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613Y1 - 미서기창용 창틀 - Google Patents

미서기창용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613Y1
KR200343613Y1 KR20-2003-0012963U KR20030012963U KR200343613Y1 KR 200343613 Y1 KR200343613 Y1 KR 200343613Y1 KR 20030012963 U KR20030012963 U KR 20030012963U KR 200343613 Y1 KR200343613 Y1 KR 200343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ail
drainage holes
walls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재경
송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3-0012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Abstract

본 고안의 미서기창용 창틀은 다수의 레일에 형성되는 배수홀의 위치를 재배치하여 배수홀을 통한 빗물 및 해충의 실내로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내측 창짝(3)의 실내측면을 안내하는 내측 레일(7); 이 내측 레일(7)의 반대측에 제공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외측 창짝(5)의 외부측면을 안내하고, 창짝(3, 5)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실외로 배출시키는 외측 배수홀(21)을 형성하고 있는 외측 레일(9); 및 이 외측 레일(9)과 내측 레일(7) 사이에서 다수 창짝(3, 5)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 지지하며, 그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11c, 13c)를 형성하도록 2중 구조로 형성되는 제1 벽(11a, 13a)과 제2 벽(11b, 13b), 및 창짝(3, 5)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외측 배수홀(21)로 안내하도록 제1 벽(11a, 13a) 및 제2 벽(11b, 13b)에 각각 어긋나게 배치 및 형성되는 제1 내측 배수홀(11d, 13d) 및 제2 내측 배수홀(11e, 13e)을 구비하는 다수의 중간 레일(11, 13)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미서기창용 창틀 {Frame for sliding window system}
본 고안은 미서기창용 창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에 형성된 배수홀을 어긋나게 배치하여 배수홀을 통하여 빗물 및 해충이 실외에서 실내로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미서기창용 창틀에 관한 것이다.
미서기창은 다수의 창짝과 이 창짝을 지지하는 창틀로 구성되어 있다. 창틀(4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짝의 슬라이딩 개폐를 안내하는 다수의 레일(43, 45, 47)을 구비하고 있다. 이 레일(43, 45, 47)은 창짝의 하측에 장착되는 롤러의 구름 작동을 지지하도록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창틀에 다수의 홈(49, 51, 53)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바람이 불어 창짝의 글라스에 빗물이 떨어지게 되면, 그 빗물은 글라스를 타고 흘러 내려 창틀(41)의 홈(49, 51, 53)에 고이게 된다. 이 창틀(41)의 홈(49, 51, 53)에 고이는 빗물을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실내 측 레일(47)을 제외한 전 레일(41, 43, 45)에 배수홀(55, 57, 59)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수홀(55, 57, 59) 중에서, 중간 레일(43, 45)에 형성된 배수홀(57, 59)은 2겹 구조의 레일(43, 45)에 각각 2개의 배수홀(57a, 57b, 59a, 59b)로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배수홀(57a, 57b)은 중간 레일(43)의 동일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있고, 또 다른 2개의 배수홀(59a, 59b)은 다른 중간 레일(45)의 동일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 레일(43)에 형성되는 배수홀(57a, 57b)이 동일 위치에 형성되고, 다른 중간 레일(45)에 형성되는 배수홀(59a, 59b)이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창틀(41)은 실외에서 실내로 이어지는 화살표와 같은 짧은 배수 경로(a)를 형성하게 된다.
