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021Y1 -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 - Google Patents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021Y1
KR200341021Y1 KR20-2003-0035536U KR20030035536U KR200341021Y1 KR 200341021 Y1 KR200341021 Y1 KR 200341021Y1 KR 20030035536 U KR20030035536 U KR 20030035536U KR 200341021 Y1 KR200341021 Y1 KR 200341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longitudinal direction
river
embankmen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 서광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서광건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서광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3-0035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0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E02B7/10Gravity dams, i.e. those in which the weight of the structure prevents overtur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광하협의 볼록구조로 형성된 적층부재를 이용하여 다수단으로 용이하게 축조하고, 이를 통해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여 홍수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방수처리되어 폭이 상협하광인 볼록구조로 상부엔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적층부재가 그 측부를 통해 서로 인접하게 나열되고 상하로 적층되며, 그 길이방향으로는 서로 면접되게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방수처리됨과 더불어, 관통공을 통해 연결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 양단이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Embankment piling-up structure for preventing river flooding}
본 고안은 폭우로 인한 하천 범람을 방지하는 제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광하협의 볼록구조로 형성된 적층부재를 이용하여 다수단으로 용이하게 축조하고, 이를 통해 하천의 범람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은 물이 호안 밖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유수의 소통을 원활케 하여 홍수의 예방이나 저수(貯水)를 목적으로 하천·호수·바다가 육지와 분리되는 경계선상에 높게 쌓은 구조물을 말한다.
도 1 은 종래의 하천 제방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종래의 하천 제방(10)은 토사를 축조하여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여 제방(10)의 붕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호안블럭(12)을 경사면에 설치하였다.
이러한 제방 구조물은 무엇보다 붕괴에 의한 위험으로부터 안전해야 하며, 제방 구조물의 붕괴는 인근 지역에 돌이킬 수 없는 대재앙의 수해를 야기하므로, 설계와 시공은 물론 유지관리를 철저히 수행해야 하고 구조물의 하자 발견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보수보강 대책을 미리 세워두어야 한다.
제방의 붕괴원인으로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강우에 의해 급격히 불어난 물이 월류하면서 수류에 의해 구조물의 상부를 파괴시키는 월류 현상에서 기인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월류현상에 대비하여 하천의 제방을 0.6~1.0m 정도를 더 축조하였는데, 이 방법은 농토의 높이가 일정한 반면 매년 하천의 퇴적물로 인한 하천 바닥의 높이가 높아져 하천의 제방을 매년 계속적으로 축조하여야 하므로, 많은 작업 비용과 시간이 계속적으로 소비되었고, 그 축조과정도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광하협의 볼록구조로 형성된 적층부재를 이용하여 다수단으로 용이하게 축조하고, 이를 통해 하천의 범람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반복적 적층이 가능한 동일한 구조의 적층부재를 이용하므로 적은 비용으로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적층하여 하천 범람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하천 제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제방 적층부재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제방 적층구조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완성된 제방 적층구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적층부재 22 : 안착홈
24 : 관통공 30 : 연결부재
32 : 나사산 40 : 체결부재
50 : 토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방수처리되어 폭이 상협하광인 볼록구조로 상부엔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적층부재가 그 측부를 통해 서로 인접하게 나열되고 상하로 적층되며, 그 길이방향으로는 서로 면접되게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방수처리됨과 더불어, 관통공을 통해 연결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 양단이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한 적층부재는 최하단에 측부를 통해 서로 인접하게 나열되어 계속적으로 증축가능하고, 적층된 적층부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각 적층부재의 상단에는 적층된 다른 적층부재의 하단이 끼워지게 하향으로 함몰된 고정홈된다.
또한, 적층부재의 외면에 토사가 포장되어 수목을 식재하여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고,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제방 적층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제방 적층구조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동일한 높이로 적층되는 적층부재(20)층을 동일단이라 하고, 최하부에 위치한 동일단으로부터 1단, 2단, 3단이라 한다.
먼저, 적층부재(20)는 복수개가 적층되어 제방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침전에 의한 하천 바닥면의 상승으로 인한 제방 높이를 높이는 경우 용이하게 제방을 더 축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적층부재(2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처리되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볼록구조로 형성되어 그 중심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하향으로 함몰된 고정홈(22)이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적층시 적층된 적층부재(20) 하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고정홈(22)의 너비는 두 개의 적층부재(20) 각 하단부 하나씩 총 두 개가 모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을 정도로 한다. 특히, 하천의 유수측의 적층부재(20)에 형성되는 고정홈(20)에 있어서, 차후 적층부재(20) 적층시 하천측에 적층시켜 하천의 폭을 감소시키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유수측에 설치될 적층부재(20)의 고정홈(22) 너비를 적층부재(20) 하단부 하나만이 안착될 수 있을 정도의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층부재(20)의 상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되어 예를 들어 철근과 같은 연결부재(30)가 삽입되는 관통공(24)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연결부재(30)는 양단에 나사산(32)이 각각 형성되어 관통공(24)을 관통하고, 양단에 형성된 나사산(32)에 예를 들어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40)가 체결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적층부재(20)에 의한 적층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제방이 축조될 위치를 평탄하게 한 후,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적층부재(20)를 길이방향으로 서로 면접되게 최소 2열 이상 배치한 후, 연결부재(30)을 관통공(24)에 관통시키고 양단에 체결부재(40)를 체결하여 해당 열에 배치된 적층부재(2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적층부재(20)가 면접된 부분에는 방수처리하여 그 틈으로 물을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동일단의 적층부재(20) 위에 2단을 적층시키는데, 이는 예를 들어, 1단이 2열인 경우에는 2단을 1열로 하고, 1단이 3열인 경우에는 2단을 2열을 설치한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부재(20) 1단이 3열인 경우에는 2단의 적층부재(20)의 하단부 각각을 1단 적층부재(20)의 고정홈(22)에 각각 위치시키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2열을 형성한다. 이 경우 역시 적층부재(20)가 서로 면접되는 부분에는 방수처리한다. 따라서, 1단의 중간열에 배치되는 적층부재(20)의 고정홈(22)에는 2단 적층부재(20)의 각 하단부가 위치하게 되고, 1단의 양측 적층부재(20)의 고정홈(22)에는 2단 적층부재(20)의 하단부가 하나씩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배치된 2단 적층부재(20) 역시 관통공(24)을 통해 연결부재(30)를 관통시키고 연결부재(30)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산(32)에 체결부재(40)을 체결하여 적층부재(20)를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한 적층구조를 증축하는 경우에는 1단에 적층부재(20) 1열을 더 배치하고, 상기한 과정과 동일하게 2단을 배치하고, 이 2단 위에 3단을 설치할 수 있다.
즉, 적층구조를 증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단에 적층부재(20) 1열을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더 배치하고, 차례로 2단, 3단을 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증축할 수 있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완성된 제방 적층구조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과정을 거쳐 배치된 제방 적층구조의 적층부재(20)는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관이 비자연친화적이며, 특히 상단에는 사람이 통행할 수 없으며, 각 적층부재(20) 내부 공간은 비어 있으므로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의 상부와 고정홈(22)에 토사(50)를 채우고 수목을 식재하여 사람이 용이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적층부재(20)의 내부공간에도 토사(50)를 채워 적층부재(20)의 파손에 대비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르면, 상광하협의 볼록구조로 형성된 적층부재를 이용하여 다수단으로 용이하게 축조하고, 이를 통해 하천의 범람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편, 반복적 적층이 가능한 동일한 구조의 적층부재를 이용하므로 적은 비용으로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적층하여 하천 범람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각 적층부재가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방 붕괴에 대비할 수 있다.

