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729Y1 -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 Google Patents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729Y1
KR200340729Y1 KR20-2003-0029741U KR20030029741U KR200340729Y1 KR 200340729 Y1 KR200340729 Y1 KR 200340729Y1 KR 20030029741 U KR20030029741 U KR 20030029741U KR 200340729 Y1 KR200340729 Y1 KR 2003407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diesel engine
exhaust
hou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김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20-2003-0029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7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7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0892Electric or magnetic treatment, e.g. dissociation of noxious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6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10/00Surface cove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3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tubes, chambers or housings
    • F01N2530/02Corrosion resistive metals
    • F01N2530/04Steel alloys, e.g. stainless st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3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tubes, chambers or housings
    • F01N2530/22Flexible elastomer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젤 엔진의 배기미립자를 포집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분리판에 의해 중앙의 포집부와 양측의 장착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가진다. 포집부에는 복수의 집진판들이 배치되고 각각의 집진판들 사이에는 코로나방전을 위한 텅스텐 와이어가 설치되며, 장착부에는 텅스텐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부로부터 고전압을 인가 받는 부스바가 설치된다.

Description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EXHAUST PARTICLES OF A DIESEL ENGINE}
본 고안은 미립자를 포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디젤엔진으로부터 배기되는 미립자를 전기적 제어에 의해 포집하는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젤엔진의 배기 중에는 탄소미립자(소위 검댕이)가 다량 존재한다. 이들 미립자들은 사람으로 하여금 불쾌감을 주고 도로 주변에 위치한 가정집 장판 바닥이나 의복에 부착되는 등 환경 공해를 유발할 뿐 만 아니라 인체 내로 들어가서 암이나 호흡기 계통의 질환을 일으킨다. 또한, 도심에서는 지하철 역사로 외기 흡입시 이들 탄소미립자로 인해 공조장치 및 여과필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필터로 여과를 하여도 완벽하게 걸러지지 않아 역사 내부의 공기가 청정하지 못하게 된다. 때문에 디젤엔진이 탑재된 차량의 배기관에는 이들을 정화 처리하는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들 미립자를 포집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전기 집진기는 싸이클론(cyclones), 웨트 스크러버(wet scrubber), 필터나 이와 비슷한 다른 입자 포집 장치와 비교할 때, 작은 압력 저하(low pressure drop) 및 고포집 효율의 장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동작에 필요한 전력 소모가 적어 가장 널리 쓰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집 장치는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코로나 전극과 대전된 미립자를 포집시키는 집진 전극을 포함하는데, 장시간 사용시 집진판에 포집된 미립자들로 인해 코로나 전극과 집진 전극 사이의 절연이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집 장치는 일정량의 미립자가 집진 전극에 포집되어 배기 통로가 막히는 경우, 포집 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되므로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본 고안은 대전된 배기미립자들에 의해 코로나 전극과 집진 전극 간에 절연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젤 엔진의 배기 미립자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집진 전극에 포집된 미립자들을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디젤 엔진의 배기 미립자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집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집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선 Ⅰ-Ⅰ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덮개의 일부분이 절취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A'의 확대도;
도 6은 도 4의 'B'의 확대도;
도 7은 집진판의 정면도; 그리고
도 8은 전원부와 보호회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 100a : 포집부
100b : 장착부 120 : 덮개
140 : 몸체 200 : 분리판
