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123Y1 - 통기성 모자 - Google Patents

통기성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123Y1
KR200342123Y1 KR20-2003-0037332U KR20030037332U KR200342123Y1 KR 200342123 Y1 KR200342123 Y1 KR 200342123Y1 KR 20030037332 U KR20030037332 U KR 20030037332U KR 200342123 Y1 KR200342123 Y1 KR 200342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velcro
attached
auxiliary frame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차랑
Original Assignee
한차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차랑 filed Critical 한차랑
Priority to KR20-2003-0037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1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1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적은 모자 자체의 외형의 커다란 변형을 주지 않고, 모자의 내부에 장착되는 통기용 보조테의 구조를 개선한 통기성 모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부에 다수개의 통기공을 형성하고, 후면에 공간부가 형성된 모자와, 상기 모자내 안테에 재봉으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용 밸크로와,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로 된 요철판의 전후에 상하 조립판을 접착제로 부착시킨후, 전면에 천으로 된 보호외피를 부착시킨 통기용 보조테와, 상기 통기용 보조테의 후면에 부착된 접착용 밸크로로 구성하여 고정용 밸크로 및 접착용 밸크로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통기성 모자{A hat having ventilator}
본 고안은 모자 내부에 통기용 보조테를 삽입하여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는 통기성 모자에 관한 것이다.
통기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모자는 종래로부터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있다.
다수개의 통기구멍을 모자에 형성하거나, 또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모터로 순환시키는 방식 등이 제안되었으나, 실제 사용면에서 그다지 실용적이지 못하여 소비자들에게 외면 받고 있는 실정이었다.
근자에는 모자 내부에 보조테를 사용하여 내부의 공간을 주어 공기의 순환을 보조할 수 있는 방식들이 제안되었으나, 이 경우에도 보조테에 외부 돌출편을 형성하고 있어 이마와 접촉되는 돌출편이 착용감을 약화시키고, 실사용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통기성이 부여된 모자가 실제 사용면에서 소비자에게 만족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
1. 모자의 외형이 크게 변형되는 경우에는 소비 심리를 위축시킬 우려가 있어 가능한 한 외부 디자인은 변형시키지 아니하는 점이 유리하다.
2. 기존의 모자와 결합될 때 착용감이 우수하고, 모자의 구조와 상호 유기적으로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3. 통기성 보조테가 탈부착이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세탁 및 보존이 편리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모자 자체의 외형의 커다란 변형을 주지 않고, 모자의 내부에 장착되는 통기용 보조테의 구조를 개선한 통기성 모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일반적인 모자와 통기성 보조테가 결합시, 착용감이 우수하고 모자의 구조와 상호 유기적으로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는 통기성 모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모자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모자에서 내부에 통기용 보조테가 접착 및 이탈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통기용 보조테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통기용 보조테에 구성 부분인 요철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모자 외피와 통기용 보조테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모자에서 내부로 공기가 환기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기공 2 : 공간부
3 : 조절끈 4 : 차양
5 : 통기성 보조테 6 : 고정용밸크로
7 : 안테 8 : 접착용 밸크로
10 : 모자 11 : 요철판
12 : 상 조립판 13 : 하 조립판
14 : 보호외피 19 : 접착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에 다수개의 통기공을 형성하고, 후면에 공간부가 형성된 모자와, 상기 모자내 안테에 재봉으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용 밸크로와,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로 된 요철판의 전후에 상하 조립판 을 접착제로 부착시킨후, 전면에 천으로된 보호외피를 부착시킨 통기용 보조테와,
상기 통기용 보조테의 후면에 부착된 접착용 밸크로로 구성하여 고정용 밸크로 및 접착용 밸크로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요철판은 양쪽 끝단은 보다 조밀한 요철구조를 갖고, 중앙에는 헐거운 요철구조를 갖게 구성하여 중앙에 보다 큰 면적의 통기구멍을 확보할 수도 있으며, 상기 통기성 보조테의 하조립판과 접착용 밸크로는 부분적으로 형성되어요철판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모자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모자 (10)의 외부에는 다수개의 통기공 (1)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공간부 (2)를 형성하고 그 쪽에 조절끈 (3)이 부착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4)는 차양이다. 이와 같은 형상의 모자는 소비자들의 반응이 좋아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조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모자내부 안쪽에 통기성 보조테 (5)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시키고 있다.
