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109Y1 - 건축용 외장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109Y1
KR970006109Y1 KR2019940014132U KR19940014132U KR970006109Y1 KR 970006109 Y1 KR970006109 Y1 KR 970006109Y1 KR 2019940014132 U KR2019940014132 U KR 2019940014132U KR 19940014132 U KR19940014132 U KR 19940014132U KR 970006109 Y1 KR970006109 Y1 KR 970006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attached
building
rubber plate
exterio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913U (ko
Inventor
심춘섭
Original Assignee
심춘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춘섭 filed Critical 심춘섭
Priority to KR2019940014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109Y1/ko
Publication of KR9600019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9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1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건축용 외장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건축용 외장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무판2 : 접착제
3,5 : 모르타르4 : 철망
6 : 타일7 : 결속선
8 : 경량기포콘크리트판넬
본 고안은 건축용 외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외벽이 균열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된 건축용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건축물의 외벽이나 욕실은 벽돌을 쌓은 다음 방수처리로서 대개 모르타르를 바르고, 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 타일을 붙혀서 만들어 왔는데, 이러한 구조물의 외장처리는 특히 진동에 약하기 때문에 균열이 일어나기가 쉽고 균열로 인해 외관이 흉하게 될 뿐만아니라 보수를 할 경우에도 전면적으로 재공사를 해야 하므로 많은 경비가 소요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진동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 균열이 일어날 염려가 없고 시공이 간편해서 공비가 저렴할 뿐아니라 외관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된 건축용 외장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판넬형상으로서 중앙의 고무판에 상하 대칭으로 모르타르가 접착제를 매개로 부착되고, 이 모르타르위에는 철망을 개재하여 모르타르가 층형상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이 모르타르위에는 타일이 부착되는 한편, 상기 고무판을 중심으로 상하로 배치된 철망이 결속선으로 서로 묶여져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의 고무판(1)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되는 층형상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바, 즉 고무판(1)의 윗면과 아랫면에 접착제(2)를 매개로 모르타르(3)가 층형상으로 부착되어 있고, 이 모르타르(3)위에는 철망(4)이 층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 철망(4)위에는 다시 모르타르(5)가 층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는 한편, 제일 윗면에는 타일(6)이 모르타르(5)위에 접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로 배치된 철망(4)을 서로 묶어주는 결속선(7)이 고무판(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바, 여기서 고무판(1)은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판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접착제(2)로서는 강력본드가 적합하며, 상기 타일(6) 대신에 페인트를 칠하거나 차돌, 도끼다시자갈을 사용해서 마감처리를 해도 좋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모르타르(3,5)는 일반모래에다 흙시멘트와 방수제로서 프리마 혹은 프리마말을 섞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모래에다 백시멘트와 프리마 혹은 프리마말을 섞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 규사에다 백시멘트나 흙시멘트를 섞고 프리마나 프리마말을 섞은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한 구조로 된 외장재는 제1도에서 정4각블럭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직사각블럭이나 기억자형상 또는 원형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고, 또 벽에 직접 붙이거나 바닥에 붙여 사용할 수도 있는 바, 상기 고무판(1)과 철망(4)이 진동이나 내부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고무판(1) 윗쪽의 타일(6)에 균열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시공시의 미려한 외관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균열방지효과는 상기 외장재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한다면 한층 배가시킬 수 있으며, 모르타르(3,5)가 다층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특히 방수와 방음 및 단열에 뛰어나 효과가 있다.
또 구조가 간단한 블럭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시공이 극히 편리할 뿐아니라 그 보수도 용이하며, 시공시 특별한 기술을 요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비전문가도 쉽게 시공할 수 있는 잇점도 있으며, 상기 타일 대신에 페인트를 칠하거나 도끼다시자갈 혹은 차돌을 사용해서 여러가지 외관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제2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제일 하층의 모르타르에 경량기포콘크리트판넬(8; ALC)이 부착된 것을 도시한 것인 바, 이는 내화성이나 단열성이 한층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 구조의 외장재는 쌓는 방법으로 실시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는, 시공 및 보수가 간편하여 공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특히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하면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화성이나 단열성, 방수, 방음 등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중앙의 고무판(1)에 상하 대칭으로 모르타르(3)가 접착제(2)를 매개로 부착되고, 이 모르타르(3)위에는 철망(4)을 개재하여 모르타르(5)가 층형상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이 모르타르(5)위에는 타일(6)이 부착되는 한편, 상기 고무판(1)을 중심으로 상하로 배치된 철망(4)이 결속선(7)으로 서로 묶여져 연결된 판넬형상의 건축용 외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일 아랫쪽 모르타르(5)에 경량기포콘크리트판넬(8)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
KR2019940014132U 1994-06-17 1994-06-17 건축용 외장재 KR970006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132U KR970006109Y1 (ko) 1994-06-17 1994-06-17 건축용 외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132U KR970006109Y1 (ko) 1994-06-17 1994-06-17 건축용 외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913U KR960001913U (ko) 1996-01-19
KR970006109Y1 true KR970006109Y1 (ko) 1997-06-19

Family

ID=1938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132U KR970006109Y1 (ko) 1994-06-17 1994-06-17 건축용 외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1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238A (ko) * 2000-08-29 2002-03-07 연윤흠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913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7722B2 (en) Insulated wall panel
US9003740B2 (en) High performance, reinforced insulated precast concrete and tilt-up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101974956B (zh) 内置格构钢架围护结构板及其建筑物和生产、施工方法
KR20200035815A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상하 결합구조
WO2024055622A1 (zh) 一种装配式反打预制件及其生产工艺
KR970006109Y1 (ko) 건축용 외장재
TWM594042U (zh) 隔音層板結構
KR102210564B1 (ko) 세라믹 타일 퍼티 공법
CN113202197A (zh) 一种建筑节能保温板材
US2070479A (en) Building panel
JP3336461B2 (ja) 外断熱壁材
WO2006073319A2 (en) Precast concrete wall form block
KR101454309B1 (ko) 비내력 내벽 경량벽체
JPH0996022A (ja) 屋上用軽量断熱ブロックおよび屋上断熱構造
CN215977797U (zh) 一种装配式建筑保温结构
JP2004019179A (ja) けい酸カルシウム板を用いた外断熱工法
JP2002242329A (ja) 外断熱施工方法及び建築物
CN210117852U (zh) 一种钢板网加气混凝土复合墙板
KR100823300B1 (ko) 콘크리트 골조주택 스틸마감구조 및 방법
JP2016148149A (ja) 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44187Y1 (ko) 건축내부 냉온방 방음 마감재
KR960004104B1 (ko) 페녹시수지를 이용한 건축용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16470Y1 (ko) 건물 슬라브용 방음, 방진판
JPH076311Y2 (ja) タイル張り出隅部または笠木部の構造
WO2020202201A1 (en) Cellular lightweight solid cement partition pa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