300 : 코로나 전극부 320 : 텅스텐 와이어
340 : 부스바 360 : 애자
380 : 스프링 400 : 집진판
500 : 분배판 600 : 패킹부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디젤 엔진의 배기 미립자 포집 장치는 하우징과 코로나 전극부, 그리고 집진전극부를 가진다. 상기 하우징은 몸체와 덮개를 가지며,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몸체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는 분리판에 의해 중앙의 포집부와 양측의 장착부로 격리된다. 상기 하우징은 유해가스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코로나 전극부는 전원부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포집부로 유입된 배기 미립자를 대전시키기 위해 코로나 방전시키는 텅스텐 와이어를 가진다. 상기 단자부는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며, 부스바를 포함한다. 상기 부스바의 표면은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물질로 코팅되며, 절연물질로는 에폭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리판에는 절연재질의 애자가 상기 장착부에 배치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부스바는 상기 애자에 결합된다. 상기 부스바와 상기 텅스텐 와이어는 스프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리판에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패킹부재가 삽입된다. 상기 패킹부재는 중앙에 상기 텅스텐 와이어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은 상기 포집부와 대향되는 입구가 상기 장착부와 대향되는 출구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패킹부재는 고온에 잘 견디고 오존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바이톤에 안티오존제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집진전극부는 상기 덮개에 고정되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집진판을 가진다. 상기 집진판은 상기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촉되며, 상기 하우징은 접지 될 수 있다. 상기 집진판은 배기 미립자들의 포집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에는 홀들이 형성되며, 자성을 가지는 스테인리스 스틸 430을 재질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로 유입된 배기미립자들을 상기 포집부 내로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한 분배판과 상기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류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전류 크기가 설정범위를 일정횟수 이상 벗어나면, 전류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보호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배기미립자 포집장치(1)는 트럭, 버스,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된 디젤엔진의 배기통로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포집 장치(1)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포집 장치(1)는 하우징(100), 분리판(200), 집진전극부(500), 코로나 전극부(300), 패킹부재(600), 그리고 전원부(72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몸체(140)와 덮개(120)를 가진다. 몸체의 네 측면(142, 143, 144, 145)과 바닥면(141)은 평평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은 개방된다. 덮개(120)는 몸체(140)의 개방된 상부면을 덮는 부분으로, 몸체(140)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예컨대, 덮개(1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몸체(140)에 결합되도록, 상기 덮개(120)와 상기 몸체(140)에는 홀들(122, 147)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도전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가볍고 유해가스에 의해 산화가 잘 되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steel)로 이루어진다.
분리판(200)은 사각의 평판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되어 하우징(100) 내부를 중앙부의 포집부(100a)와 측부의 장착부들(100b)로 격리한다. 분리판(200)은 하우징(100) 내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인접하여 설치된 분리판(200)에는 배기미립자들을 하우징(100)의 포집부(100a)로 유입하는 흡기관(14)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일측면과 마주보는 하우징(100)의 타측면에 인접하여 설치된 분리판(200)에는 포집부(100a) 내에서 정화된 배기미립자들을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관(12)이 삽입 고정된다. 분리판(200)은 도전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가볍고 유해가스에 의해 산화가 잘 되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진다. 흡기관(14)과 배기관(12)은 분리판(200)의 측면 중 아래쪽에 결합된다.
하우징의 바닥면(141) 및 분리판(200)과 수직한 하우징의 두 측면(144, 145)은 일체로 형성되고, 분리판(200)과 평행한 하우징의 두 측면(142, 143)은 나사(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분리판(200)과 평행한 하우징의 두 측면(142, 143)에는 흡기관(14) 또는 배기관(12)이 삽입되는 홀(142a, 143a)이 형성된다.
