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268Y1 - 벤치 - Google Patents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268Y1
KR200340268Y1 KR20-2003-0029056U KR20030029056U KR200340268Y1 KR 200340268 Y1 KR200340268 Y1 KR 200340268Y1 KR 20030029056 U KR20030029056 U KR 20030029056U KR 200340268 Y1 KR200340268 Y1 KR 200340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eats
seat
bench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근
Original Assignee
이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근 filed Critical 이순근
Priority to KR20-2003-0029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2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2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리기능을 가지며 간격유지부재(10)를 매개로 일정거리를 두고 좌우 대칭되게 각각 지지되는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와, 상기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양내측면에 대하여 상단 가로측에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면서 그들 좌우 끝단이 각각 힌지되어 회동되는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와, 상기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양내측면에 대하여 상단 일측에 힌지축(42)을 매개로 힌지되어 전후 회동되는 등받이부(40)와, 상기 등받이부(40)와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우 양단에 대하여 회전중심에 서로 연동가능케 설치되어 평상시 사람이 앉지 못하는 상태로 등받이부(40)가 앞쪽으로 제쳐짐과 동시에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하부로 반회전되게 하거나 또는 착석시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상태로 등받이부(40)가 뒷쪽으로 제쳐짐과 동시에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상부로 반회전되도록 구동하는 좌우 한쌍의 스윙구동수단(50)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평상시 사람이 앉지 못하는 상태로 좌석상면이 하부로 반회전될 때 계절 및 환경변화에 따른 각종 오염원으로부터 좌석상면을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또 평상시 좌석하면이 상부로 반회전될 때 그 좌석하면에 표시된 광고면이 상부로 노출되어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벤치{A Bench}
본 고안은 좌석에 오염방지 기능과 광고 기능을 부여한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벤치에 착석시 오염되지 않은 좌석상면(사람이 앉는 좌석면)이 상부로 회전되고, 평상시에는 좌석상면이 각종 오염원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부로 반회전되어 커버됨과 동시에 좌석하면(사람이 앉을 수 없는 비좌석면)이 상부로 반회전되면서 좌석하면에 표시된 광고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광고효과를 높여줄 수 있는 벤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벤치는 양 측면에 견고한 철제 등의 후레임을 두고 양 후레임 사이에 길게 형성된 목재 등받이 및 좌석을 볼트와 너트로 단단하게 조립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는, 벤치의 재질을 플라스틱이나 석재 등으로 하여 나무 등의 부식으로 인한 벤치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개선한 벤치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벤치들은 도심의 공해나 자동차의 매연 그리고 먼지 등에 의해 좌석상면(사람이 앉는 좌석면)이 쉽게 더러워지게 되고, 또 이러한 오염원이 아침저녁 내리는 이슬에 의해 벤치 표면으로 배어들게 되어 사람이 앉게 되면 옷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야외에 설치된 벤치에 쉽게 앉기를 꺼리게 되고 앉기 전에 휴지를 이용하여 깨끗이 닦거나 때로는 신문이나 넓은 종이를 펼치고 그 위에 앉기 때문에 벤치의 주변은 휴지나 또는 신문 등이 굴러다녀 지저분하기 쉽고 이를 청소해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 아니라 귀중한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특히 기존의 벤치의 단점은 비나 눈이 온 직후에는 앉을 수 없다는 점이며 더욱이 겨울철에는 벤치위에 내린 눈이 추운 날씨 때문에 얼어붙게 되어 날씨가 따뜻해질 때까지 사용하지 못하게 되고 이렇게 장시간 벤치 표면에 존재하는 수분은 목재를 부식시켜 벤치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석시(사람이 앉을 수 있는 상태) 좌석상면이 상부로 반회전되고 평상시(사람이 앉지 못하는 상태) 좌석상면이 하부로 반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계절 및 환경변화에 따른 각종 오염원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하고, 벤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벤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평상시(사람이 앉지 못하는 상태) 좌석하면이 