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171B1 - 부싱커버 결합장치, 고전압 전원장치, 및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부싱커버 결합장치, 고전압 전원장치, 및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171B1
KR101596171B1 KR1020140192469A KR20140192469A KR101596171B1 KR 101596171 B1 KR101596171 B1 KR 101596171B1 KR 1020140192469 A KR1020140192469 A KR 1020140192469A KR 20140192469 A KR20140192469 A KR 20140192469A KR 101596171 B1 KR101596171 B1 KR 101596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bushing
coupling
bushing cover
voltag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중
김기목
황광호
한병욱
김효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40192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부,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출력부싱, 상기 출력부싱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싱커버, 상기 부싱커버의 측면에 결합되는 이음도관,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부싱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부싱커버에 결합된 이음도관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부싱커버를 상기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고전압 전원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싱커버 결합장치, 고전압 전원장치, 및 전기집진장치{Apparatus for Coupling Bushing Cover, Apparatus for Supplying High Voltage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전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전압 전원장치는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기집진장치, 탈취장치, 탈황탈질장치 등과 같은 환경설비에 적용된다.
고전압 전원장치가 전기집진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고전압 전원장치는 방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방전극을 통해 집진기본체의 내부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집진기본체의 내부에서는 음이온이 공기 중에 방전되고, 이로 인해 공기 중에 인가된 음이온이 공기 중의 분진을 둘러싸서 분진이 (-) 전리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0)는 대상물(20)에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부(11), 상기 고전압발생부(11)에 연결되는 출력부싱(12), 및 상기 출력부싱(12)을 수용하기 위한 부싱커버(13)를 포함한다.
상기 대상물(20)은 상기 고전압발생부(11)가 발생시킨 고전압을 이용하여 소정의 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컨대 전기집진장치, 탈취장치, 탈황탈질장치 등일 수 있다. 상기 대상물(20)이 전기집진장치인 경우, 전기집진장치가 갖는 방전극은 동관 등과 같은 통전부(30)를 통해 상기 출력부싱(12)에 연결된다. 상기 통전부(30)는 상기 대상물(20)에 결합되는 연결도관(14), 및 상기 부싱커버(13)와 상기 연결도관(14) 각각에 결합되는 이음도관(15)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부싱커버(13)는 상기 고전압발생부(11)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11)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출력부싱(12)은 상기 부싱커버(1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11)의 측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0)는 상기 출력부싱(12)이 상기 고전압발생부(11)의 측면에 결합되므로, 상기 출력부싱(12)을 상기 고전압발생부(11)의 내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해 상기 고전압발생부(11)의 측면을 천공(穿孔)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0)는 상기 고전압발생부(11)의 내부에 위치한 절연유가 중력에 의해 상기 출력부싱(12) 및 상기 고전압발생부(11)가 결합된 틈새를 통해 누설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0)는 상기 출력부싱(12)이 상기 고전압발생부(11)의 측면에 위치하므로, 상기 부싱커버(13)가 상기 고전압발생부(11)의 측면에 위치한다. 즉, 상기 출력부싱(12) 및 상기 부싱커버(13)는 상기 고전압발생부(11)가 갖는 측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부싱(12) 및 상기 부싱커버(13)에서 상기 고전압발생부(11) 쪽을 향하는 방향은, 상기 고전압발생부(11)가 장애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0)는 상기 출력부싱(12)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2개 이상의 통전부(30)를 연결하기 어렵다. 예컨대, 상기 고전압발생부(11)에서 상기 출력부싱(12)이 결합된 일측면에 대해 반대편 쪽에 방전극이 위치한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0)는 해당 방전극 및 상기 출력부싱(12)을 통전부(30)를 통해 연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연결이 가능하더라도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절연유가 중력에 의해 출력부싱 및 고전압발생부의 틈새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싱커버 결합장치, 고전압 전원장치, 및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출력부싱에 2개 이상의 통전부을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부싱커버 결합장치, 고전압 전원장치, 및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싱커버 결합장치는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싱커버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지지부; 상기 부싱커버를 상기 고전압발생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부싱커버 및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부싱커버에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결합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부싱커버에 결합된 이음도관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제1결합공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싱커버 결합장치는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싱커버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지지부; 상기 부싱커버를 상기 고전압발생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부싱커버 및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지지부에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결합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부싱커버에 결합된 이음도관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제1결합공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부;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출력부싱; 상기 출력부싱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싱커버; 상기 부싱커버의 측면에 결합되는 이음도관;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부싱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부싱커버에 결합된 이음도관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부싱커버를 상기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부;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출력부싱; 상기 