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734Y1 -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734Y1
KR200342734Y1 KR20-2003-0035389U KR20030035389U KR200342734Y1 KR 200342734 Y1 KR200342734 Y1 KR 200342734Y1 KR 20030035389 U KR20030035389 U KR 20030035389U KR 200342734 Y1 KR200342734 Y1 KR 200342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brush
connection terminal
bimetallic
bi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충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캄코
Priority to KR20-2003-0035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차량용 소형 DC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이 용이한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Bimetal Breaker)를 수용하는 브러시홀더 포켓에 서로 다른 2종의 바이메탈 브레이커를 호환 사용할 경우에 이 바이메탈 브레이커들로 부터 인출되는 리드선의 용접이 용이하도록 한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2종의 클립 접속단자(80) 및 브러시 접속단자(90) 일단부에는 리드선과의 접촉면적을 확보하여 용접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확장 용접부(82)(9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요지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브러시 홀더 포켓에 2종의 바이메탈 브레이커(O-type,T-type)를 호환 사용할 경우에 바이메탈 브레이커들의 리드선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용접의 난해함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 및 품질을 가일층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Description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Bimetal breaker cable attaching terminal of a motor}
본 고안은 차량용 소형 DC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이 용이한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Bimetal Breaker)를 수용하는 브러시홀더 포켓에 서로 다른 2종의 바이메탈 브레이커를 호환 사용할 경우에 이 바이메탈 브레이커들로 부터 인출되는 리드선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한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크게 회전하는 로터(Rotor, 회전자)와 회전력을 주기 위해 모터 하우징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스테이터(Stator, 계자, 고정자)로 이루어 지며, 상기 로터 일단에는 인가된 전류의 정류를 위한 정류자가 설치되어 로터와 함께 회전토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되는 정류자 외측에는 정류자와 외부장치(레귤레이터 등)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통상 카본재질의 브러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브러시는 정류자와 항상 면접촉 하면서 외부전원이 통전되도록 하기 위해 브러시 홀더내에서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토록 설치된다.
도 1a 및 도 1b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소형 DC모터의 브러시 홀더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자(미도시)가위치하는 원형의 축공(10) 외측에 정류자와 면접촉을 이루도록 적어도 한쌍 이상의 브러시(20)가 대응되며 구비되고, 이 브러시(20)는 브러시 홀더(30)에 내장되어 토션 스프링(70)에 의해 탄성지지토록 설치되므로서 정류자와 브러시의 회전 마찰로 인해 브러시에 마모가 발생될시에도 계속적인 면접촉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브러시 홀더(350) 일측에는 모터의 과부하 발생시 입력된 전류를 차단하여 모터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바이메탈 브레이커(Bimetal Breaker;차단기, 50)가 구비되며, 이 바이메탈 브레이커(50)는 브러시 홀더 포켓(40)에 내설되고 이 바이메탈 브레이커로 부터 연장된 한쌍의 리드선(52)은 서로 다른 형상의 2종의 접속단자(80)(90)를 통해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커넥터(60) 및 인가된 전원을 브러시로 전달하는 전원선(100)과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브러시 홀더장치에 있어서, 브러시 홀더 포켓(40)은 이 포켓의 치수 및 크기에 맞는 하나의 바이메탈 브레이커만을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기존의 바이메탈 브레이커는 크게 O-type과 T-type 형태로 구분되는데 두 제품간의 크기 및 치수가 서로 상이하여 서로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 없어서 하나의 바이메탈 브레이커만을 선정하여 적용해야만 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바이메탈 브레이커가 내설토록 되는 브러시 홀더 포켓의 구조변경을 통해 2종의 바이메탈 브레이커를 호환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한 실용신안 제2003-32404호의 모터의 브러시 홀더 포켓구조가 본 고안과 동일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된바 있다.