상부로 반회전될 때 그 하면에 표시된 광고면이 상부로 노출되어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벤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벤치는 벤치에 있어서, 다리기능을 가지며 간격유지부재를 매개로 일정거리를 두고 좌우 대칭되게 각각 지지되는 좌우 한쌍의 지지부와, 상기 좌우 한쌍의 지지부의 양내측면에 대하여 상단 가로측에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면서 그들 좌우 끝단이 각각 힌지되어 회동되는 전후 한쌍의 좌석부와, 상기 좌우 한쌍의 지지부의 양내측면에 대하여 상단 일측에 힌지축을 매개로 힌지되어 전후 회동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와 전후 한쌍의 좌석부의 좌우 양단에 대하여 회전중심에 서로 연동가능케 설치되어 평상시 사람이 앉지 못하는 상태로 등받이부가 앞쪽으로 제쳐짐과 동시에 전후 한쌍의 좌석부의 좌석상면이 하부로 반회전되게 하거나 또는 착석시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상태로 등받이부가 뒷쪽으로 제쳐짐과 동시에 전후 한쌍의 좌석부의 좌석상면이 상부로 반회전되도록 구동하는 좌우 한쌍의 스윙구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 한쌍의 스윙구동수단은, 상기 전후 한쌍의 좌석부의 좌우 양단에 각각 돌설된 상기 좌석중심축의 외주에 동심되게 각각 고정되어 동시 회전되는 전후 한쌍의 제1 기어와, 상기 전후 한쌍의 제1 기어의 사이에 기어맞춤되어 동시 연동되도록 상기 좌우 한쌍의 지지부의 양내측면 상단에 상기 힌지축을 매개로 각각 힌지되는 제2 기어와, 상기 등받이부의 일측과 좌우 한쌍의 지지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평상시 외력이 없을 때 사람이 앉지 못하는 상태로 등받이부를 앞쪽으로 소정각도만큼 회동시키도록 가스 쇼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벤치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벤치의 분해 사시도,
도 3a,3b,3c는 벤치의 평상시, 회전시, 착석시의 요부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4b,4c는 벤치의 평상시, 회전시, 착석시의 요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간격유지부재 20 : 지지부
30 : 좌석부 30a : 좌석중심축
32 : 커버부재 36 : 광고부
40 : 등받이부 42 : 힌지축
50 : 스윙구동수단 52 : 제1 기어
54 : 제2 기어 56 : 가스 쇼버
60 : 커버수단 62 : 제1 링크바
64 : 힌지핀 66 : 제2 링크바
68 : 커버부재 70 : 스프로킷
72 : 체인 74 : 연결부재
76 : 코일스프링
(제1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벤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기능을 가지며 간격유지부재(10)를 매개로 일정거리를 두고 좌우 대칭되게 각각 지지되는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와, 상기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양내측면에 대하여 상단 가로측에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면서 그들 좌우 끝단이 각각 힌지되어 회동되는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와, 상기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양내측면에 대하여 상단 일측에 힌지축(42)을 매개로 힌지되어 전후 회동되는 등받이부(40)와, 상기 등받이부(40)와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우 양단에 대하여 회전중심에 서로 연동가능케 설치되어 평상시 사람이 앉지 못하는 상태로 등받이부(40)가 앞쪽으로 제쳐짐과 동시에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하부로 반회전되게 하거나 또는 착석시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상태로 등받이부(40)가 뒷쪽으로 제쳐짐과 동시에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상부로 반회전되도록 구동하는 좌우 한쌍의 스윙구동수단(50)과, 상기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우 양단에 대하여 회전중심과 편심되게 고정되어 평상시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하부로 반회전될 때 이에 연동되어 상승되면서 그 좌석상면에 각종 오염원이 침투되지 않도록 커버하거나 또는 착석시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상부로 반회전될 때 이에 연동되어 하강되면서 회전에 간섭을 주지않도록 일정거리 이격되는 커버수단(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전후 한쌍의 좌석부(30)는, 상기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양내측면 상단에 대하여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힌지되도록 좌우 양단에 좌석중심축(30a)이 일체로 각각 돌설되고 그 측면에서볼 때 상부보다 하부가 좁은 쐐기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부가 개구된 금속류의 커버부재(32)와, 상기 커버부재(32)의 상단 개구를 통해 그 내부에 충전되는 목재류의 좌판부재(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32)의 외부면 일측에는 평상시 사람이 앉지 못하도록 상기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하면이 상부로 반회전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광고부(36)가 구성되며, 이 광고부(36)는 상기 커버부재(32)의 일측에 일정면적으로 구획되어 광고를 새기거나 그려 넣어서 구성되어 진다.