출력부싱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싱커버; 상기 부싱커버의 측면에 결합되는 이음도관;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부싱커버를 지지하고,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부싱커버를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배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기본체; 상기 집진기본체에 설치된 방전극에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부;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출력부싱; 상기 출력부싱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싱커버; 상기 부싱커버의 측면에 결합되는 이음도관; 상기 이음도관에 연결되게 결합되는 연결도관; 상기 출력부싱 및 상기 방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이음도관 및 상기 연결도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통전부;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부싱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부싱커버에 결합된 이음도관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부싱커버를 상기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전압발생부의 내부에 위치한 절연유가 중력에 의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절연유 누설로 인한 오염 및 비용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출력부싱 및 부싱커버가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출력부싱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2개 이상의 통전부를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출력부싱 및 대상물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이음도관이 향하는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이음도관의 길이 및 이음도관이 설치공간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 단축 및 공사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에 있어서 부싱커버의 개략적인 저면도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싱커버 결합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에 포함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에 있어서 부싱커버의 개략적인 저면도,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는 지지부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부싱커버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전기집진장치, 탈취장치, 탈황탈질장치 등과 같은 대상물(20)에서 고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부(2),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상면(21)에 결합되는 출력부싱(3), 상기 출력부싱(3)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싱커버(4), 상기 부싱커버(4)에 결합되는 이음도관(5), 및 상기 부싱커버(4)에 결합된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부싱커버(4)를 상기 고전압발생부(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부싱커버 결합장치(1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출력부싱(3)이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상면(21)에 결합되므로,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내부에 위치한 절연유가 중력에 의해 상기 출력부싱(3) 및 상기 고전압발생부(2) 사이의 틈새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절연유 누설로 인한 오염 및 비용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출력부싱(3)이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상면(21)에 위치하므로, 상기 부싱커버(4)가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상면(21)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출력부싱(3) 및 상기 부싱커버(4)에 대해 상기 고전압발생부(2)가 장애물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출력부싱(3)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2개 이상의 통전부(30)를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부싱커버 결합장치(100)를 통해 상기 부싱커버(4)에 결합된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을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출력부싱(3) 및 상기 대상물(20)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이음도관(5)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 단축 및 공사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이음도관(5)의 길이 및 상기 이음도관(5)이 설치공간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전압발생부(2), 상기 출력부싱(3), 상기 부싱커버(4), 상기 이음도관(5), 및 상기 부싱커버 결합장치(100)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고전압발생부(2)는 고전압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고전압발생부(2)는 펄스전압을 발생시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고전압발생부(2)는 고전압 탱크(HV Tank, High Voltage Tank)일 수 있다. 상기 고전압발생부(2)는 상기 대상물(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대상물(2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전압발생부(2)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직방체 외에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출력부싱(3)은 상기 고전압발생부(2)가 발생시킨 고전압을 상기 대상물(20)에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출력부싱(3)은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상면(2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절연유에 대한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싱(3)은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상면(2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고전압발생부(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부싱커버(4)는 상기 출력부싱(3)을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부싱커버(4)는 내부에 상기 출력부싱(3)을 수용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부싱커버(4)는 예를 들어 전기집진장치의 방전극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각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부싱커버(4)는 상기 부싱커버 결합장치(100)에 의해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상측에 위치되게 상기 고전압발생부(2)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전압발생부(2)는 상기 출력부싱(3) 및 상기 부싱커버(4)에 대해 장애물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출력부싱(3)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2개 이상의 통전부(30)를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부싱(3)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2개의 통전부(30)가 상기 고전압발생부(2)에 방해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통전부(30)는 동관일 수 있다.
