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120Y1 - 씨디보관대의 씨디 수납구간 조절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조립부재 - Google Patents

씨디보관대의 씨디 수납구간 조절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조립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120Y1
KR200340120Y1 KR20-2003-0032700U KR20030032700U KR200340120Y1 KR 200340120 Y1 KR200340120 Y1 KR 200340120Y1 KR 20030032700 U KR20030032700 U KR 20030032700U KR 200340120 Y1 KR200340120 Y1 KR 200340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section
guide
sides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Priority to KR20-2003-0032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1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1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81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 A47F5/0093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movable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3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tubes or w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4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pictures, e.g. in combination with books or seed-bags ; for cards, magazines, newspapers, books or booklike articles, e.g. audio/video cassettes
    • A47F7/146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pictures, e.g. in combination with books or seed-bags ; for cards, magazines, newspapers, books or booklike articles, e.g. audio/video cassettes the show stands or the like being provided with compartments or pockets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씨디보관대의 씨디수납구간 조절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용 프레임(1)과, 상기 각 수직부재(1b)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하단부에 수평방향 및 상측의 수직방향으로 굴곡되어진 굴곡편(2b)(2'b)이 형성되어 있는 각 단위수납구간의 선반지지용 지지부재(2)(2')와; 상기 양측 지지부재(2)(2')에 안치되는 상기 단위수납구간의 선반부재(3)가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선반지지용 지지부재(2)(2')의 하측 굴곡편(2b)(2'b)의 후단부의 상면에 씨디의 단위수납구간을 이동하면서 조절하도록 단위수납구간조절부(A)의 양측부가 얹혀져 고정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면서 씨디가 앞으로 쓰러지거나 떨어질 우려가 없이 안정된 진열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씨디가 손상될 우려가 없고, 씨디 진열의 미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대량 생산이 되면서 생산비절감이 됨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씨디보관대의 씨디 수납구간 조절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STRUCTURE OF WIDTH-ADJUSTABLE COMPACT DISKS DISPLAY RACK AND ASSEMBLY MEMBER THEREFOR}
본 고안은 씨디보관대용 씨디 수납구간 조절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씨디보관대의 각 수납층의 종류별 씨디(compact disk)의 수납구간을 임의대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씨디보관대의 씨디 수납구간조절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씨디는 그 자체의 파손이나 수록된 내용의 손상을 방지하며 내부에 들어있는 씨디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투명 플라스틱류로 된 케이스에 들어있고, 또 매 사용후에도 상기 케이스에 담아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씨디를 포함한 씨디 케이스(이하, 씨디라고 약칭 함)들을 횡방향으로 나란히 세워서 꽂아 두도록 구성함으로써, 씨디케이스 측면에 인쇄된 글씨에 의해 각각의 씨디를 식별하여 인출 또는 수납하도록 되어 있고, 근래에 들어와서 컴퓨터 또는 각종음악 등에 관련하여 씨디가 주종을 이루면서 씨디 제품이 일상생활에 깊이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씨디를 판매하는 판매점에서 씨디를 진열 보관하기 위하여 씨디케이스의 크기에 맞도록 형성된 씨디보관대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 이용되었던 씨디보관대는 씨디보관대를 조립하는 구조가 아닌 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틀체의 내부에 고정설치된 각 선반들 위에 각 수납구간이 칸막이로 각각 고정된 비조립 구조로 직접 만들거나 주문 제작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에 어려움이 많았고, 