상기 등받이부(40)는 그 하단이 상기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양내측면 상단 중앙에 상기 힌지축(42)을 매개로 힌지됨과 동시에 힌지축(42)과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한쌍의 스윙구동수단(50)은, 상기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우 양단에 각각 돌설된 상기 좌석중심축(30a)의 외주에 동심되게 각각 고정되어 동시 회전되는 전후 한쌍의 제1 기어(52)와, 상기 전후 한쌍의 제1 기어(52)의 사이에 기어맞춤되어 동시 연동되도록 상기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양내측면 상단에 상기 힌지축(42)을 매개로 각각 힌지되는 제2 기어(54)와, 상기 등받이부(40)의 일측과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일측에 연결되어 평상시 외력이 없을 때 사람이 앉지 못하는 상태로 등받이부(40)를 앞쪽으로 소정각도만큼 회동시키도록 가스 쇼버(5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수단(60)은 상기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중심축(30a) 외주 일측에 고정되어 좌석중심축(30a)의 회전시 편심되게 동시 회전되는 제1 링크바(62)와, 상기 제1 링크바(62)의 끝단에 힌지핀(64)을 매개로 힌지되어 제1 링크바(62)의 회전시 이에 연동되면서 상하직선운동하는 기역자형상의 제2 링크바(66)와, 상기 제2 링크바(66)의 하단에 고정되어 평상시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하부로 반회전될 때 이에 연동되어 상승되면서 그 좌석상면을 커버하거나 또는 착석시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상부로 반회전될 때 이에 연동되어 하강되면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일측에 배수구를 가진 캡형상의 커버부재(68)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좌우 한쌍의 스윙구동수단(50)은 상기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에 고정되는 덮개(미도시)에 의해 외부로 감싸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3a와 같은 벤치상태(사람이 앉지 못하는 평상시 상태)에서 사용자가 등받이부(40)를 뒤쪽으로 밀면, 이 등받이부(40)는 사용자가 미는 힘에 의해 뒤쪽으로 제쳐지면서 그 좌우 양단과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상부 후단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가스 쇼버(56)내의 가스를 압축시킴과 동시에 가스 쇼버(56)의 길이를 축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등받이부(40)는 뒤쪽으로 제쳐질 때 그 좌우 양단 하부에 좌우 한쌍의 지지부(20)를 매개로 힌지 고정된 힌지축(42)을 회전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힌지축(42)의 외주에 고정된 제2 기어(54)를 동시 회전시키게 되고, 제2 기어(54)는 회전될 때 제2 기어(54)에 기어맞춤된 전후 한쌍의 제1 기어(52)를 동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전후 한쌍의 제1 기어(52)는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우 양단에 일체로 돌설되어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상단 전후에 각각 힌지 고정된 좌석중심축(30a)의 외주에 각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한쌍의 제2 기어(54)가 회전될 때 이에 연결된 전후 한쌍의 좌석부(30)가 좌석중심축(30a)을 회전중심으로 동시 회전되면서 도 3b 및 도 3c와 같이 정해진 각도만큼 반회전됨으로써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뒤집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부로 향하면서 평탄하게 유지된 좌석상면에 용이하게 앉을 수 있다.
또, 전후 한쌍의 좌석부(30)가 좌석중심축(30a)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될 때 좌석중심축(30a)의 외주 일측에 일체로 고정된 제1 링크바(62)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동시 회전되면서 그 끝단에 힌지핀(64)을 매개로 연결된 제2 링크바(66)를 연동시키게 되고, 제2 링크바(66)는 상기 제1 링크바(6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때 그 하단에 고정된 커버부재(68)의 무게중심에 의해 항시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커버부재(68)를 수평상태로 하강동작되도록 상기 힌지핀(64)으로부터 회동하게 된다.
