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613Y1 - 수납상자 - Google Patents

수납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613Y1
KR200341613Y1 KR20-2003-0034512U KR20030034512U KR200341613Y1 KR 200341613 Y1 KR200341613 Y1 KR 200341613Y1 KR 20030034512 U KR20030034512 U KR 20030034512U KR 200341613 Y1 KR200341613 Y1 KR 200341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nt portion
storage box
plates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 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 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 건
Priority to KR20-2003-0034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 시 수납상자의 상판과 하판을 수평상태로 평탄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포장상태가 미려하고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도록 한 수납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정면판(50)과 배면판(51) 및 측면판(52)이 연결되고, 정면판(50)과 배면판(51)의 상,하부로는 절곡부(53)(54)를 통해 전,후상판(55)(56) 및 전,후하판(57)(58)이 연장되며, 측면판(52)의 상,하부로는 절곡부(59)(60)를 통해 측상판(61) 및 측하판(62)이 연장된 수납상자(B)에 있어서, 상기 측상판(61)의 절곡부(59) 높이를 전,후상판(55)(56)의 절곡부(53) 높이보다 판지두께만큼 낮게 형성하고, 측하판(62)의 절곡부(60) 높이를 전,후하판(57)(57)의 절곡부(54) 높이보다 판지두께만큼 높게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납상자{acceptance box}
본 고안은 폴리프로필렌(PP) 플라스틱 골판지 또는 판재로 제작되는 수납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포장 시 수납상자의 상판과 하판을 수평상태로 평탄하게 접을 수 있으며, 또한 포장상태가 미려하고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도록 한 수납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상자는 물품을 운반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과거에는 종이 골판지로 제작된 종이 수납상자가 이용되었으나 이러한 종이 수납상자는 쉽게 손상되고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근래에는 종이 골판지보다 내구성,내마멸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PP) 골판지로 제작된 플라스틱 수납상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수납상자(A)를 나타낸 것으로, 정면판(1)과 배면판(2) 및 측면판(3)이 연결되고, 상기 정면판(1)과 배면판(2)의 상,하부로는 절곡부(4)(5)를 통해 내측으로 절곡되는 전,후상판(6)(7) 및 전,후하판(8)(9)이 연장되며, 측면판(3)의 상,하부로는 절곡부(10)(11)를 통해 내측으로 절곡되는 측상판(12) 및 측하판(13)이 연장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납상자(A)는 상측 절곡부(4)(10) 및 하측 절곡부(5)(11)가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측상판(12)과 측하판(13)을 내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전,후상판(6)(7)과 전,후하판(8)(9)을 덮을 때 상측 절곡부(4)(10) 및 하측 절곡부(5)(11)의 높이가 동일하여 전,후상판(6)(7)과 전,후하판(8)(9)이 수평상태로 평탄하게 접히지 않고 중앙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 절곡부(4)(10) 및 하측 절곡부(5)(11)의 높이가동일하여 전,후상판(6)(7)과 전,후하판(8)(9)이 수평상태로 평탄하게 접히지 않고 중앙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기 때문에, 포장상태가 미려하지 못하고 포장 시 테이핑 작업이나 밴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포장 시 수납상자의 상판과 하판을 수평상태로 평탄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포장상태가 미려하고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도록 한 수납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측상판을 내측으로 절곡시키는 절곡부의 높이를 전,후상판을 내측으로 절곡시키는 절곡부의 높이보다 판지두께만큼 낮게 형성하고, 측하판을 내측으로 절곡시키는 절곡부의 높이를 전,후하판을 내측으로 절곡시키는 절곡부의 높이보다 판지두께만큼 높게 형성하여, 수납상자 포장 시 전,후상판과 전,후하판을 수평상태로 평탄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납상자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수납상자가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수납상자 전개도.
도 4는 본 고안의 수납상자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수납상자가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수납상자 전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50 : 정면판 51 : 배면판
52 : 측면판 53,54 : 절곡부
55 : 전상판 56 : 후상판
57 : 전하판 58 : 후하판
59,60 : 절곡부 B : 수납상자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수납상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면판(50)과 배면판(51) 및 측면판(52)이 연결되고, 정면판(50)과 배면판(51)의 상,하부로는 절곡부(53)(54)를 통해 전,후상판(55)(56) 및 전,후하판(57)(58)이 연장되며, 측면판(52)의 상,하부로는 절곡부(59)(60)를 통해 측상판(61) 및 측하판(62)이 연장된 수납상자(B)에 있어서, 상기 측상판(61)의 절곡부(59) 높이를 전,후상판(55)(56)의 절곡부(53) 높이보다 판지두께만큼 낮게 형성하고, 측하판(62)의 절곡부(60) 높이를 전,후하판(57)(57)의 절곡부(54) 높이보다 판지두께만큼 높게 형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상자(B)는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수납상자(B)는 플라스틱 골판지로 제작함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수납상자(B)를 플라스틱 판재로 제작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수납상자(B)를 구성하는 정면판(50),배면판(51),측면판(52)과 전,후상판(55)(56),측상판(61) 및 전,후하판(57)(58),측하판(62)은 1장 또는 2장의 플라스틱 골판지 또는 플라스틱 판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면판(50)과 배면판(51) 및 측면판(52)은 사각형상의 직각으로 절곡형성되어 수납상자(B) 본체를 구성한다.
상기 정면판(50)의 상,하부에는 전상판(55)과 전하판(57)이 절곡부(53)(54)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배면판(51)의 상,하부에는 후상판(56)과 후하판(58)이 절곡부(53)(54)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양측 측면판(52)의 상,하부에는 측상판(61)과 측하판(62)이 절곡부(59)(60)를 통해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전,후상판(55)(56)과 측상판(61)은 포장 시 수납상자(B)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포장 시 양측 측상판(61)이 먼저 절곡부(59)를 통해 내측으로 접혀지고, 이 상태에서 전,후상판(55)(56)이 절곡부(53)를 통해 내측으로 접혀지면서측상판(61)의 상부에 포개진다. 이때, 측상판(61)의 절곡부(59) 높이는 전,후상판(55)(56)의 절곡부(53) 높이보다 판지두께만큼 낮은 위치에 형성되므로 포장 시 전,후상판(55)(56)은 수평상태로 평탄하게 접혀지게 된다.
상기 전,후하판(57)(58)과 측하판(62)은 포장 시 수납상자(B)의 하부를 덮는 것으로, 포장 시 양측 측하판(62)이 먼저 절곡부(60)를 통해 내측으로 접혀지고, 이 상태에서 전,후하판(57)(58)이 절곡부(54)를 통해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측하판(62)의 하부에 포개진다. 이때, 측하판(62)의 절곡부(60) 높이는 전,후하판(57)(58)의 절곡부(54) 높이보다 판지두께만큼 높은 위치에 형성되므로 포장 시 전,후하판(57)(58)은 수평상태로 평탄하게 접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수납상자(B)는 포장 시 절곡부(53)(59)와 절곡부(54)(60)가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지 않고 판지두께만큼 차이를 두고 각각 형성되었기 때문에, 도 5에서와 같이 측상판(61) 및 측하판(62)을 각각 내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전,후상판(55)(56)과 전,후하판(57)(58)을 덮을 때 절곡부(53)(59)와 절곡부(54)(60)의 높이차이로 인하여 전,후상판(55)(56)과 전,후하판(57)(58)이 수평상태로 평탄하게 접혀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수납상자(B)의 포장 시 전,후상판(55)(56)과 전,후하판(57)(58)을 수평상태로 평탄하게 접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절곡부(53)(59)와 (54)(60)의 높이차이로 인해 전,후상판(55)(56)과 전,후하판(57)(58)이 종래와 같이 중앙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지 않고 수평상태로 평탄하게 접혀지기 때문에, 포장상태가 미려하고 포장 시테이핑 작업이나 밴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포장 시 수납상자의 전,후상판과 전,후하판을 수평상태로 평탄하게 접을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이 상판과 하판이 수평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포장상태가 미려하고 포장 시 작업자가 수납상자를 한층 더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정면판(50)과 배면판(51) 및 측면판(52)이 연결되고, 정면판(50)과 배면판(51)의 상,하부로는 절곡부(53)(54)를 통해 전,후상판(55)(56) 및 전,후하판(57)(58)이 연장되며, 측면판(52)의 상,하부로는 절곡부(59)(60)를 통해 측상판(61) 및 측하판(62)이 연장된 수납상자(B)에 있어서, 상기 측상판(61)의 절곡부(59) 높이를 전,후상판(55)(56)의 절곡부(53) 높이보다 판지두께만큼 낮게 형성하고, 측하판(62)의 절곡부(60) 높이를 전,후하판(57)(57)의 절곡부(54) 높이보다 판지두께만큼 높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수납상자.
KR20-2003-0034512U 2003-11-04 2003-11-04 수납상자 KR200341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512U KR200341613Y1 (ko) 2003-11-04 2003-11-04 수납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512U KR200341613Y1 (ko) 2003-11-04 2003-11-04 수납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613Y1 true KR200341613Y1 (ko) 2004-02-14

