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654Y1 - 케이싱 판넬의 적치구조 - Google Patents

케이싱 판넬의 적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654Y1
KR200341654Y1 KR20-2003-0035115U KR20030035115U KR200341654Y1 KR 200341654 Y1 KR200341654 Y1 KR 200341654Y1 KR 20030035115 U KR20030035115 U KR 20030035115U KR 200341654 Y1 KR200341654 Y1 KR 2003416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anel
support means
casing
panel suppor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6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6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 1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의 내부에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이이 수용되도록 하여,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의 운송시에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이 차지하는 용적을 줄이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케이싱 판넬의 적치구조는, 제 1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의 공간부에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이 삽입되고, 상기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의 고정빔과 제 1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의 고정빔이 놓여지는 면에 연결부재가 수평으로 구비되어 각각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어져 상기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이 차지하는 용적을 줄이면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케이싱 판넬의 적치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케이싱 판넬의 적치구조{Structure Of Pile Casing Panel Up}
본 고안은 케이싱 판넬의 적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의 내부에 다른 형태로 제작되는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이 삽입되도록 하여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의 운송 용적을 줄이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열회수보일러의 내부에는 스팀의 생성과 이송을 위하여 다수개의 열교환파이트가 모여져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고, 이러한 모듈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의 외각에는 보온재가 근접설치되어 열손실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때 보온재의 운송과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이 사용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a,b)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케이싱 케이싱 판넬(10)의 양편에는 'I'형 고정빔(12)이 서로 간격을 이루며 위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빔(12)의 사이에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지지빔(14)이 용접에 의하여 연결되어 고정되는데, 이 지지빔(14)은 고정빔(12)의 하단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되어 지지빔(14)의 하부에는 공간부(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빔(14)의 상면에는 케이싱 플레이트(18)가 수평으로 놓여져 고정빔(12)의 상면까지 연장되며, 이 케이싱 플레이트(18)가 놓여지는 면은 지지빔(14)과 고점빔(12)의 상면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 플레이트(18)의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보온재(20)가 적층된 상태로 놓여져 있는데, 상기 보온재(20)의 최상면에는 플레이트(21)가 놓여져 열에 의해 보온재(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보온재(20)에는 앵커 스터드(22)가 플레이트(21)를 관통하여 케이싱 플레이트(18)에 용접되며, 상기 앵커 스터드(22)의 상부에는 너트(24)가 체결되어 플레이트(21)와 보온재(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앵커 스터드(22)는 서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보온재(20), 플레이트(21) 앵커 스터드(22), 너트(24)로 결합된 구성을 케이싱 판넬이라 칭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2(a,b)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형태의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케이싱 케이싱 판넬(30)은, 소정길이를 갖는 'I'형 고정빔(32)의 상면에 케이싱 플레이트(34)가 놓여져 용접에 의하여 서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 플레이트(34)의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보온재(38)가 적재되는데, 상기 보온재(38)에는 플레이트(39)와 앵커 스터드(40),너트(42)가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설치되어져 보온재(38)를 보호하고 위치를 고정시킨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은 구조물에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이 적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구조물(44)에 상기 제 1,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10,30)이 1개씩 적치되어 설치 장소로 운송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운송되는 제 1,2케이싱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10,30)은 도시되지 않은 폐열회수보일러의 모듈에 그대로 근접설치되어 열손실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 1,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 (10,30)이 구조물(44)에 의하여 운송되면, 제 1케이싱 판넬 지지수단(10)이 차지하는 운송 용적과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30)이 차지하는 운송 용적을 개별적으로 가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제 1,2케이싱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10,30)의 용적을 줄이기 위하여 서로 조합된 적치구조가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제 1케이싱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의 내부에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이 수용되도록 위치시켜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이 차지하는 용적을 줄이도록 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을 도시한 정면도,(b)는 (a)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 단면도
도 2(a)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을 도시한 정면도,(b)는 (a)의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구조물에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이 적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대한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5(a)는 도 4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b)는 도 4의 C-C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C)는 도 4의 D-D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케이싱 판넬 지지수단 12,32 : 고정빔
14 : 지지빔 16 : 공간부
18,34 : 케이싱 플레이트 20 : 보온재
22,40 : 앵커 스터드 24,42,54,58 : 너트
30 : 제 2케이싱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 38 : 보온재
44 : 구조물 50 : 연결부재
52,56 : 볼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 1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의 공간부에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이 삽입되고, 상기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의 고정빔과 제 1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의 고정빔이 놓여지는 면에 연결부재가 수평으로 구비되어 각각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어져 상기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이 차지하는 용적을 줄이면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케이싱 판넬의 적치구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ㄷ'형으로 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연결부재와 서로 분리되도록 볼트와 너트인 구조이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4은 본 고안의 케이싱 판넬의 적치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a,b,c)는 도 4를 각각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아울러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함으로 동일한 참조번호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하고,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4 및 도 5(a)를 참조하면, 제 1케이싱 판넬 지지수단(10)의 고정빔(12)과 고정빔(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6)에는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30)이 횡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첨부된 예시도면 도5(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케이싱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30)의 양측에는 연결부재(50)의 일측면이 밀착되어 체결수단(51)에 의하여 서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50)의 타측 상면에는 제 1케이싱 판넬 지지수단(10)의 고정빔(12)이 놓여지는데, 이 고정빔((12)이 놓여지는 부분과 연결부재(50)간에도 체결수단(53)에 의하여 서로 체결된다.
상기 체결수단(51,53)은 서로 분리 결합되도록 볼트(52,56)와 너트(54,58)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분리 결합 가능한 모든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 1케이싱 판넬 지지수단(10)의 공간부(16)에 제 2케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30)이 삽입되면, 이 제 2케이싱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30)의 용적이 공간부(16)에 포함되어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30)이 개별적으로 차지하게 되는 용적만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케이싱 판넬 지지수단(10)의 고정빔(12)과 제 2케이싱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30)의 고정빔(32)간에 연결부재(50)로 체결되어 있어, 상기 제 1케이싱 판넬 지지수단(10)의 이동시에 제 2케이싱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30)이 함께 이동되어져 운송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제 1케이싱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의 내부에 제 2케이싱 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이 삽입되어 제 2케이싱 케이싱 판넬이 차지하는 용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케이싱 케이싱 판넬과 제 2케이싱 케이싱 판넬간에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체결되어 있어, 상기 제 1케이싱 판넬의 이동시에 제 2케이싱 판넬이 함께 이동되므로 운송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서로 간격이 유지된 고정빔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빔의 하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빔과 연결빔에 고정된 케이싱 플레이트에는 보온재와, 이 보온재를 보호하는 플레이트가 놓여져 앵커 스터드와 너트로 고정시킨 제 1케이싱 판넬 지지수단과, 소정길이를 갖는 고정빔에 고정된 케이싱 플레이트에 보온재와, 이 보온재를 보호하는 플레이트가 놓여져 앵커 스터드와 너트로 고정시킨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을 서로 적치하는 구조로서,
    상기 제 1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의 공간부에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이 삽입되고, 상기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의 고정빔과 제 1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의 고정빔이 놓여지는 면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각각 체결시켜 상기 제 2케이싱 판넬 지지수단이 차지하는 용적을 줄이면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판넬의 적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ㄷ'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판넬의 적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연결부재와 서로 분리되도록 볼트와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판넬의 적치구조.
KR20-2003-0035115U 2003-05-23 2003-11-10 케이싱 판넬의 적치구조 KR20034165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061 2003-05-23
KR20030016061 2003-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654Y1 true KR200341654Y1 (ko) 2004-02-14