즉, 제2 링크바(66)는 상기 제1 링크바(6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면서 그 하단에 고정된 커버부재(68)를 수평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커버부재(68)를 하강시키게 된다. 특히 커버부재(68)의 하강속도는 상기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회전속도와 정비례하기 때문에 전후 한쌍의 좌석부(30)가 회전될 때 커버부재(68)에 충돌하여 생기는 간섭현상을 없앨 수 있다.
한편, 도 3c와 같은 벤치상태(사람이 앉을 수 있는 착석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벤치를 떠나게 되면서 등받이부(40)에 가해졌던 외력이 해제되면, 등받이부(40)는 그 좌우 양단과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사이를 연결하는 가스 쇼버(56)에 의해 서서히 앞쪽으로 회전되면서 도 3a와 같이 전후 한쌍의 좌석부(30), 좌우 한쌍의 스윙구동수단(50), 커버수단(60)을 상술한 역순동작으로 동시 연동시켜 평상시 사람이 앉지 못하는 벤치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즉, 등받이부(40)에 가해진 외력을 해제하면, 가스 쇼버(56)의 동작에 의해등받이부(40)가 힌지축(42)을 회전중심으로 앞쪽으로 회전되면서 그 힌지축(42)에 고정된 제2 기어(54)를 동시 회전시키게 되고, 제2 기어(54)는 회전될 때 그 외주에 기어맞춤된 전후 한쌍의 제1 기어(52)를 동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1 기어(52)에 좌석중심축(30a)을 매개로 고정된 전후 한쌍의 좌석부(30)를 평상시 사람이 앉지 못하는 상태로 반회전시킴으로써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하부로 향하도록 뒤집어주게 된다.
또, 등받이부(40)가 앞쪽으로 제쳐질 때 이에 연동되는 상기 좌석중심축(30a)의 회전에 따라 좌석중심축(30a)의 일측에 고정된 제1 링크바(62)가 다시 반회전되면서 제1 링크바(62)에 힌지핀(64)을 매개로 연결된 제2 링크바(66)를 상승동작시키게 되고, 또 제2 링크바(66)는 그 하부 끝단에 고정된 커버부재(68)를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하부로 향한 상면)과 대응되는 높이까지 도달되도록 상승시키게 된다.
즉, 도 3a와 같이 등받이부(40)가 앞쪽으로 정해진 각도만큼 제쳐지면,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은 좌우 한쌍의 스윙구동수단(50)에 의해 하부로 반회전되고, 그 좌석상면이 상기 커버부재(68)에 의해 커버되기 때문에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에 위치한 예를 들어 목재류의 좌판부재가 계절 및 환경변화에 따른 각종 오염원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3a와 같이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하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반회전될 때 좌석하면의 일측에 표시된 광고부(36)가 동시 상부로 향하도록 위치되기 때문에 벤치를 이용하여 광고효과를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예)
상기 설명에서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상부 또는 하부로 반회전되도록 구동시키는 좌우 한쌍의 스윙구동수단(50)을 기어방식으로 일례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제2실시예로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방식의 스윙구동수단(50)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좌우 한쌍의 스윙구동수단(50)은 상기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우 양단에 각각 돌설된 상기 좌석중심축(30a)의 외주에 동심되게 각각 고정되어 동시 회전되는 전후 한쌍의 스프로킷(70)과, 상기 전후 한쌍의 스프로킷(70)을 동시 회전되도록 걸어주는 체인(72)과, 상기 체인(72)의 일측과 상기 등받이부(40)의 일측을 연결하여 착석시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상태로 등받이부(40)를 뒷쪽으로 제칠 때 체인(72)을 일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연결부재(74)와, 상기 체인(72)의 타측과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일측을 연결하여 평상시 외력이 없을 때 사람이 앉지 못하는 상태로 등받이부(40)를 앞쪽으로 소정각도만큼 회동시키도록 체인(72)을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원래상태로 복귀시키는 코일스프링(7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1 및 제2실시예를 갖는 본 고안은 그 실시양태에 구애받지 않고 그 기술적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있도록 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한 벤치는 등받이부가 앞뒤로 회동될 때 이에 연동되는 스윙구동수단에 의해 좌석부의 좌석상면이 하부로 반회전되거나 또는 상부로 반회전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계절 및 환경변화에 따른 각종 오염원으로부터 좌석상면을 보호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좌석상면을 보다 깨끗하게 유지시켜 다음 사용자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고 곧바로 착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벤치의 수명을 높여줄 수 있으며, 또한 평상시 사람이 앉지 못하는 상태로 좌석하면이 상부로 향할 때 그 좌석하면에 표시된 광고면이 상부로 노출되어 광고효과를 높여줄 수 있다.

