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955B1 - 호안용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과 그 블럭을 이용한 계단 - Google Patents

호안용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과 그 블럭을 이용한 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955B1
KR0178955B1 KR1019950016679A KR19950016679A KR0178955B1 KR 0178955 B1 KR0178955 B1 KR 0178955B1 KR 1019950016679 A KR1019950016679 A KR 1019950016679A KR 19950016679 A KR19950016679 A KR 19950016679A KR 0178955 B1 KR0178955 B1 KR 0178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jaw
blocks
staircase
landf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750A (ko
Inventor
이양희
Original Assignee
이상순
롯데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순, 롯데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상순
Priority to KR101995001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955B1/ko
Publication of KR97000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9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해안가등을 매립할 때 파도를 소파시키며 제방을 완경사로 하여 매립지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앞쪽과 뒤쪽에 서로 반대 방향의 턱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블럭들이, 전후좌우로 배치되데, 앞쪽의 턱부에 뒤쪽의 턱부가 올려지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한 통로가 하부에서 상부에 이르기까지 연통하는 상태로 계단을 형성하고, 이들 블럭들의 앞열에는 이 블럭의 앞쪽에 형성된 턱부와 대향하는 턱부가 형성된 구조물이 매립되고, 이들 블럭들의 뒷열에는 이 블럭의 뒤쪽에 형성된 턱부와 대향하는 또 다른 턱부가 형성된 구조물이 매립되는 호안용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계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호안용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과 그 블럭을 이용한 계단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블럭들이 계단 상태로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 구조물의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 구조물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과 블럭들이 계단 상태로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과 블럭이 계단 상태로 설치된 상태의 일부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과 블럭이 실질적으로 호안 공사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호안용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과 그 블럭을 이용한 블럭 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안의 파도를 효율적으로 소파시킴과 동시에 보행이 가능한 완경사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블럭과 그 블럭을 이용한 블럭 계단에 관한 것이다.
호안공사라 함은 강이나 바다, 또는 호수 등의 기슭이나 제방을 보호하기 위하여 행하는 공사를 일컫는다.
이러한 호안 공사는 해안을 매립할 때 파도에 파손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이것을 위하여 바다와 육지가 접촉하는 경계부위에 이른바 TTP라 불리우는 파도 감쇠 구조물을 다수개 설치하게 된다.
이 TTP가 위치하는 곳으로부터 제방을 쌓아 실질적으로 매립지에는 바닷물이 밀려오지 않도록 하고 있는데, 이 제방은 경사면으로 공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평탄작업이 되는 매립지로부터 바다까지는 상당한 거리가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이 경사면이 형성되는 부분은 파도를 막아 매립지가 파도에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역활을 하지만, 매립지 활용도 측면에서 볼 때 상당한 면적이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이러한 경사면을 갖는 제방은 해안 경관을 좋지 않게 하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규칙적인 파도의 효율적으로 소파시킬 수 있는 블럭 및 구조물과 이 구조물과 블럭을 이용함으로서 해안 매립지 등에서 제방으로 이용되는 부분의 매립지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블럭 계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앞쪽과 뒤쪽에 서로 반대 방향의 턱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블럭들이, 전후좌우로 배치되데, 앞쪽의 턱부에 뒤쪽의 턱부가 올려지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한 통로가 하부에서 상부에 이르기까지 연통하는 상태로 계단을 형성하고, 이들 블럭들의 앞열에는 이 블럭의 앞쪽에 형성된 턱부와 대향하는 턱부가 형성된 구조물이 매립되고, 이들 블럭들의 뒷열에는 이 블럭의 뒤쪽에 형성된 턱부와 대향하는 또 다른 턱부가 형성된 구조물이 매립되는 호안용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계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면과 상면 그리고 좌우측면으로 4각체를 형성하여 내부에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한 저면과 상면은 수직선 상에서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앞쪽과 뒤쪽에 각각 반대방향의 턱부가 형성되는 호안용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블럭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측단면도로서, 이 블럭은 철근(2)이 상하좌우로 배치되어 콘크리트 형틀에서 제조되는 콘크리트 블럭이다.
이 블럭은 지면과 해안 매립시 기초사석 부분에 위치하는 상면(4)과, 이 저면과 평행한 자세로 위치하는 저면(6)과, 좌우측면(8)으로 이루어져 대략 4각체의 형상을 갖는다.