즉, 도 2와 같이 차양 (4) 하부에 고정용 밸크로 (6)를 모자의 안테 (7)에 재봉으로 고정시키고, 내부에 통기구조를 가진 통기성 보조테 (5)의 일측에 접착용밸크로 (도시 생략)를 부착하여 상기 고정용 밸크로 (6)와 상기 접착용 밸크로가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통기성 보조테 (5)는 내부 구조는 도 3과 같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통기용 보조테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통기용 보조테 (5)는 중앙에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로 된 요철판 (11)이 위치되고 그 요철판 (11)의 전후에 상하 조립판 (12),(13)을 접착제로 부착시킨 후 전면에는 천으로된 보호외피 (14)를 부착시키고, 후면에는 접착용 밸크로 (8)를 접착제로 부착시켜 된 것이다. 여기서 상하 조립판 (12),(13) 및 요철판 (11)은 구부러지기 쉬운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하 조립판 (13) 및 접착용 밸크로 (8)는 부분적 공간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이는 통기면적을 더 크게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통기성 보조테 (5)가 한쪽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쉽게 하여 모자의 내측 반경에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요철판 (11)은 도 4와 같이 양쪽 끝단은 보다 조밀한 요철구조를 갖고, 중앙에는 헐거운 요철구조를 갖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중앙에는 보다 면적이 큰 통기구멍을 확보할 수가 있는 동시에 한쪽 방향으로 구부리기가 쉬운 효과를 가질 수가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모자 외피와 통기용 보조테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로서, 모자 (10) 내부의 안테 (7)는 고정용 밸크로 (6)와 재봉으로 고정되고, 통기성 보조테 (5)는 보호외피 (14), 요철판 (11), 상하 조립판 (12),(13) 및 접착용 밸크로 (8)가 각각 접착제 (19)를 통하여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고정용 밸크로 (6)와 접착용 밸크로 (8)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통기성 보조테 (5)는 도 2와 같이 모자 내부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통기성 보조테 (5)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제거시킨 후 사용하면 통상의 모자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통기성 보조테 (5)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의 고정용 밸크로 (6)에 접착용 밸크로 (8)를 부착시키면 통기성을 보유한 모자로서사용된다.
특히, 탄력성을 가진 요철판 (11)에 부착되어 있는 하조립판 (13)은 부분적으로 접착제를 통하여 부착되어 있어 모자와 결합시 한쪽 방향으로 쉽게 구부러질 수 있어 견고히 고정용 밸크로 (6)에 부착될 수 있으며, 요철판 (11)과 상하 조립판 (12),(13)으로 구성되는 통기용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모자내에서 환기를 촉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도 4의 요철판 (11)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한쪽 방향으로 쉽게 구부러질 수 있어 견고히 고정용 밸크로 (6)에 부착될 수 있으며, 요철판 (11)과 상하 조립판 (12),(13)으로 구성되는 통기용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도 6과 같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자에 적용하는 경우에 보다 큰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즉, 일반적인 모자의 경우에도 통기성의 확보하기 위하여 모자 상부의 다수개의 통기공 (1)이 형성되고, 후면 조절끈 (3)의 부근에 공간부 (2)를 형성하고 있어 상부 통기공 (1)과 후면 공간부 (2)로 통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어느정도 공기를 순환시킬 수가 있으나, 모자를 착용하는 경우 머리가 모자내부의 공간을 막고 있어 원활한 순환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이마 부위에 통기성 보조테 (5)로 별도의 순환통로를 확보할 수 있어 모자 상하의 통기공과 전후의 공간확보에 의하여 원활한 순환을 기대할 수가 있으며, 또한 통기성 보조테 (5)에 보호외피 (14)가 부착되어 이마와 닿은 부분의 착용감을 우수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통기성 보조테 (5)의 요철판 (11) 및 상하 조립판 (12),(13)을 일체로 합성수지 P.E 로 성형하고 보호외피 (14)와 접착용 밸크로 (8)를 접착하여 제작공정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반적인 모자와 통기성 보조테가 탈부착이 자유로워 세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존 