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691B1 -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 - Google Patents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691B1
KR102446691B1 KR1020210092520A KR20210092520A KR102446691B1 KR 102446691 B1 KR102446691 B1 KR 102446691B1 KR 1020210092520 A KR1020210092520 A KR 1020210092520A KR 20210092520 A KR20210092520 A KR 20210092520A KR 102446691 B1 KR102446691 B1 KR 102446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late
bench
support frame
us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민준
성현준
Original Assignee
성민준
성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민준, 성현준 filed Critical 성민준
Priority to KR1020210092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Landscapes

  • Sewage (AREA)
  • Prevention Of Fou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위에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폭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며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부; 전후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가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부 사이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착좌판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와 착좌판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착좌판부의 폭 방향 양측 단부를 감싸도록 체결되고, 측면에 구비된 회동축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착좌판부와 함께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착좌판부에 착석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회동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Bench for preventing rainwater or foreign matter from accumulating}
본 발명은 실외에서 사용되는 벤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위에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놀이터 또는 버스정류장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는 편의를 위하여 벤치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벤치는 사용자들이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휴식처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상술한 장소들과 같이 실외에 설치되는 벤치는 지붕이 없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비나 눈이 오게 되면 벤치의 좌석부는 비나 눈에 직접 노출될 수밖에 없고, 비나 눈이 그치게 되더라도 벤치의 좌석부에 빗물이 고이거나 눈이 쌓인 상태가 지속됨으로써, 비나 눈이 온 후에도 사용자가 상당 기간동안 벤치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벤치에 빗물이 고인 것을 모르고 사용자가 벤치에 앉을 경우 옷이 빗물에 젖게 되어 불쾌감을 주는 문제도 있었다.
더불어, 상술한 야외 장소들에 설치되는 벤치의 좌석부는 보통 목재 또는 합판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소재로 이루어진 벤치의 좌석부는 비나 눈이 오게 될 경우, 빗물이나 눈이 고이게 되어 부식됨으로써 파손을 초래하여 벤치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벤치의 좌석부에 홀을 뚫어서 빗물 또는 눈이 배수되도록 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벤치의 좌석부에서 홀이 형성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는 여전히 빗물이나 눈이 고이게 되고, 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벤치의 좌석부에 너무 많은 홀을 형성시킬 경우에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0842호(2002.07.06.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4768호(2006.12.27.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벤치에서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부위에 빗물이나 이물질들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며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부; 전후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가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부 사이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착좌판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와 착좌판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착좌판부의 폭 방향 양측 단부를 감싸도록 체결되고, 측면에 구비된 회동축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착좌판부와 함께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착좌판부에 착석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회동캡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폭 방향 내측에 상기 회동캡부가 결합을 이루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을 이루는 내측면에 상기 회동캡부가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며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캡부의 길이방향 하측 단부와 면접촉을 이루어 후방으로 더 회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제1스토퍼돌기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1스토퍼돌기의 후방 상측에 상기 회동캡부가 전후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며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캡부의 길이방향 상측 단부와 면접촉을 이루어 하측으로 더 회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제2스토퍼돌기가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좌판부 및 회동캡부는 사용자의 착석 전, 상기 회동축을 기준하여 길이방향 상측 단부는 후방으로 배치되고 하측 단부는 전방으로 배치되는 비스듬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착좌판부 및 회동캡부는, 상기 회동축을 기준하여 길이방향 상측 단부가 하측 단부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회동캡부는, 각각의 폭 방향 측면 외측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부 길이방향 상측으로 설치되는 등지지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착석 전에는 복수개의 착좌판부가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며 배치된 상태에 놓이게 되어 빗물 또는 이물질들이 착좌판부에 고이지 않고 길이방향 하측으로 배수 또는 배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는 제1스토퍼돌기를 통해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착좌판부에 앉게 될 경우에는, 사용자의 착석과 동시에 착좌판부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회동하게 되어 복수개의 착좌판부가 전후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는 배치 상태에 놓이게 되어 편안하게 앉을 수 있고, 이러한 상태는 제2스토퍼돌기를 통해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연결부재를 통해 복수개의 착좌판부들이 일체로 회동을 이루게 됨으로써, 하나의 착좌판부에만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복수개의 착좌판부들 모두가 회동을 이루어 벤치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의 물품들이 착좌판부 하측으로 낙하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게 되며, 성인이나 어린이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구성과 이들 구성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는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위에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부(10), 착좌판부(20) 및 