상기 부싱커버(4)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상기 출력부싱(3)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직방체 외에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부싱커버(4)는 4개의 측면을 갖는 직방체 형태 외에, 3개 또는 5개 이상의 측면을 갖는 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부싱커버(4)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이음도관(5)은 상기 부싱커버(4)의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이음도관(5)은 내부가 상기 부싱커버(4)의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부싱커버(4)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싱커버(4)의 내부에서 상기 출력부싱(3)에 연결된 통전부(30)는, 상기 이음도관(5)을 따라 상기 이음도관(5)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음도관(5)은 상기 대상물(20)에 결합된 연결도관(40)에 연결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도관(40)은 상기 대상물(20)의 상면에 결합된다. 상기 이음도관(5)은 내부가 상기 연결도관(40)의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연결도관(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통전부(30)는 상기 이음도관(5) 및 상기 연결도관(40) 각각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출력부싱(3) 및 상기 대상물(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이음도관(5)은 상기 부싱커버(4)의 측면에 복수개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음도관(5)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부싱커버(4)가 갖는 측면들 중에서 서로 다른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싱커버(4)의 서로 반대되는 측면에는 2개의 이음도관들(5, 5')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부싱(3) 및 상기 부싱커버(4)가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상측에 위치하므로, 상기 이음도관들(5, 5')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데 상기 고전압발생부(2)가 장애물로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출력부싱(3)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2개 이상의 통전부(30)를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부싱커버(4)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2개 이상의 이음도관(5)을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 단축 및 공사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가 전기집진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전기집진장치가 갖는 방전극들의 위치 및 개수에 관계없이 상기 출력부싱(3)에 상기 방전극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이음도관(5)은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장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상기 통전부(30)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장방체 외에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부싱커버 결합장치(100)는 상기 부싱커버(4)를 상기 고전압발생부(2)에 결합시킨다. 상기 부싱커버 결합장치(100)는 상기 부싱커버(4)에 결합된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부싱커버(4)를 상기 고전압발생부(2)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출력부싱(3) 및 상기 대상물(20)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부싱커버 결합장치(100)는 지지부(110) 및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상면(21)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부싱커버(4)가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고전압발생부(2)의 상면(21)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측 방향은, 상기 부싱커버(4)가 상기 고전압발생부(2)에 결합된 경우 상기 고전압발생부(2)에서 상기 부싱커버(4)를 향하는 방향이다.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부싱커버(4)에 결합된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부싱커버(4)를 상기 지지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출력부싱(3) 및 상기 대상물(20)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이음도관(5)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부싱(3) 및 상기 연결도관(40)은 설치환경에 따라 평면도를 기준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가 전기집진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연결도관(40)의 위치는 방전극이 설치된 위치이다. 즉, 상기 출력부싱(3) 및 상기 방전극은 설치환경에 따라 평면도를 기준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싱커버(4)가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또는 90도 초과의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구현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도관(5)은 상기 출력부싱(3) 및 상기 연결도관(40)을 잇는 가상의 직선을 따라 설치되지 못하고, 소정의 절곡구간을 이루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통전부(30) 또한 소정의 절곡구간을 이루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도관(5) 및 상기 통전부(30)는 'ㄹ'자 형태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달리, 상기 부싱커버(4)가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구현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도관(5)은 상기 출력부싱(3) 및 상기 연결도관(40)을 잇는 가상의 직선을 따라 직선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전부(30) 또한 직선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부싱커버(4)가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이음도관(5)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 단축 및 공사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이음도관(5)의 길이 및 상기 이음도관(5)이 설치공간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이음도관(5)이 직선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출력부싱(2) 및 상기 연결도관(40)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이음도관(5)은 소정의 절곡구간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부싱커버(4)가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구현되는 실시예는, 상기 부싱커버(4)가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이 90도의 단위각도로 변경되는 실시예와 대비할 때 상기 출력부싱(3) 및 상기 연결도관(40)을 잇는 가상의 직선으로부터 벗어나는 절곡구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이음도관(5)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회전한 부싱커버(4)를 상기 지지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음도관(5)이 결합될 상기 부싱커버(4)의 측면이 상기 연결도관(40) 쪽을 향하도록 상기 부싱커버(4)가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회전되면,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부싱커버(4)를 상기 지지부(110)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부싱커버(4)를 고전압발생부(2)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 후, 상기 이음도관(5)은 상기 부싱커버(4)의 측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도관(4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싱커버(4)는 상기 출력부싱(3)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부싱커버(4)는 3도의 단위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부싱커버(4)가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구현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110)는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을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하더라도, 상기 지지부(110)가 상기 부싱커버(4)를 지지하는 지지면적이 변화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을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하더라도, 상기 부싱커버(4)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120)는 복수개의 제1결합공(121, 도 7에 도시됨) 및 제1결합부재(122,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공(121)들은 상기 부싱커버(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공(121)들은 상기 부싱커버(4)의 밑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싱커버(4)의 밑면은, 상기 부싱커버(4)가 상기 지지부(110)에 결합된 경우 상기 지지부(110)에 지지되는 면이다.