Claims (7)

  1. 벤치에 있어서,
    다리기능을 가지며 간격유지부재(10)를 매개로 일정거리를 두고 좌우 대칭되게 각각 지지되는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와,
    상기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양내측면에 대하여 상단 가로측에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면서 그들 좌우 끝단이 각각 힌지되어 회동되는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와,
    상기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양내측면에 대하여 상단 일측에 힌지축(42)을 매개로 힌지되어 전후 회동되는 등받이부(40)와,
    상기 등받이부(40)와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우 양단에 대하여 회전중심에 서로 연동가능케 설치되어 평상시 사람이 앉지 못하는 상태로 등받이부(40)가 앞쪽으로 제쳐짐과 동시에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하부로 반회전되게 하거나 또는 착석시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상태로 등받이부(40)가 뒷쪽으로 제쳐짐과 동시에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상부로 반회전되도록 구동하는 좌우 한쌍의 스윙구동수단(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 한쌍의 스윙구동수단(50)은,
    상기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우 양단에 각각 돌설된 상기 좌석중심축(30a)의 외주에 동심되게 각각 고정되어 동시 회전되는 전후 한쌍의 제1 기어(52)와,
    상기 전후 한쌍의 제1 기어(52)의 사이에 기어맞춤되어 동시 연동되도록 상기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양내측면 상단에 상기 힌지축(42)을 매개로 각각 힌지되는 제2 기어(54)와,
    상기 등받이부(40)의 일측과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일측에 연결되어 평상시 외력이 없을 때 사람이 앉지 못하는 상태로 등받이부(40)를 앞쪽으로 소정각도만큼 회동시키도록 가스 쇼버(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우 양단에는 그 회전중심과 편심되게 고정되어 평상시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하부로 반회전될 때 이에 연동되어 상승되면서 그 좌석상면에 각종 오염원이 침투되지 않도록 커버하거나 또는 착석시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상부로 반회전될 때 이에 연동되어 하강되면서 회전에 간섭을 주지않도록 일정거리 이격되는 커버수단(60)이 더 포함된 것으로서,
    상기 커버수단(60)은,
    상기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중심축(30a) 외주 일측에 고정되어 좌석중심축(30a)의 회전시 편심되게 동시 회전되는 제1 링크바(62)와,
    상기 제1 링크바(62)의 끝단에 힌지핀(64)을 매개로 힌지되어 제1 링크바(62)의 회전시 이에 연동되면서 상하직선운동하는 기역자형상의 제2 링크바(66)와,
    상기 제2 링크바(66)의 하단에 고정되어 평상시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하부로 반회전될 때 이에 연동되어 상승되면서 그 좌석상면을 커버하거나 또는 착석시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상면이 상부로 반회전될 때 이에 연동되어 하강되면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일측에 배수구를 가진 캡형상의 커버부재(6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한쌍의 좌석부(30)는,
    상기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양내측면 상단에 대하여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힌지되도록 좌우 양단에 좌석중심축(30a)이 일체로 각각 돌설되고 그 측면에서볼 때 상부보다 하부가 좁은 쐐기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부가 개구된 금속류의 커버부재(32)와,
    상기 커버부재(32)의 상단 개구를 통해 그 내부에 충전되는 목재류의 좌판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2)의 외부면 일측에는 평상시 사람이 앉지 못하도록 상기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석하면이 상부로 반회전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광고부(36)가 일정면적으로 구획되어 광고를 새기거나 그려 넣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스윙구동수단(50)은,
    상기 전후 한쌍의 좌석부(30)의 좌우 양단에 각각 돌설된 상기 좌석중심축(30a)의 외주에 동심되게 각각 고정되어 동시 회전되는 전후 한쌍의 스프로킷(70)과,
    상기 전후 한쌍의 스프로킷(70)을 동시 회전되도록 걸어주는 체인(72)과,