회동캡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프레임부(10)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며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강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길이방향 상측으로는 사용자의 등을 기대어 지지할 수 있도록 등지지판부(50)를 더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부(10)는 폭 방향 내측으로 후술하는 회동캡부(30)가 결합을 이루는 결합홈(1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지지프레임부(10)는 지면에 설치를 이루는 부위를 제외한 몸체가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홈(11)의 길이방향 상측과 하측은 차폐를 이룬 상태에서 회동캡부(30)가 상기 결합홈(11)에 설치를 이루어 상기 결합홈(11) 내에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강재로 이루어진 회동캡부(30)가 빗물 또는 이물질들과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회동캡부(30)의 오염이나 부식 또는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부(10)는 상기 결합홈(11)을 이루는 내측면에 후술하는 회동캡부(30)가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며 배치된 상태에서 회동캡부(30)의 길이방향 하측 단부와 면접촉을 이루어 회동캡부(30)가 후방으로 더 회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제1스토퍼돌기(12)가 폭 방향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스토퍼돌기(12)를 통해, 후술하는 회동캡부(30)가 경사를 이루며 세워진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여 빗물 또는 이물질들이 착좌판부(20)에 고이지 않도록 배수 또는 배출되게 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1스토퍼돌기(12)는 자석으로 이루어져 그 기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프레임부(10)는 상기 제1스토퍼돌기(12)의 후방 상측에 후술하는 회동캡부(30)가 전후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며 배치된 상태에서 회동캡부(30)의 길이방향 상측 단부와 면접촉을 이루어 회동캡부(30)가 하측으로 더 회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제2스토퍼돌기(13)가 폭 방향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스토퍼돌기(13)를 통해, 사용자가 후술하는 착좌판부(20)에 착석할 경우,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는 회동캡부(30)의 배치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것이고, 이는 착좌판부(20) 또한 전후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는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의해 사용자는 착좌판부(20)에 편안하게 착석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착좌판부(20)는 목재 또는 합판으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가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부(10) 사이에 폭 방향으로의 설치를 이루는 것으로, 사용자의 착석 전에는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며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앉아 하중을 가하게 되면 후술하는 회동캡부(30)와 함께 회동되어 복수개가 전후방향으로 수평을 이룬 상태에 놓이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회동캡부(30)는 상기 착좌판부(20)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강재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착좌판부(20)의 폭 방향 양측 단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프레임부(10)와 착좌판부(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착좌판부(20)의 폭 방향 양측 단부를 감싸도록 체결되고, 상기 지지프레임부(10)를 향하는 측면에 구비된 회동축(31)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부(1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착좌판부(20)와 함께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착좌판부(20)에 착석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착좌판부(20) 및 회동캡부(30)는 사용자의 착석 전, 상기 회동축(31)을 기준하여 길이방향 상측 단부는 후방으로 경사를 이루며 배치되고, 하측 단부는 전방으로 경사를 이루며 배치되는 비스듬한 경사를 이룸으로써, 사용자의 착석시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받쳐주는 형상을 이루어 사용자가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상기 착좌판부(20) 앉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착좌판부(20) 및 회동캡부(30)는, 도 4와 같이, 상기 회동축(31)을 기준하여 길이방향 상측 단부의 길이(L1)가 하측 단부의 길이(L2)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착석 전, 상기 제1스토퍼돌기(12)에 의해 비스듬한 경사를 유지하면서도, 이와 함께 상술한 길이 차이에 의한 자중에 의해 경사를 유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회동캡부(30)는, 도 3과 같이, 각각의 폭 방향 측면 외측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막대 또는 봉 형상의 연결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복수개의 상기 회동캡부(30)들이 일체로 회동을 이룰 수 있게 되고, 이는 복수개의 상기 회동캡부(30)들과 각각 체결을 이룬 복수개의 상기 착좌판부(20)들 또한 일체로 회동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회동캡부(30)의 상기 결합홈(11)을 향하는 폭 방향 측면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통상의 볼트나 피스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기 회동캡부(30)와 결합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회동캡부(30)의 측면 하부에 별도로 구비된 고리 등에 결합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연결부재(40)는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회동캡부(30)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상기 연결부재(40) 또한 복수개가 구비되어 복수개 중 하나의 연결부재(40)가 인접하는 두 개의 회동캡부(30)들을 전후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설치를 이루고, 이러한 연결을 복수개의 연결부재(40)들로 중첩되게 반복하여 회동캡부(30)들이 일체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함께, 상기 연결부재(4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설치를 이루면서도, 상기 제1스토퍼돌기(12), 제2스토퍼돌기(13) 및 회동축(31)과는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벤치의 사용과정에서 상기 회동캡부(30)의 원활한 회동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는, 사용자의 착석 전에는 복수개의 상기 착좌판부(20)가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며 배치된 상태에 놓이게 되어 빗물 또는 이물질들이 상기 착좌판부(20)에 고이지 않고 길이방향 하측으로 배수 또는 배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는 상기 제1스토퍼돌기(12)를 통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착좌판부(20)에 앉게 될 경우에는, 사용자의 착석과 동시에 상기 착좌판부(20)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회동하게 되어 복수개의 상기 착좌판부(20)가 전후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는 배치 상태에 놓이게 되어 편안하게 앉을 수 있고, 이러한 상태는 상기 제2스토퍼돌기(13)를 통해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연결부재(40)를 통해 복수개의 상기 착좌판부(20)들이 일체로 회동을 이루게 됨으로써, 하나의 착좌판부(20)에만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복수개의 상기 착좌판부(20)들 모두가 회동을 이루어 벤치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의 물품들이 착좌판부(20) 하측으로 낙하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게 되며, 성인이나 어린이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 : 지지프레임부 11 : 결합홈
12 : 제1스토퍼돌기 13 : 제2스토퍼돌기
20 : 착좌판부 30 : 회동캡부
31 : 회동축 40 : 연결부재
50 : 등지지판부