씨디보관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분해할 수 없으므로 공간만 점유하게 되며 칸막이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씨디보관대는 씨디를 종류별로 해당수납구간에 꽂아 놓는다고 하더라도 꽂혀진 종류별 씨디의 수량에 따라서 어떤 수납구간에서는 씨디의 수량이 적어서 공간이 생기면서 부주의로 옆으로 씨디가 쓰러지거나 밑으로 떨어져서 씨디에 손상을 입히게 되고, 씨디 진열의 미관을 해치면서 구매자가 씨디를 고르는 데에도 불편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립구조가 아니므로 대량 생산할 수 없고 씨디보관대를 제작하는 데 따른 제작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 이용되었던 씨디보관대의 다른 일례로서, 하단부의 세로방향의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중간부위로부터 상측의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수직부재와, 상기 양측의 수직부재의 상, 하측부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용 수평부재 및 하부 연결용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지지용 프레임과;
상기 각 수직부재의 전, 후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에 삽입되도록 몸체의 일측부의 상, 하측에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하단부의 일측에 직각방향으로 굴곡되어진 굴곡편이 형성되어 있는 선반지지용 지지부재와;
상기 서로 마주 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양측 선반지지용 지지부재의 서로 대응하는 각 굴곡편 위에 양측 부위가 접하여 안치되면서 진열물이나 보관물이 얹혀지게 되는 수평선반부재로 조립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씨디보관대는 비록 조립구조로 되어 있기는 하나 상기와 마찬가지로 씨디를 종류별로 꽃아둔다고 하더라도 꽃혀진 종류별 씨디의 수량에 따라서 어떤 수납구간에서는 씨디의 수량이 적어서 공간이 생기면서 부주의로 옆으로 씨디가 쓰러지거나 밑으로 떨어져서 씨디에 손상을 입히게 되고 씨디 진열의 미관을 해치면서 구매자가 씨디를 고르는 데에도 불편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 씨디보관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씨디가 종류별로 꽂혀지는 씨디 종류별 수납구간을필요에 따라 임의대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씨디보관대의 수납구간 조절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식 구조로서 대량 생산할 수 있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씨디보관대의 씨디수납구간 조절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씨디보관대의 씨디 수납구간조절구조가 적용된 씨디보관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E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씨디 수납구간조절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씨디 수납구간조절용 이동부재의 사시도,
도 8a는 일측의 선반지지용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8b는 타측의 선반지지용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9는 선반부재의 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C-C선 단면도,
도 11은 도 3의 A부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12는 도 3의 B부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13은 도 3의 C부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14는 도 3의 D부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지용 프레임 1a : 하측 수평부재
1b : 수직부재 1c, 1d : 상, 하부연결용 수평부재
2, 2' : 선반지지용 지지부재 2a, 2'a : 걸림용 돌기
2b, 2'b : 굴곡편 3 : 선반부재
4 : 안내부재 4a : 안내요부
4b : 고정용 요부 5 : 이동부재
5a : 안내용 돌기부 5b : 칸막이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씨디 보관대의 씨디 수납구간 조절구조는 도1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측의 하단부의 세로 방향의 수평부재(1a)와, 상기 양측의 수평부재(1a)의 각 중간부위로부터 상측의 수직방향으로 각각 세워져 있는 수직부재(1b)와, 상기 양측의 수직부재(1b)의 상, 하측부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용 수평부재(1c) 및 하부 연결용 수평부재(1d)가 각각 고정수단인 체결볼트(1e)에 의해서 조립되어진 지지용 프레임(1)과;
상기 각 수직부재(1b)의 전, 후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고정공(1bb)중 전면의 고정공(1bb)에 각각 삽입되도록 일측부의 상, 하부에 하측 방향으로 돌편(2aa)(2'aa)이 돌출되면서 후측방향으로 돌출된 고정용 돌기부(2a)(2'a)가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선반부재(3)를 안치시키기 위하여 하단부에 수평방향 및 상측의 수직방향으로 굴곡되어진 굴곡편(2b)(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단위수납층별로 형성된 단위 수납구간의 서로 대응하여 마주보는 선반지지용 지지부재(2)(2')와;