이 창틀(41)의 배수 경로(a)는 바람이 불어 많은 양의 빗물이 창짝의 글라스에 떨어지게 되면 외측 레일(41)에 형성된 배수홀(55)로 배수되지 못한 일부 빗물 및 해충이나 벌레가 쉽게 침투하는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에 형성되는 배수홀의 위치를 재배치하여 배수홀을 통한 빗물 및 해충의 실내로의 침투를 방지하는 미서기창용 창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미서기창용 창틀은 슬라이딩 이동하는 내측 창짝의 실내측면을 안내하는 내측 레일;
이 내측 레일의 반대측에 제공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외측 창짝의 외부측면을 안내하고, 창짝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실외로 배출시키는 외측 배수홀을 형성하고 있는 외측 레일; 및
이 외측 레일과 내측 레일 사이에서 다수 창짝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 지지하며, 그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2중 구조로 형성되는 제1, 2 벽, 및 창짝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외측 배수홀로 안내하도록 제1, 2 벽에 각각 어긋나게 배치 및 형성되어는 제1, 2 내측 배수홀을 구비하는 다수의 중간 레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2 내측 배수홀은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기 때문에 실외에서 실내로의 빗물이나 벌레 및 해충의 침투를 어렵게 한다. 또한 이 제1, 2 내측 배수홀은 양측이 반원으로 형성되고 중간 레일의 길이 방향이 직선으로 형성되는 슬롯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내측, 외측, 및 중간 레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홈으로 유도되는빗물의 신속한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서기창의 실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서기창용 창틀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평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창틀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틀 3, 5 : 창짝
7 : 내측 레일 9 : 외측 레일
11, 13 : 레일 11a, 13a : 제1 벽
11b, 13b : 제2 벽 11c, 13c : 중공부
11d, 13d : 제1 내측 배수홀 11e, 13e : 제2 내측 배수홀
15, 17, 19 : 홈 21 : 외측 배수홀
본 고안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서기창의 실외 정면도로서, 창틀(1)은 창짝(3, 5)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개폐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2, 3은 2개의 창짝(3, 5)이 창틀(1)에 설치되어 한 창짝(3, 5)의 폭만큼 창을 개방할 수 있는 미서기창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3개 이상의 창짝(3, 5)이 설치되어 둘 이상의 창짝(3, 5) 폭만큼 창을 개방할 수 있는 미서기창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3개 이상의 창짝(3, 5)이 설치되는 경우, 창틀(1)은 그에 상응하는 개수의 레일을 구비하게 된다.
즉, 미서기창의 외곽을 형성하는 창틀(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내측 레일(7)과 외측 레일(9) 그리고 2개 이상의 중간 레일(11, 13)로 이루어져 있다. 이 내측, 외측 및 중간 레일(7, 9, 11, 13)은 각각의 사이사이에 홈(15, 17, 19)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내측 레일(7)은 내측 레일(7)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중간 레일(11)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내측 창짝(3)의 실내측면을 안내하도록 창틀(1)의 실내 측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 레일(9)은 내측 레일(7)에서 가장 먼 위치, 즉 내측 레일(7)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 레일(9)은 외측 레일(9)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중간 레일(13)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외측 창짝(5)의 외부측면을 안내하도록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 레일(9)은 다수로 형성되는 외측 배수홀(2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외측 배수홀(21)은 창짝(3, 5)의 글라스에서 아래로 흘러내려 홈(15, 17, 19)에 모이는 빗물을 실외로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양측이 반원으로 형성되고 외측 레일(9)의 길이 방향이 직선으로 형성되는 슬롯홀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외측 배출홀(15)은 홈(15, 17, 19)에 잔류하는 빗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하단이 홈(15, 17, 19)의 바닥과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간 레일(11, 13)은 내측 레일(7)과 외측 레일(9) 사이에 위치하면서 창짝(3, 5)의 슬라이딩 이동을 직접 안내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중간 레일(11, 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 벽(11a, 13a)과 제2 벽(11b, 13b)에 의하여 그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부(11c, 13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중간 레일(11, 13)은 내측에 위치하는 홈(15, 19)에 모이는 빗물을 외측에 위치하는 홈(17)으로 유도하여 외측 배수홀(21)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1 벽(11a, 13a)에 형성되는 제1 내측 배수홀(11d, 13d) 및 제2 벽(11b, 13b)에 형성되는 제2 내측 배수홀(11e, 13e)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벽(11a, 13a)에 형성된 제1 내측 배수홀(11d, 13d)과 제2 벽(11b, 13b)에 형성된 제2 내측 배수홀(11e, 13e)은 그 