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881Y1 -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 - Google Patents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881Y1
KR200341881Y1 KR20-2003-0035959U KR20030035959U KR200341881Y1 KR 200341881 Y1 KR200341881 Y1 KR 200341881Y1 KR 20030035959 U KR20030035959 U KR 20030035959U KR 200341881 Y1 KR200341881 Y1 KR 2003418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wood
interior
plat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죽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죽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죽산
Priority to KR20-2003-0035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8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8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of wood particle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ishing Wall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적정 두께의 목판으로 형성하되 그 내측면에 요철구조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된 콘크리트판을 중첩되게 패널을 제작함으로써 목재가 갖춘 자연미와 콘크리트의 내구적인 특징을 동시에 구비하면서 각 소재의 취약점을 상호 보완하여 보행로와 같은 조경분야와 건물의 바닥 및 외벽 등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게한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에 관한 것으로,
즉, 목재를 소재로 소정 두께를 가진 장방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정형화된 목재판을 제작하고, 상기 목재판의 내측면에 쐐기 작용으로 결속력을 제공하는 요철부를 형성하며, 상기 요철부에 접촉되게 목재판과 동일크기로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된 콘크리트판을 형성하여 목재판에 중첩되는 패널을 제작함으로써, 목재의 자연미와 질감을 유지하면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동시에 갖추게 되어 조경공사는 물론 실내외의 내장재로도 널리 사용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Interior and erterior pannel combining landscape architecture}
본 고안은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적정 두께의 목판으로 형성하되 그 내측면에 요철구조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된 콘크리트판을 중첩되게 패널을 제작함으로써 목재가 갖춘 자연미와 콘크리트의 내구적인 특징을 동시에 구비하면서 각 소재의 취약점을 상호 보완하여 보행로와 같은 조경분야와 건물의 바닥 및 외벽 등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게한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통행하는 인도에 설치되는 보도블럭 또는 패널은 한정된 형상으로 대량생산과 저렴한 값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소재로 성형하여 된 제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장소와 상황에 따라 석재나 시멘트로 포장하였다.
상기 콘크리트 계열 또는 석재로 된 보도패널의 경우에는 비교적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는 장점과 대량생산의 경제성 등으로 인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반면, 정원이나 산책로 등 미관이 요구되는 소규모의 조경공사에는 부적합 할 뿐 아니라 자연경관을 오히려 훼손하게 되는 역효과가 초래됨으로써 근래에는 목재로 형성된 보도패널의 사용으로 친환경적인 소재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목재된 보도패널은 각각 별도의 체결구, 조립기구, 연결핀이나 스크류볼트 등에 의해 시공되어 설치비용이 부대로 소요됨과 아울러 시공이 어렵고, 자연 기후에 의해 뒤틀림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건축물의 내외장재로서 목재패널을 널리 사용하고 있으나, 실내외의 바닥에 목재패널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하중이나 충격을 고려하여 목재패널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경우 콘크리트로 지지기반을 형성한 후에나 시공이 가능하였으므로 공정수의 증가로 인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목재패널 또는 콘크리트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목재와 콘크리트의 특징을 동시에 유지하면서 각 소재의 취약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목재를 소재로 소정 두께를 가진 장방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정형화된 목재판을 제작하고, 상기 목재판의 내측면에 쐐기 작용으로 결속력을 제공하는 요철부를 형성하며, 상기 요철부에 접촉되게 목재판과 동일크기로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된 콘크리트판을 형성하여 목재판에 중첩되는 패널을 제작함으로써, 목재의 자연미와 질감을 유지하면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동시에 갖추게 되어 조경공사는 물론 실내외의 내장재로도 널리 사용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와 그 단면구성도,
도 3은 상기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의 목판에 대한 저면사시도와 그 성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각기 다른 실시예의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의 목판에 대한 저면사시도와 그 성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패널 11 : 목재판
12 : 미세돌기 13, 15 : 요철부
14 : 콘크리트
이하, 본 고안의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와 그 단면구성도이고, 도 3은 상기 내외장 패널의 목판에 대한 저면사시도와 그 성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내외장패널(10)은 목재를 소재로 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진 장방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정형화된 목재판(11)과 상기 목재판에 중첩되게 일체로 접합되어 있는 콘크리트판(14)으로 되어 있다.
상기 목재판(11)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는 외관미를 높이기 위한 문양 또는 바닥재로 사용할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세돌기(12)가 형성되고, 목재판(11)의 내측면에는 콘크리트판(14)을 구성하는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콘크리트층에 묻혀 양생 후 쐐기작용에 의해 결속력을 제공하는 요철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13)는 목재판(11)의 양측변을 이루는 X축과 Y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교차되게 다수곳에 형성하는 것이 목재판(11)과 콘크리트판(14)의 결속력을 높이는데 바람직하다.