상기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되어 있는 양측 지지부재(2)(2')의 서로 대응하는 각 굴곡편(2b)(2'b)에 의해서 형성된 선반을 고정하는 고정용 요부(2c)(2'c)에 양측의 직각방향으로 굴곡되어서 형성된 고정용 돌기부(3a)가 삽입되어서 안치되는 상기 단위 수납구간의 선반부재(3)가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대응하는 선반지지용 지지부재(2)(2')의 하측 굴곡편(2b)(2'b)의 후단부의 상면에 씨디의 단위수납구간을 이동하면서 조절하도록 단위수납구간조절부(A)의 양측부가 얹혀져 고정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위수납구간 조절부(A)는 양측부가 상기 양측 선반지지용 지지부재(2)(2')의 하측 굴곡편(2b)(2'b)의 후단부의 상면에 얹혀져서 고정되어 있으면서 각 씨디종류별 수납구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부에 안내요부(4a)와 하부에 선반부재(3)의 후측부가 얹혀져서 고정되는 고정용 요부(4b)로 형성된 단위수납구간조절용 안내부재(4)와;
상기 단위수납구간조절용 안내부재(4)의 안내요부(4a)에 안내용 돌기부(5a)가 삽입되어서 양측으로 이동하면서 씨디의 종류별 수납구간이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위수납구간조절용 이동부재(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안내요부(4a)는 상, 하측에 상기 단위 수납구간조절용 이동부재(5)의 후측의 상, 하측이 삽입되어서 좌,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상측 안내요부(4aa)와 하측 안내요부(4a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위수납구간조절용 이동부재(5)는 상기 단위수납구간조절용안내부재(4)의 안내요부(4a)를 좌,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후측의 상, 하측에 각각 직각으로 굴곡되어서 형성된 상측의 안내용 돌편(5aa)과, 하측의 안내용 돌편(5ab)으로 구성된 안내용 돌기부(5a)와 상기 안내용 돌기부(5a)로부터 전방부에 씨디종류별 수납구간이 형성되도록 칸막이부(5b)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용 프레임(1)은 양단부의 수직부재(1b)이외에 중간에도 수직부재(1b)가 구성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상기 수직부재(1b)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단위수납구간이 형성되어진 구조이지만 양단부의 수직부재(1b)의 사이에 구성되는 수직부재(1b)의 설치개소의 수에 따라 상기 각 단위수납구간이 증감될 수 있고, 상기 각 수직부재(1b)의 높이에 따라 수직방향의 각 단위 수납층들이 증감된다.
상기 지지용프레임(1)의 하측 수평부재(1a), 수직부재(1b), 상부 연결용 수평부재(1c), 하부 연결용 수평부재(1d)는 각각 사각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씨디 수납구간 조절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단위 수납구간조절용 안내부재(4)는 상부에 상기 단위 수납구간조절용 이동부재(5)를 좌,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안내 요부(4a)와; 하부에 선반부재(3)의 후측부가 얹혀져서 고정되어지는 고정용 요부(4b)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안내요부(4a)는 상, 하측에 상기 단위수납구간조절용 이동부재(5)의 후측의 상, 하측이 삽입되어서 좌,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상측 안내요부(4aa)와 하측안내요부(4ab)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단위수납구간조절용 이동부재(5)는 상기 단위수납구간조절용 안내부재(4)의 안내요부(4a)를 좌,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후측의 상, 하측에 각각 직각으로 굴곡되어서 형성된 상측 안내용 돌편(5aa)과 하측 안내용 돌편(5ab)으로 구성된 안내용 돌기부(5a)와;
상기 안내용 돌기부(5a)로부터 전방부에 씨디 종류별수납구간이 형성되도록 칸막이부(5b)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측 선반지지용 지지부재(2)(2')의 하단부의 굴곡편(2b)(2'b) 및 이에따른 고정용 요부(2c)(2'c)는 서로 대응하도록 서로 반대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지지용프레임(1)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 중 어느 일측에만 각 수납층 및 각 단위수납구간들을 형성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f는 와셔, 1g는 너트, 3b는 보강대, 6은 받침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단위수납구간 조절부(A)가 적용된 씨디보관대의 조립과정 및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씨디보관대는 체결볼트(1e)로 서로 조립된 지지용 프레임(1)의 전방부 및 후방부의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각 수납층의 각 단위 수납구간에 대한 조립과정이 서로 동일하므로 상기 각 단위 수납구간중 전방부의 일측 수납층의 하나의 단위수납구간에 대한 조립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측과 중간측의 세로방향의 하측 수평부재(1a)의 각 중심부에 일측과 중간측의 수직부재(1b)와 함께 체결되도록 횡방향의 하측 연결용 수평부재(1d)의 양단부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면서 상, 하측에 체결공(1da')이 형성된 플랜지(1da)를 상기 일측과 중간측의 각 세로방향의 하측 수평부재(1a)의 중심부의 내측면과 일측과 중간측의 수직부재(1b)의 하단부의 각 내측면에 접해놓은 상태에서 체결볼트(1e)로 각각 체결하면 상기 일측과 중간측의 세로방향의 하측 수평부재(1a), 횡방향의 하부 연결용 수평부재(1d) 및 일측과 중간측의 수직부재(1b)가 견고하게 조립되고, 이와 같은 조립과정에 의해서 타측과 중간측의 세로방향의 하측 수평부재(1a)의 각 중심부, 타측과 중간측의 수직부재(1b)의 하단부 및 하부 연결용 수평부재(1d)의 양단부를 서로 조립하면 된다.