이 블럭은 그 내부가 비어 통로(10)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통로의 형상은 제1도와 같이 형성되거나 다각형상 또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상면(4)은 저면(6)과 수직선 상에서 볼 때 그 위치가 어긋난 상태를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앞부분과 뒷부분에는 턱부(12,14)가 형성된다.
상기한 턱부(12)는 아래측을 향하는 구조이며, 다른 턱부(14)는 윗 부분을 향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통로(10)는 앞쪽이 완전히 열려지고 있지만, 뒤쪽은 턱부(14)에서 차단되어 앞 부분의 개구면적에 비하여 작은 통로를 이룬다.
제3도는 상기한 블럭들이 계단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앞쪽의 블럭 상면(4)에 뒤쪽의 블럭 턱부(12)가 올려지며, 뒤쪽의 블럭 저면(6)이 앞쪽의 블럭 턱부(14)에 올려지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방식에 따라 블럭들이 다수개 이어지게 되면 계단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앞쪽의 블럭에 형성된 통로(10)는 뒤쪽의 블럭에 형성된 통로와 부분적으로 연통하는 상태가 되며 뒤쪽의 블럭에 형성된 통로의 앞부분은 앞쪽의 블럭 상면(4)을 타고 흐르는 파도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열려진 형상을 이룬다.
제4도는 제3도와 같이 다수개의 블럭들이 계단을 형성할 때 앞쪽의 블럭에 위치하는 하부 구조물의 사시도로서, 이 구조물도 블럭들과 동일하게 콘크리트 물로서 저면은 넓은 수평 판상체(16)를 이루고 있으며, 이 판상체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는 수직 판상체(18)에는 지지단(20)이 전후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 수직 판상체에는 제일 앞쪽의 블럭에 형성된 턱부(12)가 위치하는 턱부(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5도는 제3도와 같이 다수개의 블럭들이 계단을 형성할 때 제일 뒷부분 블럭에 위치하는 상부 구조물로서, 이 구조물도 하부 구조물과 동일하게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이 상부 구조물은, 계단을 형성할 때 뒷쪽의 블럭에 형성된 턱부(14)와 접촉하는 턱부(24)를 형성하고 있으며, 반대측에는 매립지 부분으로 내려가기 위한 다수개의 턱부(26)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턱부(26)의 아래측에는 이 턱부(28)가 형성되어 이 턱부에 지지구조물(30)이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6도 및 제7도는 이와 같이 블럭 및 구조물들을 계단 상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아래측에 제4도의 구조물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 구조물의 턱부(22)에 블럭의 턱부(12)가 올려지는 상태로 되고 있다.
이때 블럭의 좌우 배열은 상측열과 하측열이 엇갈린 상태로 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지지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제6도 참조)
그리고 뒷쪽의 블럭에 형성된 턱부(14)에는 제5도의 구조물에 형성된 턱부(24)가 위치하는 상태로 올려진다.(제7도 참조)
이러한 구조물과 계단식 블럭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안가를 매립할 때 테트라 포드(TTP)가 위치하는 곳으로부터 매립지(M)까지를 거의 평면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테트라 포드가 위치하는 곳은 급한 경사면(T)으로 제방을 형성하고, 이 경사면으로부터 완경사(S)를 형성한 후, 이 완경사가 끝나는 지점에 제4도의 구조물을 매립하면서 블럭들을 쌓아 올라가면 된다.