즉, 도 2a내지 도 2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브러시 홀더 포켓의 형상변경을통해 이에 내설토록 되는 서로 다른 2종의 바이메탈 브레이커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2종의 바이메탈 브레이커(50a)(50b)를 호환적으로 사용할 경우 각각의 브레이커 마다 인출된 리드선(52)의 길이 차이로 인해 브러시 전원선(100)과 커넥터를 연결토록 하는 2종의 접속단자(80)(90)가 상기 리드선과 맞닿는 면적이 일정치 않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상호 용접에 따른 용접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용접이 용이하지 못 함은 물론, 용접불량으로 인해 제품의 하자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Bimetal Breaker)를 수용하는 브러시홀더 포켓에 서로 다른 2종의 바이메탈 브레이커를 호환 사용할 경우에 이 바이메탈 브레이커들로 부터 인출되는 리드선과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용접시 작업성을 향상시켜 제품 제조에 따른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종래의 일반적인 소형 DC모터의 브러시 홀더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b는 종래의 일반적인 소형 DC모터의 브러시 홀더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2종의 바이메탈 브레이커의 설치상태를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 중 클립부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 중 브러시부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선 접속단자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10...축공 20...브러시
30...브러시 홀더 40...브러시 홀더 포켓
50a,50b...바이메탈 브레이커 52...리드선
80...클립 접속단자 90...브러시 접속단자
82,92...확장 용접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모터의 과부하 발생시 입력된 전류를 차단하는 바이메탈 브레이커가 브러시 홀더 포켓에 내설되며, 이 바이메탈 브레이커로 부터 연장된 리드선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2종의 클립 접속단자와 브러시 접속단자를 통해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커넥터 및 인가된 전원을 브러시로 전달하는 전원선과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모터의 브러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2종의 클립 접속단자 및 브러시 접속단자의 일단부 즉, 리드선이 점용접토록 되는 부분에는 리드선과의 접촉면적을 확보하여 용접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확장 용접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앞서 도시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 및 명칭을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2종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 즉, 외부전원이 통전되는 클립 접속단자 및 브러시 전원선과 연결토록 되는 브러시부 접속단자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이다.
앞서 도시된 도 1a 및 도 1b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적용된 클립 접속단자(80) 및 브러시부 접속단자(90)는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커넥터(60) 및 브러시 전원선(100)과 바이메탈의 한쌍의 리드선(52) 사이에서 상호 전원이 통전토록 하는 매개체로서, 도 3a에 도시된 클립 접속단자(80)는 그 일단과 타단이 각각 바이메탈 브레이커의 리드선(입력측 전원선) 및 커넥터의 단자와 연결되고, 도 3b에도시된 브러시 접속단자(90)는 그 일단과 타단 각각 바이메탈 브레이커의 리드선(출력측 전원선) 및 브러시 전원선(도 1a의 참조부호 100)과 연결된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접속단자(80)(90) 일단부 즉, 바이메탈 브레이커로 부터 연장된 한쌍의 리드선(52)이 점용접(Spot welding)되는 일단부에 용접되는 리드선과의 충분한 용접면적을 확보토록하기 위한 확장 용접부(82)(92)가 마련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확장 용접부(82)(92)는 용접되는 리드선의 길이 또는 높이차에 추종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의 타측폭에 비해 더 넓은폭과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바이메탈 리드선 접속단자는, 각각의 접속단자(80)(90) 일단부 즉, 리드선과의 점용접이 이루어 지는 부분에 확장용접부(82)(92)가 형성되므로서, 통전을 위해 한쌍의 리드선(52)과 2종의 접속단자(80)(90)의 점용접시 상기 리드선과 접속단자간에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서로 다른 2종의 바이메탈 브레이커의 호환설치에 따른 용접 작업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확장 용접부(82)(92)는 접속단자(80)(90)의 타측폭에 비해 더 넓은폭을 갖도록 구성되므로서, 용접되는 2종의 바이메탈 브레이커의 리드선 길이 또는 높이차에 따른 용접작업의 난해함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부연설명하면,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2종의 접속단자(클립 접속단자, 브러시 접속단자) 중 클립 접속단자(80)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로서, 도 4a는 O-type바이메탈 브레이커의 리드선과 클립 접속단자가 접촉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며, 도 4b는 T-type바이메탈 브레이커와의 접촉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홀더 포켓(40)에는 모터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바이메탈 브레이커(50)가 내설되는데, 이 바이메탈 브레이커(50)에는 외부 전원이 입·출력되는 한쌍의 리드선(52)이 마련되어 전원이 입력되는 클립 접속단자(80) 및 입력된 전원을 브러시에 인가하는 브러시 접속단자(90)와 점용접 된다.