상기 제1결합공(121)들은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각도는 상기 제1결합공(121)들 각각의 중심이 서로 이격된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공(121)들은 3도의 단위각도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부싱커버(4)를 3도의 단위각도로 회전시켜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을 3도의 단위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부싱커버(4)는 상기 출력부싱(3)을 중심으로 3도의 단위각도로 회전하여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가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결합공(121)들은 상기 지지부(110)가 이루는 형태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을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하더라도, 상기 지지부(110)가 상기 부싱커버(4)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현된다.
도 7에는 상기 부싱커버(4)에 5개의 제1결합공(121)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결합부(120)는 2개, 3개, 4개 또는 6개 이상의 제1결합공(12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122)는 상기 제1결합공(12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재(122)는 상기 부싱커버(4) 및 상기 지지부(110)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부재(122)는 상기 부싱커버(4)를 상기 지지부(110)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부싱커버(4)를 상기 고전압발생부(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122)는 볼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120)는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공(121)들이 상기 부싱커버(4)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110)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122)가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122)는 상기 제1결합공(121)들 중에서 어느 하나 및 상기 제1삽입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부싱커버(4)를 상기 지지부(11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120)는 복수개의 제1연결공(123, 도 7에 도시됨) 및 복수개의 제1돌출부재(124,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공(123)들은 상기 부싱커버(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공(123)들은 상기 부싱커버(4)의 밑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공(123)들은 상기 제1결합공(121)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공(123)들은 상기 제1결합공(121)들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124)들은 상기 부싱커버(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124)들은 상기 부싱커버(4)의 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124)들은 상기 제1연결공(123)들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공(123)들은 각각 상기 제1결합공(121)들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공(12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된 제1결합부재(122)는, 상기 제1돌출부재(124)에 지지됨으로써 해당 제1결합공(121)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제1결합부재(122)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110)에 결합된 부싱커버(4)가 임의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재(124)들은 상기 제1연결공(123)들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부싱커버(4)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싱커버(4)가 상기 지지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제1결합부재(122)가 상기 제1결합공(121)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부싱커버(4)가 상기 지지부(110)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부싱커버(4)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124)들은 상기 제1연결공(123)들 쪽으로 돌출되는 외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공(123)들 및 상기 제1결합공(121)들은 각각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재(124)들, 상기 제1연결공(123)들, 및 상기 제1결합공(121)들은 전체적으로 물결무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124)들, 상기 제1연결공(123)들, 및 상기 제1결합공(121)들은 제1고정공(120a, 도 7에 도시됨)을 구성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제1고정공(120a, 도 7에 도시됨)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부싱커버(4)에 형성된 제2고정공(120b,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공(120b)은 복수개의 제2결합공(125, 도 7에 도시됨), 복수개의 제2연결공(127, 도 7에 도시됨), 및 복수개의 제2돌출부재(128,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제2결합공(125), 상기 제2연결공(127), 및 상기 제2돌출부재(128)는 각각 상기 제1결합공(121), 상기 제1연결공(123), 및 상기 제1돌출부재(124) 각각에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부싱커버(4)에 상기 제2고정공(120b)이 형성된 경우,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제2결합공(125)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제2결합부재(126)를 포함한다. 상기 제2결합부재(126)는 상기 부싱커버(4)에 결합된 이음도관(5)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제2결합공(125)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제1결합부재(122) 및 상기 제2결합부재(126)를 통해 상기 부싱커버(4)를 상기 지지부(1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부싱커버(4)를 상기 고전압발생부(2)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에는 상기 제2결합부재(126)가 삽입되기 위한 제2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공(120b) 및 상기 제1고정공(120a)은, 상기 제1결합공(121)들이 서로 이격된 단위각도에 비해 큰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0)는 3개 이상의 고정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부싱커버(4)에 형성된 고정공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삽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공이 상기 부싱커버(4)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고정공은 상기 지지부(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고정공(120a)은 상기 제1결합공(121)들, 상기 제1연결공(123)들, 및 상기 제1돌출부재(12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공(121)들은 상기 지지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공(121)들은 상기 지지부(110)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의 상면은, 상기 부싱커버(4)가 상기 지지부(110)에 결합된 경우 상기 부싱커버(4)를 지지하는 면이다. 