위치가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내측 배수홀(11d, 13d) 및 제2 내측 배수홀(11e, 13e)은 다수의 중간 레일(11, 13) 상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화살표와 같은 배수 경로(b)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그재그 형상의 배수 경로(b)는 실외에서 실내로 빗물과 해충 및 벌레의 실내로의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이 제1 내측 배수홀(11d, 13d) 및 제2 내측 배수홀(11e, 13e)은 창짝(3, 5)으로부터 아래로 흘러내린 빗물이 홈(15, 19) 및 중공부(11c, 13c)에 고이지 않고 외측 배술홀(21)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외측 배수홀(21)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1 내측 배수홀(11d, 13d) 및 제2 내측 배수홀(11e, 13e)은 그 양측이 반원으로 형성되고 중간 레일(11, 13)의 길이 방향이 직선으로 형성되는 슬롯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미서기창용 창틀은 중공부를 형성하는 제1, 2 벽으로 중간 레일을 형성하고, 이 제1, 2 벽에 형성되는 제1, 2 내측 배수홀을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각 홈에서 외측 배수홀에 이르는 배수 경로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서, 제1, 2 내측 배수홀이 내측 레일의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짧은 배수 경로를 형성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빗물과 해충 및 벌레가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슬라이딩 이동하는 내측 창짝의 실내측면을 안내하는 내측 레일;
    상기 내측 레일의 반대측에 제공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외측 창짝의 외부측면을 안내하고, 창짝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실외로 배출시키는 외측 배수홀을 형성하고 있는 외측 레일; 및
    상기 외측 레일과 내측 레일 사이에서 다수 창짝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 지지하며, 그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2중 구조를 형성하는 제1, 2 벽, 창짝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외측 배수홀로 안내하도록 제1, 2 벽에 각각 어긋나게 배치 및 형성되는 제1, 2 내측 배수홀을 구비하는 다수의 중간 레일을 포함하는 미서기창용 창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 내측 배수홀은 양측이 반원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 레일의 길이 방향이 직선으로 형성되는 슬롯홀로 이루어지는 미서기창용 창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2 내측 배수홀은 다수의 중간 레일에서 지그재그 형상의 배수 경로를 형성하는 미서기창용 창틀.
KR20-2003-0012963U 2003-04-25 2003-04-25 미서기창용 창틀 KR200343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963U KR200343613Y1 (ko) 2003-04-25 2003-04-25 미서기창용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963U KR200343613Y1 (ko) 2003-04-25 2003-04-25 미서기창용 창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613Y1 true KR200343613Y1 (ko) 2004-03-03

Family

ID=4942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963U KR200343613Y1 (ko) 2003-04-25 2003-04-25 미서기창용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6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7569A (zh) * 2017-05-17 2017-07-04 汤立清 一种具有落差式排水结构推拉窗系统及安装方法
CN115126386A (zh) * 2022-07-18 2022-09-30 佛山市俊福门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隐形排水功能的断桥平开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7569A (zh) * 2017-05-17 2017-07-04 汤立清 一种具有落差式排水结构推拉窗系统及安装方法
CN115126386A (zh) * 2022-07-18 2022-09-30 佛山市俊福门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隐形排水功能的断桥平开窗
CN115126386B (zh) * 2022-07-18 2023-09-12 佛山市俊福门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隐形排水功能的断桥平开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4523C2 (ru) Двухслойное окно с функцией вентиляции
JP4551308B2 (ja) 開口部装置
KR200343613Y1 (ko) 미서기창용 창틀
JP2007170142A (ja) サッシ窓
KR200263706Y1 (ko) 높이 차이가 없는 창문틀의 배수구조
JP4032423B2 (ja) 下枠フラットサッシの下枠断熱構造
CN210421684U (zh) 顶棚式百叶板和遮阳篷的排水系统及遮阳篷
KR200350062Y1 (ko) 창틀의 배수장치
KR200375065Y1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JP4104564B2 (ja) サッシ窓
JP3997210B2 (ja) サッシ窓
KR100710403B1 (ko) 플랫 새시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JP4172785B2 (ja) サッシ下枠の排水構造
KR0140775Y1 (ko) 창문의 배수구조
JP4056483B2 (ja) サッシ窓
AU771413B2 (en) Window assembly
KR200279160Y1 (ko) 창호골재의 배수구조
KR200216618Y1 (ko) 미닫이 창호용 창틀의 이물질 분리구조
KR20230113923A (ko) 기밀성과 방풍기능이 향상된 분리형 레일이 설치된 창틀의 하부프레임
EP0674090B1 (de) Lüftertüre
KR0139868Y1 (ko) 방충망 창짝구조
KR200209404Y1 (ko) 건축물의 창틀 및 창문틀 구조
JP3970227B2 (ja) サッシ窓
KR200378219Y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문의 배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