목재판(11)의 내면에 요철부(13)를 형성한 상태에서 콘크리트판(14)을 중첩되게 접합하기 위해 목재판(11)과 동일한 크기의 거푸집(도시하지 않음)을 만들어 이에 콘크리트 몰탈을 적정 두께로 투입한 후 그 위에 목재판(11)의 요철부(13)가 묻히게 한 상태에서 양생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소재의 특성이 전혀 다른 목재판과 콘크리트판이 접합되는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 몰탈의 콘크리트층으로 목재판(11)의 요철부(13)를 묻혀지게 양생함으로써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판(14)의 접합면에는 요철부(13)와 맞물리는 콘크리트 요철부(15)가 자연히 형성되면서 이종 소재간 맞물림 구조에 의해 단단히 결속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각기 다른 실시예의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패널의 목재판에 대한 저면사시도와 그 성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목재판(1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콘크리트판(14)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층에 묻히는 요철부(13)를 목재판(11)의 Y축 또는 X축 방향 등의 어느 한 방향으로만 형성하는 것도 상기 X축과 Y축 방향을 따라서 교차되도록 동시에 형성한 경우와 동일한 작용을 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상기 목재판(11)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철부(13)가 목재판의 양측변중 Y축 또는 X축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형성된 경우에는 목재판(11)의 요철부(13)에 상응하는 요철부(15)를 콘크리트판(14)의 상부면에 구비되게 별도로 성형하여 두 소재를 상호 슬라이딩 방법으로 끼워 결속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은 사각형으로 가공된 목재판(11)과 동일한 형상의 콘크리트판(14)으로 구성되어 보행로나 산책로 등의 조경공사에 시공할 때 목재판(11)을 외부로 드러나도록 함으로써, 목재판(11)의 재질적 특성인 자연미와 질감을 높여 친환경적인 작용을 하게 되며, 하부의 콘크리트판(14)은 시간의 경과와 기후 변화에 의해 목재판(11)에 비틀림이나 크랙이 발생되는 등의 내구성이 저하될 때 내구력을 제공하고 견고한 지지작용을 하게되어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작용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재판(11)과 콘크리트판(14)이 중첩된 패널(10)을 실내의 바닥 또는 난방용 온돌로 사용할 경우, 기존 실내바닥을 목재로 처리할 때 콘크리트층을 시공한 후 목재를 시공할 때에 비해 공정수를 절감함과 아울러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로 처리할 때에 비해 바닥의 하중과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은 상부에 목재판을 구비하고 그 목재판의 저면에 콘크리트판을 일체로 중첩되게 제작 및 시공함으로써, 목재의 자연미와 질감을 유지하면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동시에 갖추게 되어 조경공사는 물론 실내외의 내장재로도 널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에 콘크리트 바닥면에 목재패널을 시공할 때에 비하여 공정수와 공기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성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내외장 패널(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층을 목재를 소재로 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진 장방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정형화된 목재판(11)으로 하고, 상기 목재판(11)의 내측에 콘크리트판(14)을 중첩되게 일체로 접합하되 목재판(11)의 내측면에 콘크리트판(14)을 구성하는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콘크리트층에 묻혀 양생 후 쐐기작용에 의해 결속력을 제공하는 요철부(13)를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판(11)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 외관미를 높이기 위한 문양 또는 바닥재로 사용할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세돌기(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13)는 목재판(11)의 양측변을 이루는 X축과 Y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교차되게 다수곳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
KR20-2003-0035959U 2003-11-18 2003-11-18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 KR200341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959U KR200341881Y1 (ko) 2003-11-18 2003-11-18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959U KR200341881Y1 (ko) 2003-11-18 2003-11-18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881Y1 true KR200341881Y1 (ko) 2004-02-11

Family

ID=4934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959U KR200341881Y1 (ko) 2003-11-18 2003-11-18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8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812Y1 (ko) * 2011-03-07 2011-09-27 최승훈 데크 콘크리트 결합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812Y1 (ko) * 2011-03-07 2011-09-27 최승훈 데크 콘크리트 결합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5374B2 (en) Wall system and method
US20230258001A1 (en) Cladding panel
KR101030221B1 (ko) 천연 석재 층과 이 천연 석재 층의 이면에 시멘트 몰탈층이 일체로 부착되어 이루어진 복합석재블록 및 그제조방법
RU99508U1 (ru) Фасадный облицовочный модуль (варианты)
KR200341881Y1 (ko)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
US20090129861A1 (en) Interlocking rubber mat resembling a paving stone surface
KR20060062088A (ko) 천연석을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 및 건축물의 벽체시공방법
JPH0932247A (ja) 複合仕上材及びその製造方法
RU2405094C2 (ru) Декоративная облицовочная плитка (два варианта)
KR200317122Y1 (ko) 흡차음 스톤블럭
KR20060107480A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KR101707956B1 (ko)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강구조 건축물 시공방법
KR200259023Y1 (ko) 조립식바닥재
JPH06306808A (ja) モザイクタイル形成用小板
KR101386210B1 (ko) 폭이 좁은 벽돌과 조립 연결구 및 그 시공방법
RU2277157C1 (ru) Покрытие пола
JPH01235764A (ja) 壁構造
AU2006100786A4 (en) A Panel
RU190206U1 (ru) Фасадный облицовочный модуль
CA2555692C (en) Interlocking rubber mat resembling a paving stone surface
CA2513964A1 (en) Decorative stone module
JPH10231566A (ja) 吸音板
RU213319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мента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и облицовочная керамическая плитка, используемая в способе
KR970006109Y1 (ko) 건축용 외장재
KR200254454Y1 (ko) 합성수지판이 부착된 인조석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