상기 제1결합공(121)들은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지지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상기 지지부(110)에 5개의 제1결합공(121)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결합부(120)는 2개, 3개, 4개 또는 6개 이상의 제1결합공(12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결합공(121)들이 상기 지지부(110)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부싱커버(4)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122)가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공(123)들은 상기 지지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공(123)들은 상기 지지부(110)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공(123)들은 상기 제1결합공(121)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부(110)에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부재(124)들은 상기 지지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124)들은 상기 지지부(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124)들은 상기 제1결합공(12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된 제1결합부재(122)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공(123)들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110)에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부재(124)들은 상기 제1연결공(123)들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110)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제1고정공(120a)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지지부(110)에 형성된 제2고정공(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공(120b)은 상기 제2결합공(125)들, 상기 제2연결공(127)들, 및 상기 제2돌출부재(128)들을 포함한다. 상기 부싱커버(4)에는 상기 제2결합부재(126)가 삽입되기 위한 제2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공(120b) 및 상기 제1고정공(120a)은, 상기 제1결합공(121)들이 서로 이격된 단위각도에 비해 큰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0)는 3개 이상의 고정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싱커버(4)는 상기 지지부(110)에 형성된 고정공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삽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200)는 배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기본체(210) 및 상기 고전압 전원장치(1)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기본체(210)에서는 배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전기 집진이 수행된다. 상기 집진기본체(210)는 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211) 및 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기본체(210)는 내부가 복수개의 집진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집진실에는 분진을 음극으로 대전시키는 복수개의 방전극(미도시) 및 양극으로 대전되어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판(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고전압 전원장치(1)는 각 집진실 별로 상기 방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집진기본체(2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200)는 상기 고전압 전원장치(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방전극은 상기 고전압 전원장치(1)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면, 코로나 방전에 의한 이온화 현상을 통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방전극은 철선 또는 강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전극에서 발생된 음이온은 기류 내로 흘러 분진에 충돌함으로써 분진를 음이온으로 대전시킨다. 음이온으로 하전된 분진은 상기 집진판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집진판은 양극으로 대전되어 음이온으로 하전된 분진을 흡착한다. 상기 집진판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기 집진기본체(210)에 설치된 방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이다. 상기 고전압 전원장치(1)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원장치(1)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는 상기 통전부(30) 및 상기 연결도관(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전부(30)는 상기 고전압 전원장치(1)의 출력부싱(3) 및 상기 집진기본체(210)에 설치된 방전극을 연결한다. 상기 출력부싱(3)에는 복수개의 방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싱커버(4)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이음도관(5)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도관(40)은 일측이 상기 집진기본체(2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이음도관(5)에 연결되게 결합된다. 상기 통전부(30)는 상기 이음도관(5) 및 상기 연결도관(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는 추타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타부(220)는 추타를 통해 상기 집진기본체(210)에 설치된 집진판으로부터 분진을 분리시킨다. 상기 추타부(220)는 집진판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을 탈락, 하강, 및 배출시키기 위해 집진판에 기계적인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추타부(220)는 추타강도 및 추타빈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추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고전압 전원장치 2 : 고전압발생부
3 : 출력부싱 4 : 부싱커버
5 : 이음도관 100 : 부싱커버 결합장치
110 : 지지부 120 : 결합부
200 : 전기집진장치

Claims (13)

  1.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부;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출력부싱;
    상기 출력부싱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싱커버;
    상기 부싱커버의 측면에 결합되는 이음도관;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부싱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부싱커버에 결합된 이음도관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부싱커버를 상기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고전압 전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이음도관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회전한 부싱커버를 상기 지지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부는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전압발생부에 삽입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1결합부재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공들은 상기 지지부가 이루는 형태를 따라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부싱커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부싱커버에 결합된 이음도관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부싱커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결합공;
    상기 부싱커버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결합공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제1결합부재;
    상기 제1결합공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부싱커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연결공; 및
    상기 제1결합공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된 제1결합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공들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부싱커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부싱커버에 결합된 이음도관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결합공;
    상기 부싱커버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결합공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제1결합부재;
    상기 제1결합공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연결공; 및
    상기 제1결합공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된 제1결합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공들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원장치.
  6.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부;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출력부싱;
    상기 출력부싱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싱커버;
    상기 부싱커버의 측면에 결합되는 이음도관;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부싱커버를 지지하고,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부싱커버를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고전압 전원장치.