    상기 체인(72)의 일측과 상기 등받이부(40)의 일측을 연결하여 착석시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상태로 등받이부(40)를 뒷쪽으로 제칠 때 체인(72)을 일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연결부재(74)와,
    상기 체인(72)의 타측과 좌우 한쌍의 지지부(20)의 일측을 연결하여 평상시 외력이 없을 때 사람이 앉지 못하는 상태로 등받이부(40)를 앞쪽으로 소정각도만큼 회동시키도록 체인(72)을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원래상태로 복귀시키는 코일스프링(7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KR20-2003-0029056U 2003-09-09 2003-09-09 벤치 KR200340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056U KR200340268Y1 (ko) 2003-09-09 2003-09-09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056U KR200340268Y1 (ko) 2003-09-09 2003-09-09 벤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268Y1 true KR200340268Y1 (ko) 2004-01-31

Family

ID=4942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056U KR200340268Y1 (ko) 2003-09-09 2003-09-09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2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225B1 (ko) * 2012-09-04 2013-04-16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자동 접이식 벤치
KR101485042B1 (ko) * 2013-10-22 2015-01-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벤치
KR20170029186A (ko) 2015-09-07 2017-03-15 유재이 착석자 운동 가능한 벤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225B1 (ko) * 2012-09-04 2013-04-16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자동 접이식 벤치
KR101485042B1 (ko) * 2013-10-22 2015-01-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벤치
KR20170029186A (ko) 2015-09-07 2017-03-15 유재이 착석자 운동 가능한 벤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44421T1 (de) Motorisiertes schwimmbeckenreinigungsgerät mit cantilever-motorbewegungsübertragungelementen
TW200724120A (en) Foldable wheelchair having up-and-down-type seat
KR200340268Y1 (ko) 벤치
FR2622332A1 (fr) Panneau publicitaire protege par basculement ou pivotement contre la deterioration due au vent ou a la tempete
KR200375179Y1 (ko) 벤치
CN112495786B (zh) 一种槟榔子双重筛选机构
CN201088318Y (zh) 隐形床
FR3065923B1 (fr) Siege rotatif a repose-pieds relevable, notamment pour vehicule ferroviaire
FR2692478A3 (fr) Siège muni d'un appareil pour masser la plante des pieds.
FR2787308A1 (fr) Dispositif de support pour jeux de simulation de conduite ou de pilotage
FR2596015A1 (fr) Pedalier a pedalage rectiligne
EP1327401A3 (de) Verschwenkbare Sitzanordnung
CN201595448U (zh) 可翻转型座椅
FR2621470A1 (fr) Meuble vitrine a etageres mobiles
KR102446691B1 (ko)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
KR200342382Y1 (ko) 덮개가 구비된 벤치의 보조 의자기구
KR100629294B1 (ko) 전동식 그네 침대
FR2704153A1 (fr) Dispositif de gymnastique et de rééducation.
FR2621797A1 (fr) Canape-lit pouvant etre replie partiellement le long d'un mur
FR2591262A1 (fr) Caveau funeraire prefabrique
CN110916412A (zh) 一种座面自动保护坐具及其座面自动保护方法
CN2091126U (zh) 具有自动掀起装置之马桶座垫
FR2815235A1 (fr) Lit rabattable nu
FR2653584A2 (fr) Panneau publicitaire pivotant ou tournant au vent.
FR2671896A1 (fr) Socle repliable et deplacable, servant de support notamment pour panneau publicita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