모자의 외형을 그대로 살릴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기성 보조테의 외부에 보호외피를 부착하고 있어 착용감이 우수하고, 통기성 보조테가 한쪽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쉬운 구조를 가지고 있어 모자와 결합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통기성 보조테로 인해 땀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기존의 모자와 통기성 보조테가 서로 결합하여 보다 많은 통기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통기성이 우수한 모자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상부에 다수개의 통기공 (1)을 형성하고, 후면에 공간부 (2)가 형성된 모자 (10)와,
    상기 모자내 안테에 재봉으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용 밸크로 (6)와,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로 된 요철판 (11)의 전후에 상하 조립판 (12),(13)을 접착제로 부착시킨후, 전면에 천으로된 보호외피 (14)를 부착시킨 통기용 보조테 (5)와,
    상기 통기용 보조테 (5)의 후면에 부착된 접착용 밸크로 (8)로 구성하여 고정용 밸크로 (6) 및 접착용 밸크로 (8)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한 통기성 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요철판 (11)은 양쪽 끝단은 보다 조밀한 요철구조를 갖고, 중앙에는 헐거운 요철구조를 갖게 구성하여 중앙에 보다 큰 면적의 통기구멍을 확보할 수있게 한 통기성 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보조테 (5)의 하 조립판 (13)과 접착용 밸크로 (8)는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요철판 (11)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모자.
KR20-2003-0037332U 2003-11-29 2003-11-29 통기성 모자 KR2003421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332U KR200342123Y1 (ko) 2003-11-29 2003-11-29 통기성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332U KR200342123Y1 (ko) 2003-11-29 2003-11-29 통기성 모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897A Division KR20050052067A (ko) 2003-11-29 2003-11-29 통기성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123Y1 true KR200342123Y1 (ko) 2004-02-14

Family

ID=4934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332U KR200342123Y1 (ko) 2003-11-29 2003-11-29 통기성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1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853B1 (ko) 2013-10-24 2015-05-13 최주영 통기성 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853B1 (ko) 2013-10-24 2015-05-13 최주영 통기성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715B1 (ko) 모자용 통기구
JPH11217717A (ja) ヘルメット装置
JP2009256868A (ja) 着脱が容易なヘッドカバー及びこれを備えたヘルメット
KR200488024Y1 (ko) 통기 구조의 비공 덮개를 갖는 안면 마스크
US5054122A (en) Structure of hat with cooling system for the head
US20060123526A1 (en) Inner layer of cover for bulletproof helmet
US20120047765A1 (en) Helmet Accessory for Goggles
US8516617B1 (en) Hat with enhanced ventilation
US6094750A (en) Modified safety helmet heat sink
US6247186B1 (en) Helmet with ventilation arrangement
JP2010043392A (ja) ヘルメット用シールドおよびこのようなシールドを備えているヘルメット
KR200342123Y1 (ko) 통기성 모자
KR20050052067A (ko) 통기성 모자
KR200403609Y1 (ko) 모자용 냉각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모자
KR100753489B1 (ko) 통풍모자
AU585067B2 (en) Ventilated hat
KR20140086070A (ko) 쿨 헬멧
KR200418519Y1 (ko) 차양모자용 헤어밴드
JP2002004127A (ja) ヘルメット
JP2019052403A (ja) 帽子用鍔芯及び帽子
KR200459258Y1 (ko) 타올부재를 갖는 두건
KR200257395Y1 (ko) 모자의 통풍장치
KR200326155Y1 (ko) 머리 보호용 모자
JP2007009347A (ja) ヘルメット
JPH0987919A (ja) ベンチレータを備えた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