  7.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싱커버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지지부;
    상기 부싱커버를 상기 고전압발생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부싱커버 및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부싱커버에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부싱커버에 결합된 이음도관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제1결합공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커버 결합장치.
  8.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싱커버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지지부;
    상기 부싱커버를 상기 고전압발생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부싱커버 및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지지부에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부싱커버에 결합된 이음도관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제1결합공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커버 결합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공들은 상기 지지부가 이루는 형태를 따라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커버 결합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공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결합공들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연결공; 및
    상기 제1결합공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된 제1결합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공들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커버 결합장치.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공들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결합공; 및
    상기 부싱커버에 결합된 이음도관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제2결합공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커버 결합장치.
  12. 배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기본체;
    상기 집진기본체에 설치된 방전극에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부;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출력부싱;
    상기 출력부싱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싱커버;
    상기 부싱커버의 측면에 결합되는 이음도관;
    상기 이음도관에 연결되게 결합되는 연결도관;
    상기 출력부싱 및 상기 방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이음도관 및 상기 연결도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통전부;
    상기 고전압발생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부싱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부싱커버에 결합된 이음도관이 향하는 방향이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부싱커버를 상기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이음도관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90도 보다 작은 단위각도로 회전한 부싱커버를 상기 지지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부는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KR1020140192469A 2014-12-29 2014-12-29 부싱커버 결합장치, 고전압 전원장치, 및 전기집진장치 KR101596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469A KR101596171B1 (ko) 2014-12-29 2014-12-29 부싱커버 결합장치, 고전압 전원장치, 및 전기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469A KR101596171B1 (ko) 2014-12-29 2014-12-29 부싱커버 결합장치, 고전압 전원장치, 및 전기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171B1 true KR101596171B1 (ko) 2016-02-19

Family

ID=5544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469A KR101596171B1 (ko) 2014-12-29 2014-12-29 부싱커버 결합장치, 고전압 전원장치, 및 전기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1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729Y1 (ko) * 2003-09-19 2004-02-11 김창수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KR20040091268A (ko) * 2003-04-21 2004-10-28 주식회사 포스코 전원차단장치용 케이싱
KR20140028204A (ko) * 2012-08-27 2014-03-10 이헌 조리 용기용 기체 배출 장치
KR20140080020A (ko) * 2012-12-20 2014-06-30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원유 탈염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268A (ko) * 2003-04-21 2004-10-28 주식회사 포스코 전원차단장치용 케이싱
KR200340729Y1 (ko) * 2003-09-19 2004-02-11 김창수 디젤엔진의 배기미립자 포집 장치
KR20140028204A (ko) * 2012-08-27 2014-03-10 이헌 조리 용기용 기체 배출 장치
KR20140080020A (ko) * 2012-12-20 2014-06-30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원유 탈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322B1 (ko) 전자발생장치
JP4832058B2 (ja) イオン化装置
JP7049329B2 (ja) 放電装置および電気機器
JP2008140591A (ja) イオン化装置
KR101373720B1 (ko) 활성탄 섬유필터를 이용하는 전기집진기
KR101622667B1 (ko) 전기집진 장치
CN110506373B (zh) 放电装置以及电气设备
KR101183945B1 (ko) 이온발생기의 조절이 용이한 전기집진장치
KR101596171B1 (ko) 부싱커버 결합장치, 고전압 전원장치, 및 전기집진장치
WO2014119762A1 (ja) 水素含有水生成用電極の製造方法及び水素含有水生成用電極
WO2014119761A1 (ja) 水素含有水生成用電極及び水素含有水生成装置
JP6877224B2 (ja) 電気集塵装置
JP5240706B2 (ja) バー型イオン発生器及び除電器
JP2019037964A (ja) 電気集塵装置および電気集塵装置内蔵型レンジフード
CN211190595U (zh) 一种静电油烟净化器的高效电场结构
CN210994794U (zh) 静电集尘组件及空气净化装置
KR101884814B1 (ko) 수직배치형 이온발생기용 쉴드 케이스
RU2703049C1 (ru) Электрофильтр
KR20120058827A (ko) 전기 집진 장치
RU2010106776A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2500572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211623767U (zh) 带净化功能的风扇
CN211625608U (zh) 带净化功能的风幕机
CN214917076U (zh) 一种湿式油烟净化设备绝缘结构
CN112696775B (zh) 一种微积电净化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