그 다음에 양단부가 굴곡되어 있으면서 중심부에 체결공(1ca')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1ca)의 양측의 굴곡된 부위가 상기 상부 연결용 수평부재(1c)의 양단부의 전, 후면의 내면에 각각 접한 상태에서 용접되어 있는 상부 연결용 수평부재(1c)의 상기 양측 연결구(1ca)의 체결공(1ca')과 상기 일측 수직부재(1b)와 중간측 수직부재(1b)의 일측의 상단부에 형성된 체결공(1ba)을 일치시켜서 체결볼트(1e)로 각각 체결시키고, 타측 수직부재(1b)의 상단부 및 상기 중간측 수직부재(1b)의 타측의 상단부에 상부 연결용 수평부재(1c)의 양단부를 조립하는 작업도 상기와 동일한 조립과정에 의해서 각각 조립하면 지지용 프레임(1)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 다음에 상기 일측 수직부재(1b)와 타측인 중간측 수직부재(1b)의 정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공(1bb)들중 해당되는 고정공(1bb)에 서로 대응하는 일측과 타측의 선반지지용 지지부재(2)(2')의 후측의 상,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용 돌기부(2a)(2'a)를 각각 삽입시켜서 밑으로 내리면 돌편(2aa)(2'aa)이 일측과 타측의 수직부재(1b)의 내면에 걸리면서 상기 양측 지지부재(2)(2')가 일측과 중간측의 수직부재(1b)에 견고하게 고정된 후 상기 양측 선반지지용 지지부재(2)(2')의 각 하측 굴곡편(2b)(2'b)의 후단부의 위에 상기 단위수납구간 조절부(A)의 안내부재(4)의 하단부의 양측을 얹혀서 고정시킨다.
그 다음에, 상기 후측의 안내부재(4)의 하단부의 전방에 형성된 고정용 요부(4b)를 포함하여 양측의 선반지지용 지지부재(2)(2')의 하측 굴곡편(2b)(2'b)에 의해서 형성된 고정용 요부(2c)(2'c)의 위에 선반부재(3)의 좌측, 우측 및 후측의 고정용 돌기부(3a)를 삽입하여 접하도록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안내부재(4)와 선반지지용 지지부재(2)(2')의 굴곡편(2b)(2'b)에 의해서 선반부재(3)가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조립 고정되면서 씨디보관대의 전체 조립과정이 완료된다.
이와같은 조립방식으로 타측 단위 수납구간인 타측과 중간측 선반지지용 지지부재(2)(2'), 선반부재(3), 단위수납구간조절부(A)간의 조립과정을 비롯하여 전방부의 각 수납층별 씨디 수납구간 및 후방부의 각 수납층별 씨디 수납구간이 조립됨으로써 각 단위수납구간조절부(A)가 조립되는 씨디보관대의 전체 조립과정이 완료된다.