Family

ID=4942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512U KR200341613Y1 (ko) 2003-11-04 2003-11-04 수납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6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7772A (ko) 친환경 노테이핑 택배포장박스
KR200341613Y1 (ko) 수납상자
JP6566448B2 (ja) ダブルカートンクリップ
JPH0747299Y2 (ja) 組立包装箱
CN216581517U (zh) 可折叠的盒坯及包装盒
JP3145639U (ja) 収容箱のフラップ蓋用冶具
JP3168957U (ja) 包装用紙箱
JP4848570B2 (ja) 包装箱
WO2002034628A1 (fr) Boite a monter
JPS5847020Y2 (ja) 環形螢光ランプの包装容器
JPS6122814Y2 (ko)
JP6733719B2 (ja) 包装箱
CN211894041U (zh) 一种敷膜式瓦楞纸箱包装结构
CN210259259U (zh) 一种可塑造不同形状的单瓦楞纸箱
CN213706128U (zh) 一种具有附件小盒的内卡及包装盒
JPH09156631A (ja) 高さ可変箱
JP4238387B2 (ja) 包装装置
JP5528403B2 (ja) 包装箱
WO2001068457A1 (en) Collapsible carton box, method and blank for making same
JP5103435B2 (ja) 包装箱
JPH0734819Y2 (ja) 取手付き包装用箱
JP4233879B2 (ja) 全自動電気洗濯機における梱包装置
JP3014237U (ja) 折畳み式の箱
JP6515883B2 (ja) 包装箱用のブランクシート及び包装箱
KR200479801Y1 (ko) 이종 손잡이 겸용 간지 자동성형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