코로나 전극부(300)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단자부(340)와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텅스텐 와이어(320)들을 가진다. 텅스텐 와이어(320)들은 분리판(200)과 수직이 되도록 하우징(100) 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텅스텐 와이어(320)의 일단은 흡기관(14)이 삽입된 분리판(200)에형성된 홀(220)을 관통하고, 타단은 배기관(12)이 삽입된 분리판(200)에 형성된 홀(22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텅스텐 와이어(320)는 약 0.2㎜의 지름을 가지고, 수개에서 수십 개까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들의 수는 장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단자부는 각각의 장착부(100b)에 설치되는 부스바(340)를 포함하며, 전원부(720)로부터 약 6㎸ 내지 12㎸의 양의 고전압이 부스바(340)로 인가된다. 부스바(340)의 표면은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물질로 코팅된다. 절연물질로는 에폭시(epoxy)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선 Ⅰ-Ⅰ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덮개(120)의 일부분이 절취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4에서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집진판(400)과 애자(360)는 생략되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부스바(340)는 평평한 상부와 상부(342)로부터 굴곡지며 아래로 연장된 하부(344)를 가진다. 분리판(200)의 일측면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애자(360)들이 결합되어 장착부(100b) 내에 설치되고, 부스바(340)는 애자(360)들에 의해 지지된다. 즉, 분리판(200)과 부스바(340) 사이에는 복수의 애자(360)들이 배치되어 분리판(200)과 부스바(340)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부스바의 상부(342)와 분리판(200)에는 복수의 홀들(342a, 240)이 형성되고, 애자(360)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의 나사홀들(362)이 형성되어, 분리판(200)과 애자(360), 그리고 애자(360)와 부스바(340)는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부스바의 하부(344)에는 걸림홀들(344a)이 형성되고 각각의 걸림홀들(344a)에는 스프링(380)과 같은 탄성체의 일단이 고정된다. 스프링(380)의 타단에는 상술한 텅스텐 와이어(320)가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일정기간 사용시 텅스텐 와이어(320)는 느슨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코로나 방전이 불안정하게 발생된다. 심한 경우 텅스텐 와이어(320)가 집진판(400)에 부착되어 절연이 파괴될 수 도 있다. 스프링(380)은 장기간 사용시에도 텅스텐 와이어(320)가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장착부(100b)에 설치된 부스바(340), 애자(360), 그리고 스프링(380)의 결합관계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인 도 5에 도시되었다.
본 고안의 집진장치(1)에 의하면 전원부(720)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스바(340)는 배기미립자들이 유입되는 포집부(100a)와 격리된 장착부(100b)에 설치되므로, 포집부(100a) 내의 미세먼지들이 부스바(340)에 부착되어 코로나 전극부(300)와 후술할 집진전극부(400) 간에 절연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패킹부재(600)는 텅스텐 와이어(320)가 분리판(200)에 접촉되어 쇼트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의 'B' 부분의 확대도인 도 6을 참조하면, 패킹부재(600)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며 텅스텐 와이어(320)를 삽입하는 통공(380)이 형성된다. 패킹부재(600)는 장착부에 위치되는 원뿔대 형상의 전단부(620)와 둘레에 분리판(200)에 형성된 홀(220)에 삽입되는 홈(660)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후단부(640)를 가진다. 패킹부재(600)의 통공은 포집부(100a)와 대향되는 입구(682)부분이 좁게 형성되고, 입구(682)로부터 장착부(100b)와 대향되는 출구(684)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좁은 면적의 입구는 포집부(100a) 내에 존재하는 배기미립자와 같은 이물질들이 통공(680)을 통해 장착부(100b)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통공이 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구조는 패킹부재(600) 내부로 유입된 미세먼지들을 패킹부재(600)의 통공 내벽에 부착하여 장착부(100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포집부(100a) 내부는 대략 120℃ 내지 150℃의 온도를 가지며, 배기미립자들로부터 발생된 오존이 존재한다. 따라서 패킹부재(600)는 고온에 잘 견디고 오존에 의해 산화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예컨대 패킹부재(600)는 고무인 바이톤에 안티오존제를 첨가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다시 도 3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포집부(100a)의 바닥면에는 흡기관(14)을 통해 포집부(100a)로 유입된 배기미립자들을 분산시키는 분배판(500)이 설치된다. 분배판(500)은 흡기관(14)과 인접하는 부분에 배치되며, 평평하게 형성되어 포집부(100a)의 바닥면과 결합되는 수평부(520)와 수평부(52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포집부(100a)) 내의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부(540)를 가진다. 흡기관(14)을 통해 유입된 배기미립자들은 분배판의 경사부(540)를 따라 승강되며 포집부(100a) 내로 균등하게 분산된다.