본 고안의 단위수납구간조절부(A)가 적용된 씨디보관대의 분해과정은 상기 조립과정의 역순으로 분해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위수납구간조절부(A)가 설치되는 단위수납구간은 필요에 따라 임의로 증감하여 설치할 수 있고 양측 지지부재(2)(2') 사이에 형성된 단위수납구간에 대한 상기 각 조립부재들의 조립과정과 동일한 조립과정을 반복하면서 지지용 프레임(1)의 전방부의 나머지 각 단위수납층의 각 단위수납구간과 후방부의 각 단위수납층의 각 단위수납구간에 각각 상기 해당되는 각 조립부재들을 조립함으로써 본 고안의 씨디수납구간 조절구조가 적용된 씨디보관대의 조립이 완료되며, 씨디보관대의 전,후방부에서 양측단부의 지지부재(2)(2')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의 지지부재(2)(2')는 두장의 지지부재(2)(2')가 서로 접한 상태로 수직부재(1b)의 전면 또는 후면의 동일한 고정공(1bb)에 함께 고정용 돌기부(2a)(2'a)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지지용 프레임(1)의 후방부에는 각 수납층의 각 단위수납구간의 각 지지부재(2)(2')의 고정용 돌기부(2a)(2'a)가 수직부재(1b)의 후면의 각 고정공(1bb)에 각각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씨디수납구간 조절구조가 적용된 씨디보관대는 씨디를 각 씨디종류별 단위수납구간에 꽂아서 수납시켜서 진열 보관하는 것이며, 각 씨디의 종류에 따라 씨디의 개수가 적거나 또는 많은 종류의 단위수납구간에 알맞도록 상기 이동부재(5)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동일한 종류의 씨디가 서로 접하면서 수납되어 형성된 수납폭만큼 수납구간이 설정되게 함으로써 각 씨디종류별 단위수납구간마다 여분의 공간부가 없는 상태의 수납구간들이 각각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판매점 등에서 사용자가 씨디보관대를 직접 조립 분해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하기가 간편하면서 조립구조가 견고한 상태로 안정성이 유지되고, 씨디 이외에도 디브이디(digital versatile disc)나 비디오테이프를보관하여도 무방하므로 이러한 경우, 씨디보관대의 폭과 높이 또는 각 단위수납층 및 단위수납구간의 크기를 진열하고자 하는 디브이디나 비디오테이프를 보관하기에 알맞도록 편리하게 임의대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씨디보관대를 분해하여 운반하기가 간편하게 된다.
각 씨디의 수납층의 높이는 상기 수직부재(1b)에 형성된 간격설정수단인 고정공(1bb)의 선정에 의해서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씨디가 종류별로 수납되는 각 수납공간마다 여분의 공간이 없이 진열 및 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면서 씨디가 옆이나 앞으로 쓰러지거나 떨어질 우려가 없이 안정된 진열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씨디가 손상될 우려가 없고, 씨디 진열의 미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간격조절수단인 수직부재(1b)의 고정공(1bb)의 선정에 의해 각 씨디 수납층의 높이를 임의대로 간편하게 변경하면서 각 씨디수납층을 증감할 수 있게 되고, 각 수직부재(1b)의 설치개소의 수에 따라 각 수납구간들을 증감할 수 있게 되고, 조립식 구조이므로 다량의 씨디보관대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으면서 판매점 등에서 일시적으로 불필요한 씨디보관대를 분해하여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고, 필요에 따라 알맞는 규격의 씨디보관대를 선정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서 매장내의 미관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적으로 견고하면서 안정성이 있게 된다.