Claims (6)

  1. 폭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며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부;
    전후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가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부 사이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착좌판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와 착좌판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착좌판부의 폭 방향 양측 단부를 감싸도록 체결되고, 측면에 구비된 회동축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착좌판부와 함께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착좌판부에 착석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회동캡부;를 포함하되,
    복수개의 상기 회동캡부는,
    각각의 폭 방향 측면 외측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
  2.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폭 방향 내측에 상기 회동캡부가 결합을 이루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을 이루는 내측면에 상기 회동캡부가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며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캡부의 길이방향 하측 단부와 면접촉을 이루어 후방으로 더 회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제1스토퍼돌기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1스토퍼돌기의 후방 상측에 상기 회동캡부가 전후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며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캡부의 길이방향 상측 단부와 면접촉을 이루어 하측으로 더 회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제2스토퍼돌기가 돌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판부 및 회동캡부는 사용자의 착석 전,
    길이방향 상측 단부는 후방으로 배치되고 하측 단부는 전방으로 배치되는 비스듬한 경사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판부 및 회동캡부는,
    상기 회동축을 기준하여 길이방향 상측 단부가 하측 단부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부 길이방향 상측으로 설치되는 등지지판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
KR1020210092520A 2021-07-14 2021-07-14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 KR102446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520A KR102446691B1 (ko) 2021-07-14 2021-07-14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520A KR102446691B1 (ko) 2021-07-14 2021-07-14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691B1 true KR102446691B1 (ko) 2022-09-26

Family

ID=8345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520A KR102446691B1 (ko) 2021-07-14 2021-07-14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6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112A (ja) * 2000-06-27 2002-01-18 Daishi Tekkosho:Kk 収納ベンチ付横断防止柵
KR200280842Y1 (ko) 2002-04-10 2002-07-06 강응태 청소기능이 구비된 벤치
KR200434768Y1 (ko) 2006-09-26 2006-12-27 (주)에리트퍼니처 벤치
KR101275280B1 (ko) * 2011-11-07 2013-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배수 기능을 갖는 벤치
KR101485042B1 (ko) * 2013-10-22 2015-01-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벤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112A (ja) * 2000-06-27 2002-01-18 Daishi Tekkosho:Kk 収納ベンチ付横断防止柵
KR200280842Y1 (ko) 2002-04-10 2002-07-06 강응태 청소기능이 구비된 벤치
KR200434768Y1 (ko) 2006-09-26 2006-12-27 (주)에리트퍼니처 벤치
KR101275280B1 (ko) * 2011-11-07 2013-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배수 기능을 갖는 벤치
KR101485042B1 (ko) * 2013-10-22 2015-01-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벤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5526A (fr) Volee d'escalier modulaire et auto-portante et montants pour la fabrication de celle-ci
CA2693345A1 (fr) Plate-forme modulaire
EP2642046B1 (fr) Système de clôture
KR102446691B1 (ko) 빗물 또는 이물질 고임방지용 벤치
CA2386102A1 (fr) Structure de prise d'appui et de retenue pour les passagers d'un vehicule de transport en commun
EP0028564A1 (fr) Siège de véhicule présentant au moins une coque d'assise
JP4887029B2 (ja) 組立式スロープユニット
EP1617016B1 (fr) Ossature démontable pour abri
FR2919642A1 (fr) Dispositif de support d'un garde-corps.
FR2957105A1 (fr) Tribune a structure perfectionnee, notamment pour stades
EP2392232A1 (fr) Dispositif d'assise ou de couchage pour chassis de sommier ou siège
KR100274812B1 (ko) 계단 및 경사면의 주행이 용이한 유모차
FR2893961A1 (fr) Abri a troncons mobiles.
BE834005A (fr) Assemblage pour echafaudage
FR2665920A1 (fr) Escalier prefabrique en beton pour sous-sol.
CN215717007U (zh) 一种景观长廊
KR200340268Y1 (ko) 벤치
JP6941470B2 (ja) 椅子
KR102278981B1 (ko)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는 좌석이 스스로 뒤집히는 야외용 의자
EP0511136B1 (fr) Perfectionnement aux sièges
CN206458162U (zh) 一种护栏
BE1002476A6 (fr) Limons en beton et escaliers munis de tels limons.
FR3012484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fixation au sol d'un profile de facade, dit epine, et facade equipee d'un tel dispositif
FR2476187A1 (fr) Plancher ou dallage sureleve demontable
FR2892138A1 (fr) Piscine, en general de forme polygonale, reposant sur le sol et comportant des murs obtenus par superposition de poutres paralleles au s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