포집부(100a) 내로 유입된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들 중 잔류 산소 등 비교적 이온화 에너지가 낮은 기체분자는 전리되어 양이온이 되고, 이들이 탄소미립자에 부착하여 입자 자신은 양전하로 대전된다. 집진전극부는 이들 양전하를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 집진전극부는 집진판(400)들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각각의 집진판(400)은 얇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서로간에 나란히 종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그 일측면이 하우징(100)의 덮개(120)에 고정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집진판(400)은 포집부(100a) 내부의 길이와 높이에 상응되는 길이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집진판(400)은 얇은 직사각판에서 흡기관(14)과 마주보는 일측 모서리가 패인 형상을 가진다. 이는 상술한 분배판(50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집진판(400)들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덮개(1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덮개(120)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몸체(140) 및 분리판(200)과 접촉되므로, 집진판(400), 분리판(200), 그리고 하우징(100)은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우징(100)은 차량 본체에 부착 고정될 때 접지되므로 집진판(400)도 접지된다. 인접하는 집진판(400) 사이에는 하나의 텅스텐 와이어(320)들이 위치되도록 집진판(400)들은 적당한 간격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각각의 집진판(400) 사이에는 복수개의 텅스텐 와이어(320)들이 배치될 수 도 있다.
대전된 배기미립자들이 포집되는 부분은 집진판(400)의 노출된 면들 중 평평한 부분보다는 뾰족한 가장자리 부분이다. 본 고안의 집진판(400)은 뾰족한 가장자리를 다량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홀들(420)이 형성된다. 도면에서 홀들(420)의 형상은 복수의 원형홀들과 이들을 연결하는 직선으로 된 슬릿홀들이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집진판(400)들은 유해가스에 의해 산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실험에 의하면 집진판(400)이 자성을 띠는 경우, 대전된 배기미립자들을 잘 포집하므로 집진판(400)들은 자성을 띠는 스테인리스 스틸 430(SUS 430)을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포집 장치는 집진판(400)들이 하우징(100)의 덮개(120)에 장착되고, 덮개(12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덮개(120)를 몸체(140)로부터 분리하여 집진판(400)에 포집된 미립자들을 제거하고, 다시 덮개(120)를 몸체(140)에 결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고전압을 가하는 전원부(720)와 보호회로(74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전원부(720)에는 보호회로(740)가 연결된다. 보호회로는 전원부(72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을 계속적으로 측정하여, 코로나 전극부와 집진판(400)들 간에 절연이 파괴되는 등의 원인으로 전류량이 설정범위를 일정횟수 벗어나는 경우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보호회로(740)는 장치를 정비한 이후 전원부(720)로부터 공급이 다시 이루어지도록 하는 리셋버튼(도시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포집 장치에 의하면, 집진판은 포집부에 배치되고, 텅스텐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스바는 장착부와 격리된 장착부에 배치되므로, 배기미립자들에 의해 이들간에 절연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집진판들은 몸체와 탈착이 용이한 덮개에 설치되므로, 일정시간 경과 후 집진판에 포집된 배기미립자들을 제거하여 집진판들을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부스바는 절연에폭시와 같은 절연제로 코팅되어 있으므로 부스바로부터 방전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포집 장치는 분리판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입구가 좁은 통공이 형성된 절연체인 패킹부재를 구비하므로, 포집부 내의 이물질들이 장착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포집 장치에서 텅스텐 와이어는 스프링에 의해 부스바와 결합되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텅스텐 와이어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 방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를 포집하는 장치에 있어서,
    배기통로에 설치되는, 그리고 분리판에 의해 포집부와 장착부로 격리되는 하우징과;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며,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상기 포집부로 유입된 배기미립자를 대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와;
    상기 하우징의 포집부 내에 배치되며, 대전된 상기 배기미립자를 정전기력으로 포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집진판과;
    상기 부스바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과 상기 집진판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포집장치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그리고 상기 분리판에 장착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통공은 상기 포집부와 대향되는 입구가 상기 장착부와 대향되는 출구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고온에 잘 견디고 오존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이톤 재료에 안티오존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은 대전된 상기 배기미립자의 집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와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가 일정장력을 유지하도록 탄성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몸체와;