또한, 대량 생산이 되면서 생산비절감이 됨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양측의 하단부의 세로 방향의 수평부재와, 상기 양측의 수평부재의 각 중간부위로부터 상측의 수직방향으로 각각 세워져 있는 수직부재와, 상기 양측의 수직부재의 상, 하측부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용 수평부재 및 하부 연결용 수평부재가 조립되어진 지지용 프레임과; 상기 각 수직부재의 전, 후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에 각각 삽입되도록 일측부의 상, 하부에 하측 방향으로 돌편이 돌출되면서 후측방향으로 돌출된 고정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 수평방향 및 상측의 수직방향으로 굴곡되어진 굴곡편이 형성되어 있는 각 단위수납구간의 선반지지용 지지부재와; 상기 양측 지지부재의 고정용 요부에 양측의 고정용 돌기부가 삽입되어서 안치되는 상기 단위수납구간의 선반부재가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선반지지용 지지부재의 하측 굴곡편의 후단부의 상면에 씨디의 단위수납구간을 이동하면서 조절하도록 단위수납구간조절부의 양측부가 얹혀져 고정되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보관대의 씨디수납구간 조절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수납구간 조절부는 양측부가 상기 양측 선반지지용 지지부재의 하측 굴곡편의 후단부의 상면에 얹혀져서 고정되어 있으면서 각 씨디종류별 수납구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부에 안내요부와 하부에 선반부재의 후측부가 얹혀져서 고정되는 고정용 요부로 형성된 단위수납구간조절용 안내부재와;
    상기 단위수납구간조절용 안내부재의 안내요부에 안내용 돌기부가 삽입되어서 양측으로 이동하면서 씨디의 종류별 단위수납구간이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위수납구간조절용 이동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보관대의 씨디수납구간 조절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요부는 상, 하측에 상기 단위수납구간조절용 이동부재의 후측의 상, 하측이 삽입되어서 좌,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상측 안내요부와 하측 안내요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보관대의 씨디수납구간 조절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수납구간조절용 이동부재는 상기 단위 수납구간조절용 안내부재의 안내요부를 좌,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후측의 상, 하측에 각각 직각으로 굴곡되어서 형성된 상측 안내용 돌기부와, 하측 안내용 돌기부로 구성된 안내용 돌기부와 상기 안내용 돌기부로부터 전방부에 씨디종류별 수납구간이 형성되도록 칸막이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보관대의 씨디수납구간 조절구조.
  5. 단위수납구간조절용 안내부재는 상부에 상기 단위 수납구간조절용 이동부재를 좌,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안내 요부와;
    하부에 선반부재의 후측부가 얹혀져서 고정되어지는 고정용 요부로 이루어져있고;
    상기 안내요부가 상, 하측에 상기 단위수납구간조절용 이동부재의 후측의 상, 하측이 삽입되어서 좌,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상측 안내요부와 하측 안내요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보관대의 조절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
  6. 단위 수납구간조절용 이동부재는 상기 단위수납구간조절용 안내부재의 안내요부를 좌,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후측의 상, 하측에 각각 직각으로 굴곡되어서 형성된 상측의 안내용 돌편과 하측의 안내용 돌편으로 구성된 안내용 돌기부와;
    상기 안내용 돌기부로부터 전방부에 씨디 종류별수납구간이 형성되도록 칸막이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보관대의 씨디수납구간 조절구조에 사용되는 조립부재.
KR20-2003-0032700U 2003-10-18 2003-10-18 씨디보관대의 씨디 수납구간 조절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조립부재 KR200340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700U KR200340120Y1 (ko) 2003-10-18 2003-10-18 씨디보관대의 씨디 수납구간 조절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조립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700U KR200340120Y1 (ko) 2003-10-18 2003-10-18 씨디보관대의 씨디 수납구간 조절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조립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120Y1 true KR200340120Y1 (ko) 2004-01-31

Family

ID=4934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700U KR200340120Y1 (ko) 2003-10-18 2003-10-18 씨디보관대의 씨디 수납구간 조절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조립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1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0643A (en) Display unit with modular capability
US5415297A (en) Storage rack for optical disc storage cases
US4635563A (en) Adjustable shelving system
US10251493B2 (en) End cap for showcase roller shelf
JP2007050227A (ja) 組立式棚
US5558235A (en) Organizer support structure for audio/video media
KR200441498Y1 (ko)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KR200340120Y1 (ko) 씨디보관대의 씨디 수납구간 조절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조립부재
KR200433786Y1 (ko) 칸막이가 구비된 수납장
JP2594654Y2 (ja) 間口方向に伸縮可能な収納家具
JP2002125819A (ja) 植木棚
JPH0519005Y2 (ko)
KR200218956Y1 (ko) 서적 진열대
KR200310209Y1 (ko) 수납장
JP3079325U (ja) ラック
KR20020077037A (ko) 다단식 상품 진열대
US20070295676A1 (en) Display structure
JPH07265135A (ja) 多段棚
KR200163583Y1 (ko) 진열선반
KR0139068Y1 (ko) 안경 진열용 진열선반
KR200211932Y1 (ko) 벽면설치용 간이선반
KR200216204Y1 (ko) 조립식 선반의 지지부재
KR20230082493A (ko) 시스템 선반의 고정구조
JP2010233769A (ja) 組立棚
JP2005329003A (ja) 多段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