Family

ID=49424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115U KR200341654Y1 (ko) 2003-05-23 2003-11-10 케이싱 판넬의 적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6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5503B2 (en) Heat transfer tube panel module and method of constructing exhaust heat recovery boiler using the module
JP2670962B2 (ja) ボイラーに於ける板状溶接チューブ壁の端部を連結するための控えステーシステム
EP1650497B1 (en) Heat exchanger tube panel module, and method of constructing exhaust heat recovery boiler using the module
US5339891A (en) Modular arrangement for heat exchanger units
KR100947112B1 (ko)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KR101246894B1 (ko) 선박의 배기관 지지장치
US5722354A (en) Heat recovery steam generating apparatus
US5557901A (en) Boiler buckstay system
KR200341654Y1 (ko) 케이싱 판넬의 적치구조
US20200028137A1 (en) Accumulator arrangement
US5370239A (en) Integral shipping truss assembly for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modules
EP2388518B1 (en) Buckstay connecting system
US4381735A (en) Cradle system for a steam generator
JP2005042960A (ja) 排熱回収ボイラ及びその据付方法
KR20120008976A (ko) 선박 거주구와 선박 몸체의 결합 구조
JP7465792B2 (ja) 排熱回収ボイラのサポート機構
CN111902688B (zh) 热交换装置
CN212406864U (zh) 消声器防烫网罩
KR20120119648A (ko) 선체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
US5697426A (en) Rack for holding a set of tubes, in particular for forming a heat exchanger
JPH0925669A (ja) 壁構造体
JP2022097124A (ja) 輸送枠構造および輸送方法
JP3150539B2 (ja) ボイラ炉内圧支持装置
KR101774780B1 (ko) 화물창 코너부 방벽 고정장치 및 이의 설치 지그
KR200340562Y1 (ko) 보일러 튜브의 충돌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