    상기 몸체에 탈착가능한 덮개를 가지며,
    상기 집진판은 상기 덮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과 상기 집진판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포집 장치는 상기 분리판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부스바를 지지하는, 그리고 상기 부스바를 상기 분리판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애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스테인리스 430을 재질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배기미립자를 분산시키는 분배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류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전류 크기가 설정범위를 일정횟수 이상 벗어나면, 전류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보호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젤엔진은 차량에 탑재되는 디젤엔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14.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를 포집하는 장치에 있어서,
    분리판에 의해 중앙의 포집부와 양측의 장착부로 격리되는 하우징과;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며,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상기 포집부로 유입된 배기미립자를 대전시키는 복수의 텅스텐 와이어들과;
    상기 하우징의 포집부 내에 배치되며, 대전된 상기 배기미립자를 정전기력으로 포집하는, 그리고 접지된 복수의 집진판들과; 그리고
    상기 부스바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15.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를 포집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의 포집부와 양측에 장착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포집부와 상기 장착부를 격리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분리판들과;
    상기 분리판들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도록 장착되고,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는, 그리고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패킹 부재들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집진판들과;
    상기 집진판들 사이에 배치되며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의 통공에 삽입되는 텅스텐 와이어들과;
    상기 텅스텐 와이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장착부에 배치되는 단자부와; 그리고
    상기 단자부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KR20-2003-0029741U 2003-09-19 2003-09-19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KR2003407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741U KR200340729Y1 (ko) 2003-09-19 2003-09-19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741U KR200340729Y1 (ko) 2003-09-19 2003-09-19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729Y1 true KR200340729Y1 (ko) 2004-02-11

Family

ID=4934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741U KR200340729Y1 (ko) 2003-09-19 2003-09-19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7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171B1 (ko) * 2014-12-29 2016-02-1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부싱커버 결합장치, 고전압 전원장치, 및 전기집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171B1 (ko) * 2014-12-29 2016-02-1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부싱커버 결합장치, 고전압 전원장치, 및 전기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455B1 (ko) 집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집진장치
CA1204391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0724556B1 (ko) 유도전압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
KR101622667B1 (ko) 전기집진 장치
JP4347837B2 (ja) 電気集塵デバイス及び該電気集塵デバイスを搭載した空気処理装置
US11524305B2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aratus
EP0713562B1 (en) Electronic purification of exhaust gases
US10882053B2 (en) Electrostatic air filter
WO2017218582A1 (en) Electrostatic air filter
KR200340729Y1 (ko)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CN210994794U (zh) 静电集尘组件及空气净化装置
KR200312736Y1 (ko) 전기집진기용 조립식 이온아이저
CN112762561A (zh) 带有绝缘端子的电子集尘器及空气净化装置
CN209549712U (zh) 静电除油烟装置
KR102534111B1 (ko) 전기 집진기
GB2147525A (en) Equipment for removal of dusts from industrial gases
CN111569619A (zh) 电净化结构、电净化组件、空气净化装置
JP3118578U (ja) V字形イオン化空間を備えたイオン化集塵器
JP3338489B2 (ja) 電気集塵装置
CN216173231U (zh) 电净化装置及空气净化设备
RU2111797C1 (ru) Фильтровальная ячейка для электростатического фильтра
CN219252906U (zh) 一种静电集尘器
CN213901214U (zh) 后端油烟净化装置及采用该装置的油烟机组件
JPH08215605A (ja) 電気集塵機
CN111328296B (zh) 用于紧凑型空气清洁器的静电除尘器和使用该静电除尘器的紧凑型空气清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