Claims (4)

  1. 방수처리되어 폭이 상협하광인 볼록구조로 상부엔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적층부재가 그 측부를 통해 서로 인접하게 나열되고 상하로 적층되며, 그 길이방향으로는 서로 면접되게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방수처리됨과 더불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연결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 양단이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재는 최하단에 측부를 통해 서로 인접하게 나열되어 계속적으로 증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적층부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각 적층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적층된 다른 적층부재의 하단이 끼워지게 하향으로 함몰된 고정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재의 외면에 토사가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
KR20-2003-0035536U 2003-11-13 2003-11-13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 KR200341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536U KR200341021Y1 (ko) 2003-11-13 2003-11-13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536U KR200341021Y1 (ko) 2003-11-13 2003-11-13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021Y1 true KR200341021Y1 (ko) 2004-02-11

Family

ID=4942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536U KR200341021Y1 (ko) 2003-11-13 2003-11-13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0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718B1 (ko) 2005-10-24 2007-04-16 (주)화신엔지니어링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718B1 (ko) 2005-10-24 2007-04-16 (주)화신엔지니어링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643B2 (en) Environmental affinity type hydrophilic revetment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20090110484A1 (en) Storm surge breaker system, barrier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DE102008037712A1 (de) Vorrichtung für den Hochwasser- und Küstenschutz
US20050100418A1 (en) Ecological block and vegetation bank protection
KR200341021Y1 (ko)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
KR20020077514A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사방 또는 호안용 구조물
KR200437790Y1 (ko) 식생옹벽블럭
KR200428974Y1 (ko) 호안블록
US8142105B2 (en) Wave-motion reducing structure
KR100674354B1 (ko)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 구조물
KR200247956Y1 (ko) 지지홀을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
KR200438205Y1 (ko) 계단형의 친수성 호안 블록 구조물
KR200312007Y1 (ko) 제방 축조 기능을 갖는 호안블럭
KR0178955B1 (ko) 호안용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과 그 블럭을 이용한 계단
KR200338821Y1 (ko) 친환경적 하천 호안블록 설치구조
KR100521899B1 (ko) 조류소통을 위한 해수 교환 방파제
KR101303944B1 (ko) 식생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327422Y1 (ko)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KR200272952Y1 (ko) 하천의 제방 구축용 돌망테 구조
KR200330328Y1 (ko) 개량 식생 호안블럭어셈블리
KR200235687Y1 (ko) 도로용 식재 호안블럭
KR100733283B1 (ko) 해안의 범람방지 구조물
KR101375232B1 (ko) 하천제방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구조
KR200236316Y1 (ko) 호안블럭의 구조
KR200300448Y1 (ko) 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