이 완경사(S)부는 기초사석에 의해 제방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이 부분에서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과 블럭이 계단을 형성하므로서 더욱 높은 제방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완경사면의 높이는 태풍시나 불규칙적인 큰 파도가 치는 경우에는 파도가 밀려오는 부분이므로 이러한 파도가 밀려올 때 본 발명에 의한 블럭들이 이 파도를 소파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블럭들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높이가 서로 다르게 설치되어 각각 통로를 형성하고 있으면서 이 통로들은 하부에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연통하고 있으므로 이 통로로 유입되는 파도는 하측 부분의 통로를 지나면서 그 힘이 소멸되면서 서서히 약해지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통로가 아래측에서 상측으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유로가 길어져 물과 콘크리트 면의 마찰에 의해 에너지가 감소되어 파도의 위력은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블럭들과 구조물은 큰 파도가 있는 날씨에는 밀려오는 파도를 소파시키고, 파도가 완경사면까지 밀려오지 못하는 날씨에는 이 부분이 산책로 등으로 공간 활용이 될 수 있는데, 이때 이 블럭들은 계단 역활을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계단은 완경사부를 어떠한 목적으로 이용시 이용자들의 계단역활을 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파도를 소파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에는 매립지(M) 만을 이용하므로서 매립지 활용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2)

  1. 앞쪽과 뒤쪽에 서로 반대 방향의 턱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통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저면, 상면, 좌우측면에는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철근이 각각 삽입되는 블럭들이, 계단상으로 배치되고, 이들 블럭의 앞열에는 이 블럭의 앞쪽에 형성된 턱부와 대향하는 턱부가 형성된 구조물이 매립되고, 이 블럭의 뒷열에는 이 블럭의 뒤쪽에 형성된 턱부와 대향하는 또 다른 턱부가 형성되어 계단을 구성하며, 상기한 블럭들은 계단의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블럭에 형성된 통로가 연통하여 파도를 서서히 소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용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계단.
  2. 제1항에 있어서, 블럭들의 뒷열에 형성된 턱부와 접촉하여 매립되는 구조물은 매립지로 내려가기 위한 계단상의 턱부가 형성되는 호안용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계단.
KR1019950016679A 1995-06-21 1995-06-21 호안용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과 그 블럭을 이용한 계단 KR0178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679A KR0178955B1 (ko) 1995-06-21 1995-06-21 호안용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과 그 블럭을 이용한 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679A KR0178955B1 (ko) 1995-06-21 1995-06-21 호안용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과 그 블럭을 이용한 계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750A KR970001750A (ko) 1997-01-24
KR0178955B1 true KR0178955B1 (ko) 1999-04-01

Family

ID=1941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679A KR0178955B1 (ko) 1995-06-21 1995-06-21 호안용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과 그 블럭을 이용한 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9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501B1 (ko) * 2011-08-24 2012-04-05 (주)이화기술단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 친수블럭
KR20210014454A (ko) * 2019-07-30 2021-02-09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부력에 강한 단층피복블록을 구비한 방파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654B1 (ko) * 2014-06-25 2014-11-20 주식회사 드림인테크 전층 연결 유공구조를 이용한 소파형 침식방지 친수호안블록과 이를 이용한 친수 호안 구조물 및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501B1 (ko) * 2011-08-24 2012-04-05 (주)이화기술단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 친수블럭
KR20210014454A (ko) * 2019-07-30 2021-02-09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부력에 강한 단층피복블록을 구비한 방파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750A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8805A (en) Breakwater module and means for protecting a shoreline therewith
US5536112A (en) Breakwater generat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trolling coastal erosion
US3538710A (en) Breakwater structure
US5174681A (en) Permeable breakwater
US5224794A (en) Permeable breakwater
US5011328A (en) Permeable breakwater
US4834578A (en) Energy-dissipating overflow-type protection system on dikes and/or jetties
KR0178955B1 (ko) 호안용 유공식 콘크리트 블럭과 그 블럭을 이용한 계단
US3875750A (en) Modular erosion control device
US5586835A (en) Shore erosion control structures
NZ576768A (en) A wave-motion reducing structure
JPS6088708A (ja) 護岸工法
KR101133501B1 (ko)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 친수블럭
JPH0554531B2 (ko)
RU2054081C1 (ru) Берегозащи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KR100394340B1 (ko) 호안 경사면의 중간 소단부의 구조
JP4357735B2 (ja) 小口止めブロック付き潜堤
JPS60261815A (ja) 護岸方法
KR200232433Y1 (ko) 호안 경사면의 중간 소단부의 구조
KR200341021Y1 (ko) 하천 범람 방지용 제방 적층구조
SU1752850A1 (ru) Защи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от наводнений
KR200370047Y1 (ko) 하천 제방의 전도 방지용 조립식 옹벽 구조
KR200235677Y1 (ko) 부력폰투운을 이용한 해수교환방파제
SU1193211A1 (ru) Речна берегозащитна стена
JPH061618Y2 (ja) 築堤護岸用多目的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