806Y1 (ko) 1998-12-18 1998-12-18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502U KR200343806Y1 (ko) 1998-12-18 1998-12-18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506U KR20000012506U (ko) 2000-07-05
KR200343806Y1 true KR200343806Y1 (ko) 2004-04-21

Family

ID=4942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502U KR200343806Y1 (ko) 1998-12-18 1998-12-18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8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506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4204A (en) Tap antenna unit
CN1080483C (zh) 无线电接收机的自动增益控制电路
US6411219B1 (en) Adaptive radio communication for a utility meter
RU2571730C2 (ru) Способ и средство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от транспондера считывателю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в средствах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оплат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вязи
MXPA03010243A (es) Extension economica de la distancia de operacion de un enlace remoto de radiofrecuencia que lleva senales de informacion que tienen diferentes frecuencia portadoras.
CA2096476C (en) Receiver circuit for digital and analog modulated signal
KR200343806Y1 (ko)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
EP0781013A3 (e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KR20000012505U (ko) 검침기의 송수신 장치
JPH02278941A (ja) ベースバンド信号通信装置
KR20000012507U (ko) 계량기의 송수신 장치
KR20000012510U (ko) 검침기의 송수신 장치
JP2591129B2 (ja) ホットスタンバイ切替方式
CN201039324Y (zh) 一种自动识别数字和模拟电视信号的便携式数字电视监测仪
KR100395093B1 (ko) 요금자동징수시스템의 무선송수신장치
JP2802089B2 (ja) マイクロ波中継方法
JP3253187B2 (ja) データ書込及び検査方式
JP3175751B2 (ja) 無線データ通信装置
CN207968483U (zh) 一种双波段定位导航射频前端
JPH09297178A (ja) 無線装置
KR0162273B1 (ko) 원격 제어용 수신기
KR100424769B1 (ko) 다중 부반송파 신호를 단일 중간주파수로 복조하는 장치및 그 방법
WO1999045680A3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fer of a digital information carrying signal
CN85105847A (zh) 短波超狭频带无线电数据传输设备
KR200202064Y1 (ko) 기지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