여기서 상기 클립 접속단자(80) 단부에는 도 4a 및 도 4b의 부분확대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용접부(82)가 형성되므로서, 서로다른 2종의 바이메탈 브레이커(50a)(50b)를 호환사용할 경우 리드선(52) 길이차로 인해 발생되는 용접의 난해함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에 의하면, 접속단자 단부의 용접부를 확장시켜 용접면적을 충분히 확보토록 구성되므로서, 하나의 브러시 홀더 포켓에 2종의 바이메탈 브레이커(O-type,T-type)를 호환 사용할 경우에 바이메탈 브레이커들의 리드선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용접의 난해함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 및 품질을 가일층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모터의 과부하 발생시 입력된 전류를 차단하는 바이메탈 브레이커(50a)(50b)가 브러시 홀더 포켓(40)에 내설되며, 이 바이메탈 브레이커(50a)(50b)로 부터 연장된 한쌍의 리드선(52)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2종의 클립 접속단자(80)와 브러시 접속단자(90)를 통해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커넥터(60) 및 인가된 전원을 브러시로 전달하는 전원선(100)과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모터의 브러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2종의 클립 접속단자(80) 및 브러시 접속단자(90)의 일단부에는 리드선과의 접촉면적을 확보하여 용접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확장 용접부(82)(9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
KR20-2003-0035389U 2003-11-12 2003-11-12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 KR200342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389U KR200342734Y1 (ko) 2003-11-12 2003-11-12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389U KR200342734Y1 (ko) 2003-11-12 2003-11-12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734Y1 true KR200342734Y1 (ko) 2004-02-18

Family

ID=4942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389U KR200342734Y1 (ko) 2003-11-12 2003-11-12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7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68927B2 (ja) 整流子モータ用カーボンブラシホルダ
CN100334783C (zh) 电刷组件
US7531938B2 (en) Insertable brush holder assembly for electric motor
US5753993A (en) Adjusting apparatus for carbon brushes on an electric motor
EP0935318A3 (en) Brush assembly
US6909218B2 (en) End cap and brush box assembly
ITMI961296A1 (it) Cartuccia porta-spazzole modulare da inserire a spina
EP1111736A2 (en) Lead wire unit of DC rotary electric machine
KR200342734Y1 (ko) 모터의 바이메탈 브레이커 리드선 접속단자
JP6095510B2 (ja) ワイパモータ
JP2000312456A (ja) 電動モータ
US4368938A (en) Small electric motor
US6713932B2 (en) External connecting structure of electric motor
JP2007267490A (ja) モータハウジング及びモータ
JP2501469B2 (ja) 電動機
JP3324742B2 (ja) ブラシホルダ装置
KR100681316B1 (ko) 모터용 브러시 조립체
JP2006166646A (ja) 小型モータのブラシ装置
KR200337416Y1 (ko) 모터의 브러시 홀더 포켓구조
JP2009207224A (ja) 電動モータ
JP3619109B2 (ja) 整流子電動機
JP2003111345A (ja) 電動機
KR200342852Y1 (ko) 자동차용 스타터 모터의 브러시 어셈브리 구조
JP3351411B2 (ja) 指針装置
JP2005223974A (ja) 直流モータにおけるブラシ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